찻잔 속에 비친..... 112

[스크랩] 10월의 마지막 주말 95년 홍태창과 그리고 오야재, 호정재.

10월의 마지막 주말인 토요일 혼차.... 金剛經(금강경) 제五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에 나오는 금강경 제일 사구게(四句偈)가 새겨져 있습니다. 凡所有相(범소유상) 皆是虛妄(개시허망) 若見諸相非相(약견제상비상) 卽見如來(즉견여래)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하나니 만약 모..

[스크랩] 靑畵菊蝶文壺(청화국접문호)와 목책철관음 두등장, 말차 濃茶(농차)

靑畵菊蝶文壺(청화국접문호) 중국 고도자(古陶瓷) 전문인 다우(茶友)와 서예가인 다우(茶友) 두분이 중국에서 만든 세상에 하나뿐인 청화호에 목책철관음 두등장을 우립니다. 靜坐處茶半香初(정좌처다반향초) 妙用時水流花開(묘용시수류화개) 추사 김정희의 靜坐處茶半香初(정좌처다반..

[스크랩] [茶器의 미학⑩] 차마시는 격식에 대하여 (휴대용 다기와 격식무용론)

[茶器의 미학⑩] 차마시는 격식에 대하여 (휴대용 다기와 격식무용론) 차를 애호하는 사람들 가운데 어떤 이는 차마시는 문화가 대중화 되면 생활예절이 올바르 게 정립되므로 국민정서가 순화 될 뿐 아니라 전통문화의 계승도 저절로 이루어진다고 믿 고 있다. 그들은 차생활에서의 예..

[스크랩] [茶器 시리즈] ⑥찻사발의 미학(1)-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

[茶器 시리즈] ⑥찻사발의 미학(1)-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 찻사발은 동양 정신을 담는 그릇 차는 그 덕성을 가장 잘 살려 주는 도자기를 만남으로써 다인들의 정신 영역을 확장시켜 주고, 영성(靈性)을 적셔주는 동양의 고전(古典) 음료이다. 도자기 또한 차와 만남을 통해 찻사발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