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가을 닮은 다식과 말차에 동방미인 이틀전 다우(茶友) 한분이 우리 동네와는 가깝지 않은 4-5구를 지나야 내가 사는 사하구에 올 수 있는데도, 우리 아파트 경비실 앞까지 와서 손수 정성을 다해 만든 먹기에 아까울 만큼 그림같은 다식을 주고 갔습니다. 가끔씩 다식을 주시기도 하여,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있는데, 또 이렇..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유홍준의 안목 - "청의 동자, 옥과 같구나" 이규보가 읊은 비취빛 사랑 [경향신문]ㆍ고려청자의 노래 “문화를 창조하는 것은 생산자이지만, 문화를 창달시키는 것은 소비자이다.” 이 명제는 아무리 뛰어난 예술적 생산이 있다 해도 세상이 이를 알아보지 못하면 묻혀버리고 만다는 명구로 예술 작품이든 상품적 제품이든 똑같이 해당된다. 고려청자의 예술..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유홍준의 안목] "조선인이 조선 접시를 몰라보나"..그를 일깨운 한마디 [경향신문]ㆍ미술 애호가 열전 - 2. 수정 박병래 아름다움을 향유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에 가깝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느끼는 미적 욕구, 미적 체험, 미적 향수(享受)는 문화 창조의 내적 동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아름다움이 구현된 예술품 감상 취미는 어느 시대에나 있었다. 다만 시대에 ..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10)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과 다도 2 (10)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과 다도 2 일본의 '차조(茶祖)' 에이사이 선사, 일본의 다도 발전에 큰 공헌2011년 09월 21일 (수) 17:17:42박영환 p-chonan@hanmail.net ▲ 다선일미(일본의 다도)의 책 표지 ‘끽다거’라는 말은 당대(唐代) 고승이었던 ‘종심(從諗)’(주 1)선사에서 비롯된 말이..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9)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과 다도 (9)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과 다도 선회의 ‘다선일미’ 정신, 원오・극근(圓悟・克勤)이 중흥2011년 09월 02일 (금) 16:41:00박영환 p-chonan@hanmail.net 경산사 전경 1) ‘다선일미’의 연원 차를 마시는 일은 참으로 즐겁기도 하거니와 바쁘거나 또는 지루한 일상생활 속에서의 ..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승학산 올라 벌 나비 함께 꽃 보고, 집에서는 茶, 香 승학산 중턱 바위에 기대어 기다리고 기다림이 꽃이된듯(6월 14일)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진짜로 안보이네요. 날이 좋은날에는 낙동강 하류와 신공항이 들어설 가덕도도 보이고, 멀리 현해탄 너머 일본 대마도도 어렴풋이 보이는데..... 발아래는 낙동강 하구둑인데 짙은 안개로..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비가 내리는 6월 첫번째 주말에 茶와 그리고..... 아파트가 승학산 기슭이라 아파트 울타리 쪽문을 나서면 바로 승학산 등산로이기에 자주 산책을 나가는데, 오늘은 비가 추적 추적 내리는데도 산책을 나갔다가 숲길가에 여름에 피는 꽃이 때 맞추어 피어 있기에.... 오늘 따라 카메라를 안가지고가 폰에 담아왔습니다. 還至本處(환지본..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커피 중용(中庸) 커피 중용(中庸) 대한민국은 커피 공화국이다. 2015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성인 한 사람이 마신 커피가 무려 640잔이란다. 매주 12번 이상 마신 셈인데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는 쌀밥을 먹은 횟수(7회)보다 훨씬 큰 수치이다. 이러다 보니 지난해 우리나라가 커피를 수입하는 데 지불한 ..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 1980年 12月 4日 (社)韓國茶人聯合會 제2回 茶文化硏究發表會資料 ~ 2014 계속작업 (자료 기록 정리 작성 입력 : 全木里) 차 : [명사] 茶 - 차나무의 준말다 : [명사] 茶 - <궁> 숭늉- 송나라 손목의 계림유사 방언(方言)에서 "고려인은 茶를 차 라고 한다" 라고 하..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불가(佛家)의 다게례(茶偈禮) <<불가(佛家)의 다게례(茶偈禮) >> 조선시대 불교의식을 적은 문헌에서는 다게(茶偈)-일종의 정형화된 다에 관계된 게송(偈頌)으로 주로 불전(佛前)에 있는 다기(茶器)로써 다를 행할 때 송한다-가 많이 나타나지만 막상 다례란 단어가 나타나기는 조선 중기 때이다. 지환도인(智還..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찻물 위에 뜨는 거품을 제거(괄다 刮茶)하는 사유 찻물 위에 뜨는 거품을 제거하는(괄다 刮茶) 사유 차를 마실 때, 특히 요지음 유행하는 우려내기로 마시는 포다법(泡茶法)으로 차잎 속의 각종 다소(茶素)들을 뜨거운 물(열탕 熱湯)으로 짧은 시간 동안 용출시켜 마실 때 주의점에 대하여 몇줄 적어본다. 아래 <세다(洗茶)와 괄차(刮茶)..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윤회매(輪廻梅)’ 재현한 예인 김창덕 [新 한국의 명장] . [新 한국의 명장 <마지막회>] 내가 너를 매화로 꽃피우기 전엔 너는 다만 밀랍에 지나지 않았다 ‘윤회매’ 재현한 예인 김창덕 조선시대 실학자 이덕무는 밀랍으로 매화를 만들고 ‘윤회매’라 이름 붙였다. 꽃에서 나온 밀랍이 다시 꽃이 되었으니 윤회한 꽃이라는 뜻이다. 이덕..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통도사 자장매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습니다.(어제 2월 2일) 어제 오후 통도사 자장매 통도사 옥련암과 백련암 갈림길에 접어드니 높이 나무위에서 목탁 소리가 나기에 옛사람들이 조과(鳥&#31392;) 선사라고 불렀던 진망산(秦望山)의 도림(道林)선사가 해동 영축산에 와서 좌선은 안하고 왠 목탁인가 하고, 백낙천(白樂天)이가 못 물어본 걸 물어 ..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먼저 온 수선따라 영춘화도 오고 홍매도 방긋.... ~~~ 영춘화 야들야들 피는 들창에 이 강산 봄소식을 편지로 쓰자 며칠전 부터 집 베란다에 봄을 맞는다는 영춘화(迎春花)와 홍매가 환한 모습을 드러 냈습니다. 영춘화와 개나리는 꽃잎의 수로 구분된다고 하네요. 개나리는 꽃잎이 넷 영춘화는 꽃잎이 여섯 창밖 아파트 앞마당에는 주차..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수선과 말차 설중사우(雪中四友), 눈 내리는 한 겨울 추위도 아랑곳하지 않고, 고운 자태 드러내어 북풍한설 사뭇친 마음에도 잔잔한 평온과 새봄을 안겨주는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다매(茶梅). 수선(水仙). 이중 ‘옥매’는 ‘백매’고, '다매'는 '산다화'(山茶花)라고도 부르는 ‘동백꽃’. ‘납.. 찻잔 속에 비친..... 2016.10.22
[스크랩] 녹슨 철 탕관, 어떻게 처리할까요? 중국의 철 탕관이 녹이 슬었을때 대처법이 적혀있는 글이 있어 번역해보았습니다.^^ 혹시, 철 탕관 안에 녹이 생기셨다면,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 녹슨 철 탕관, 어떻게 처리할까요? 번역: 以茶靜心 녹슨 철 탕관, 어.. 찻잔 속에 비친..... 2015.11.03
[스크랩] 만일염불기도 100일 회향후 향(香)을 듣고 차(茶)를 보며.... 持戒念佛萬日修行(지계염불만일수행) 100일 회향법회 관음사 원통보전 불기2559(2015)년 3월 10일 주지스님께서 법문중이십니다. 남은 9천 9백일을 다 채우고자 함이니...... 절아래 집에 돌아와...... 향로 '상운용두로'에 침향(베트남산 선향)을 사루어 거실안에 탁기를 누르고..... 祥雲龍頭爐(.. 찻잔 속에 비친..... 2015.04.08
[스크랩] 부처님 오신날의 통도사와 낙화놀이 삼성반월교 앞에 마련된 낙화놀이 연등. 연등 옆에 매달아 놓은 굵고 짧은 낙화줄은 한지에 숯과 소금을 넣어 말아 놓은 것임 저녁 7시 30분경 삼성반월교에 늘어서신 원산 도명 주지스님과 7국장스님들의 염불속에 &#55055;불로 낙화줄 하나 하나에 점화를 하기 시작합니다. 점화후 어느.. 찻잔 속에 비친..... 2014.10.28
[스크랩] [초의스님 다삼매를 찾아 (9)] 서상수계〈瑞祥受戒〉 [초의스님 다삼매를 찾아 (9)] 서상수계〈瑞祥受戒〉 칠불암 서상수계 비밀 ‘다신전’ 으로 드러나다 다신전 후기에 언급된 ‘스승’은 금담 스님 초의, 칠불암 아자방서 장원의 ‘다록’ 필사 ▲김수로왕의 일곱 아들이 출가했다는 칠불암 내 아자방. 초의 스님은 이곳에서 후에 ‘다.. 찻잔 속에 비친..... 2014.10.28
정월 대보름! 차 한잔 드시고 積善功德行으로 행복한 한해가 되시길 빕니다 정월 대보름날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하는데, 상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 의 하나로 삼원이란 상원(1월 15일),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을 말한다고 합니다. 도가에서 이 날은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고 한답니다. 그래.. 찻잔 속에 비친..... 201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