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지난 10월의 마지막날 10월 마지막날 해질무렵 우리 아파트 10월의 마지막 밤, 집 뒤 관음사에서 자비명상후 집에오니, 저녁을 먹기에는 부담스럽고 해서 와인을 마시려니 안주가 마땅찮아, 냉장고에 있는대로 빨간색 양배추와 어린잎 채소, 양파를 채썰고 참치캔 한통을 붓고 유자와 블루베리 셀러드 소스를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04 하관남조금아타차 하관차창이 제2의 부흥을 부르짖으며 심혈을 기울여 만든 남조원차와 함께 출시된, 노반장 순료를 일정 비율 병배하였다고도 들리는 아엽이 표면에 살면 처리돼 금색을 띄고 있어서 금아타차란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10월의 마지막 주말 95년 홍태창과 그리고 오야재, 호정재. 10월의 마지막 주말인 토요일 혼차.... 金剛經(금강경) 제五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에 나오는 금강경 제일 사구게(四句偈)가 새겨져 있습니다. 凡所有相(범소유상) 皆是虛妄(개시허망) 若見諸相非相(약견제상비상) 卽見如來(즉견여래)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하나니 만약 모..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오야재 찻그릇 설명회와 호정재 오야재 찻그릇 설명회 2012년 10월 25일(수) 오후 3시 기장군 소재 대경기술 사옥 3층 다음날인 26일 오야재 고월간, 세원님과 호정재에서.....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거꾸로 쇤 추석이지만 업장소멸이라 위안삼고 ..... 다들 추석은 잘 보내셨나요? 추석날 달 못 보신분을 위하여 지난 추석날 한가위 보름달 올리니 늦더라도 월광보살님께 사정을 사뢰면 불보살님의 대자비가 함께 하리라 봅니다. 보름달 아래 아파트 화단 피라칸사스 빨간 열매는 어김 없는 계절을 일러줍니다. 추석날 자정이 가까울 무렵..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靑畵菊蝶文壺(청화국접문호)와 목책철관음 두등장, 말차 濃茶(농차) 靑畵菊蝶文壺(청화국접문호) 중국 고도자(古陶瓷) 전문인 다우(茶友)와 서예가인 다우(茶友) 두분이 중국에서 만든 세상에 하나뿐인 청화호에 목책철관음 두등장을 우립니다. 靜坐處茶半香初(정좌처다반향초) 妙用時水流花開(묘용시수류화개) 추사 김정희의 靜坐處茶半香初(정좌처다반..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연원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연원(淵源) 글쓴이:촌안(村顔)・박영환 (중국 사천대학 객좌교수/ 동국대학 겸임교수) 차를 마시는 일은 참으로 즐겁기도 하거니와 바쁘거나 또는 지루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유일한 탈출구이며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에게서의 ‘차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우리나라 茶 모임의 시작 우리나라 茶 모임의 시작 효당(曉堂) 최범술 선생의 영향으로 인해 경남 진주(晋州)가 중심이 된 영남지방의 차문화는 1970년을 전후해 조직을 갖추고 활동을 시작하였다. 경상대 농대의 김재생(金在生)교수, 대아 중·고등학교의 박종한(朴鍾漢)교장, 장석박물관의 김창문 관장, 삼현여고..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성철스님 일화 - 다도법 성철스님 일화 - 다도법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말이 있다 차를 마시는 일과 참선을 하는 것은 그 수준이 같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선가에서는 차를 즐겨 마시는데 유독 성철 스님께 서는 녹차를 마시지 않으셨다. 하루는 일본의 승려 몇 분이 성철 스님을 찾아왔다. 그들은 다도(茶道)..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시원한 아이스 말차오레와 월드콘 드세요! 많이들 더우시죠! 시원한 아이스 말차오레와 월드콘 드세요! 오늘 새벽에 우린 보이차는 1993년 숙전인데, 탕색이 숙우 아래 그림이 비칠 정도로 수정처럼 맑습니다. 24년의 세월 값인가 봅니다.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점심후 말차 한잔과 클라리넷 5중주..... ~ 끽다거(喫茶去) ~ 온 적이 있든, 온적이 없든, 모두 차나 한잔 하세. 오고 감에 걸린 이들도 차나 한 잔 마시게.W. W.A.Mozart' Clarinet Quintet Esbjerg Music Festival 클라리넷 5중주곡은 현악4중주에 클라리넷을 가한 편성으로 클라리넷의 부드러운 음색이 현악의 맑은 하모니와 어울려 로맨틱한 느..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습창차? 습창차? 습먹은 차. 습창에 보관된 차. 습창에서 작업된 차. 보이차에는 습을 기준으로 건창차와 습창차로 나눌 수 있을 겁니다.여기에 적창을 넣기도 합니다. 습이 적당히 작용하여 탁기는 없으며 잘 익은 차. 습을 먹은지 얼마되지 않은 차는 곰팡이 냄새(?)는 나지 않으며 습향만 납니다...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의 미학⑩] 차마시는 격식에 대하여 (휴대용 다기와 격식무용론) [茶器의 미학⑩] 차마시는 격식에 대하여 (휴대용 다기와 격식무용론) 차를 애호하는 사람들 가운데 어떤 이는 차마시는 문화가 대중화 되면 생활예절이 올바르 게 정립되므로 국민정서가 순화 될 뿐 아니라 전통문화의 계승도 저절로 이루어진다고 믿 고 있다. 그들은 차생활에서의 예..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의 미학⑨] 인성을 바꾸는 그릇 [茶器의 미학⑨] 인성을 바꾸는 그릇 李箱과 항아리 나부랭이 “가령 신라나 고려때 사람들이 밥상에다 콩나물도 좀 담고 또 장조림도 좀 담고 또 약주도 좀 팔고해서 조석으로 올려 놓고 쓰던 식기 나부랭이가 분묘 등지에서 발굴되었다고 해서 떠들썩하니 대체 어쨌다는 일인지 알 수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의 미학⑧] 찻그릇에 따라 달라지는 차맛 [茶器의 미학⑧] 찻그릇에 따라 달라지는 차맛 차맛의 구성 녹차의 맛은 떫은 맛, 단 맛, 쓴 맛, 감칠 맛 등이 적절히 조화돼있다. 떫은 맛은 카테킨류 (類)의 성분이 내고, 단맛은 유리당류(遊離糖類), 쓴맛은 카페인, 감칠맛은 주로 데아닌과 구루타민산 등의 아미노산 맛이다. 녹차는 쓴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 시리즈] ⑦찻사발의 미학(2) - 엔트로피의 미 [茶器 시리즈] ⑦찻사발의 미학(2) - 엔트로피의 미 ■엔트로피(entropy)란? 찻사발의 자연주의 미학은 다른 말로 엔트로피의 미학이다. 엔트로피는 ‘여러 형태의 에너 지가 관계되는 제 현상’을 설명하는 열역학 제2법칙에 해당하는 물리학 용어다. 열역학 제2 법칙인 ‘엔트로피 증가의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 시리즈] ⑥찻사발의 미학(1)-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 [茶器 시리즈] ⑥찻사발의 미학(1)-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 찻사발은 동양 정신을 담는 그릇 차는 그 덕성을 가장 잘 살려 주는 도자기를 만남으로써 다인들의 정신 영역을 확장시켜 주고, 영성(靈性)을 적셔주는 동양의 고전(古典) 음료이다. 도자기 또한 차와 만남을 통해 찻사발이라는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 시리즈⑤] 찻사발의 모습과 감상 [茶器 시리즈⑤] 찻사발의 모습과 감상 찻사발의 명칭 ▲ 찻사발은 매우 작은 공간이다. 그러나 이 공간은 하늘의 숨결과 땅의 정기로 피어 올린 찻 잎의 덕성과 인간의 마음을 담아 내는 그릇이다. 묵전요 김태한 찻사발 / 변희석 기자 도자기 부위에 대한 명칭은 동서양이 모두 인체에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의 미학④] 찻잔과 찻사발(다완) [茶器의 미학④] 찻잔과 찻사발(다완) 찻잔-잎차용 잔 다관에서 우린 잎차를 담는 찻잔은 잔(盞)과 배(杯, 盃)가 있다. 보통 잔에 비해 바닥의 굽이 높은 것을 배라고 부른다. 배에는 무사가 말을 타고 한 손으로 들고 마시는 굽이 높은 마상배(馬上盃) 등이 있다. 문향배(聞香盃)는 중국인이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
[스크랩] [茶器의 미학③] 다관의 기능성과 예술성 [茶器의 미학③] 다관의 기능성과 예술성 ▲ 잎차우리기 다관 / 변희석 기자 생김새보다는 쓰임새에 유의하는 걸 생활 미술에서는 ‘기능성’이라고 말한다. 공예적 관점에서는 아름다운 그릇보다 쓸모있는 그릇이 더 가치를 지닌다고 보는 만큼 기능성은 매우 중요하다. 쓰임새 면에서 .. 찻잔 속에 비친..... 2017.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