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잔 속에 비친.....

[스크랩]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청원1 2016. 10. 22. 22:46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 1980年 12月 4日 (社)韓國茶人聯合會 제2回 茶文化硏究發表會資料 ~ 2014 계속작업
  (자료 기록 정리 작성 입력 : 全木里)
 
차 : [명사] 茶 - 차나무의 준말
다 : [명사] 茶 - <궁> 숭늉
- 송나라 손목의 계림유사 방언(方言)에서
"고려인은 茶를 차 라고 한다" 라고 하였으니,
고려인 역시 차를 마셨던 것이다 -
(李圭景 1788-1856 의 도차변증설)
가 :    - 차나무, 개오동나무, 차의 맛이 감미로운 것, 쓴차, 두 번째 딴차 고차를 의미
도 :    - 씀바귀 도, 처음 딴 차, 육우가 한획을 빼고 차茶자로 만들었다.
명 : 茗 - 늦게 따는 차, 네 번째 딴 차
설 :    - 향기로울 설, 중국 촉나라 사람들이 차를 설이라 함. 세 번째 딴 차
차 : 茶 - 마실 때 쓰지만 삼키면 단 것, 처음 딴 것을 차라함
0천 :    - 차의 맛이 쓴 것, 늦게 딴 차, 다섯 번째 딴 차
가례 : 家禮 - 가정의례, 중국 宋代 주희朱熹(朱子)가 지은 예서禮書. 5권과 부록 1권.
1169년에 삼례 가운데 가정의례에 관한것을 모아 가례라는 책으로 집필한 데서 연유된 것으로 朱子家禮로 널리 알려짐. 관冠. 혼婚. 상喪. 제祭에 관한 예법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 전해졌고, 조선조에 들어와 四禮의 기준으로 정착되었다.
禮訟의 원인이 되기도 했지만 , 禮學 발전에 기여하였다.
1969년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함.
가례의절 : 家禮儀節 : 丘氏儀節 : 丘儀 - 중국 明代 유학자 구준丘濬이 편집한 禮書.
  8권.주자가례를 시행하는 절차와 착용하는 복장 등에 대해 그림을 첨부하여 해설
  해 놓았다.
가루차 : 분말차 粉末茶
가바차 : GABA Tea :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함량이 많은 차로 혈압상승 억제작용-녹차는 잎을 딴 후 쪄서 만드나 가바차는 찌기 전에 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질소나 이산화탄소 기류 중에서 5시간 정도 보존하고 그후 일반방법에 따라 만든다.
가친 : 家親 - 자기 아버지에 대한 옛스러운 표현
각 : 角 - 차의 수량 단위. 고대 곡물을 재는 양의 단위. 五代 한근의 연고차를 일각으로 포장
각다 : 각차 : - 고대 중국의 차에관한 국가 전매제도를 지칭(당-송/원-명-청)
각다고 : - 다산의 經世遺表 지관 부공제 속에 들어있다.
국가에서 차를 專賣하여 그이익을 전유함을 말하는 것으로, 차무역을 제안한 내용. 중국 역대의 차 전매정책을 통해 중국의 차문화사를 살핀 최초의 저작이다
간아 : 揀芽 - 일창일기의 찻잎(대관다론)
감미 : 甘味 - 단맛
갑 : 匣 - 산차의 단위 "香茗 8匣을 드리오니...이면흠의 서찰 중)
강 : 綱 - 근본, 벼리, 법, 줄, 끈, 생물 분류상의 계통, 고대 운수화물의 단위 등 第1綱은 제일 먼저 만들어 보내는 몫을 말함
두강(頭綱)은 옛날 경칩 혹은 청명 전에 처음 완성된 공다로, 수비공다라 한다.
강귤차 : 薑橘茶 - 생강과 귤껍질 차
강발효차 : 强醱酵茶 - 홍차(95%)와 같은 효소발효차를 말함
결연과 혈연 : 結緣 血緣 - 결연은 처가로서 피가 섞이지 않았으나, 혈연은 친가와 외가로 피가 섞였음을 의미한다.
개수통 : 改水筒 - 退水器, 차를 달이며 나오는 물이나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
개완 : 蓋碗 - 중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뚜껑있는 찻잔. 찻잎을 넣고 온수로 우려 뚜껑을 조금 연 사이로 마신다.
고려도경 : 高麗圖經 : 宣和奉使高麗圖經 - 중국 宋代 서긍徐兢이 지은 책. 총 40권.
 1123년 송나라 사신의 일원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당시의 견문을 그림과 글로 설
 명한 것으로, 28개 문門 300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고부간과 구부간 : 姑婦間 舅婦間 - 고부간은 시어머니와 며느리, 구부간은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를 일컫는 말이다.
고애자 : 孤哀子 - 부모님 두 분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 상주가 자신을 일컫는 말
고자 : 孤子 - 어머니는 생존해 계시고 아버지만 돌아가셨을 경우 상주가 " " "
고차 : 苦茶 - 쓴차. 작설雀舌을 말함
공수 : 拱手 - 서서 있을 때 왼손과 오른손을 단전丹田 앞에서 모아 잡는 것을 말함
옛 문헌에는 이를 차수叉手 라고 하였다. 남자와 여자가 반대이고, 흉사와 평상시에도 반대로 한다.
순 : 筍 - 차나무에서 새순이 올라와 침과같이 뾰족한 상태의 찻잎. 도톰하고 윤기 흐르는 충실한 차의 싹
아 : 芽 - 아주 여린 싹, 차나무에서 새순이 올라와 뾰족한 잎이 펴진 상태의 찻잎 순과 달리 곁가지 중에서 제일 솟은 것
엽 : 葉 - 찻잎이 어느정도 자라 잎으로 변한 찻잎(1槍2旗)
차는 일찍 따는 것을 가고차佳苦茶(작설). 성질이 약간 차고 독성이 없다.
일찍 딴 것이 차茶이고 늦게 딴 것이 명茗이다.(1757.6.22 扶風鄕茶譜-황윤석)
차를 두고 차茶, 도, 가, 설, 명茗, 천이라 하는데 채취 시기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본디 이것은 초목의 이름이며 음료의 이름이 아니다(정약용-아언각비)
차의 오묘함 - 처음 차를 만들 때의 정성과 차를 저장하는 법과 끓은 물에 차를 우려내는 데에 있다.
차나무 : 품종 구분
교목형 : 喬木型 - 나무 높이가 8m를 넘는 차나무
소교목형 : 小喬木型 - 높이가 6-7m 정도의 차나무
관목형 : 灌木型 - 높이가 2m 이내로 줄기가 불분명 하다.
소엽종 : 小葉種 - 찻잎의 길이가 7cm 이하
중엽종 : 中葉種 - 찻잋의 길이가 7~10cm 인 것
대엽종 : 大葉種 - 찻잎의 길이가 10cm 이상인 것
가목 : 嘉木 - 이로운 좋은 나무, 진귀한 나무(茶經)
가수 : 嘉樹 - 같은 뜻 " " (東茶頌)
간다 : 揀茶 - 찻잎을 따서 익히고 난 다음 골라내는 일
감 : 柑 - 귤, 재갈
감과 : &amp;#22377;鍋 - 끓이는 솥. 녹여서 만든 솥
감초 : 甘草 - 차의 별칭. 단풀
강 : 薑 - 생강
강남 : 江南 - 지금의 중국 강소성, 절강성, 복건성, 안휘성, 강서성, 호남성, 귀주성
강염차 : 姜鹽茶 - 차와 소금과 생강을 넣어 만든 차(中 소수민족 차-야오족)
개문칠건사 : 開門七件事 - 옛부터 중국에서 일상에 필요한 7가지를 말한다. 즉 땔나무, 쌀, 기름, 소금, 식초, 장, 차를 말한다.
개여 : 開&amp;#30066; - 차밭 가꾸기. 차밭에 심한 잡초들을 제거하고 거름을 주며 북돋아 주는 등의 일을 통틀어 개여라 한다. 이때 차와 성질이 잘 맞는 오동나무는 둔다
개원 : 開園 - 산골에 사는 사람들이 여름 이전에 처음 따는 차를 개원이라 했다.
갱 : 羹 - 국
거 : &amp;#31589; - 숯광주리
건 : 巾 - 행주, 수건
걸명소 : 乞茗疏 - 다산이 1805년에 아암 혜장에게 차를 보내달라고 부탁하는 편지
검 : 儉 - 겉으로 그 본색을 잘 표현하지 않는 선비 수양의 수단이다. 검약儉約 뜻
격불 : 擊拂 - 연고차를 가루내어 탕수를 붓고 차시로 저어서 거품을 내는 행위 문헌에는 휘종의 '대관다론'이 처음이다. 말차를 넣고 열탕을 부어 차선을 이용해 거품을 내는 행위
견 : 絹 - 비단
경구 : 瓊玖 - 옥맷돌에 갈아 가루내 끓임
경덕진요 : 景德鎭窯 - 중국 唐, 宋代 최대 요업지로 청백자, 청화, 유리홍, 오채 등
다채로운 자기를 구워 대량생산 수출한 명도요지
경도발효 : 輕度발酵 - 효소에 의한 산화가 20%이하의 약발효차를 이름
중국의 白茶나 대만의 包種茶 등
경수 : 硬水 - 센물,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많은 경도 20도 이상의 물
양조용 외 공업용수로는 부적당함
연수 : 軟水 - 단물, 경도 10도 이하의 물. 지하수나 천연수로 차를 달이기 좋다.
경양 : 景暘 - 볕에 말림
경정 : 京鋌 - 남당(943-957 보대) 연간에 만든 증청단차로 송대 초까지 있었고 나중에 용봉차가 생산되면서 경정은 후에 대용단(大龍團)으로 변했다.
계 : 棨 - 장신구의 창이나 송곳(다경)
계 : 桂 : 육계 : 肉桂 - 계수나무의 껍질
계화차 : 桂花茶 - 7-8월에 피는 계수나무 꽃차
계림유사 : 鷄林類事 - 宋代 손목孫穆 저술. 방언조에서 "고려 사람들은 茶를 차라고 일컫는다"고 함
추도 : 錐刀 - 송곳, 작은 칼
춘차 : 春茶 - 한여름부터 딴 차를 말한다.
조춘 : 가을 7-8월에 한번 더 따는 것을 말한다.
고 : 膏 - 찻잎 속에 있는 차의 즙. 찻잎을 고아서 얻은 엉긴 것(茶膏)
고구사 : 苦口師 - 차의 별칭 '입에 쓴 대사'라는 말로 곧 차를 가리킨다.(唐 皮光業)
고금지성 : 鼓琴之聲 - 물이 끓는소리(소이의 십육탕품)
고려도경 : 高麗圖經 - 중국 宋나라 사신 서긍(徐兢 1091-1153)이 1123년 고려를 방문 보고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로 총 46권이다. 원명 '선화봉사고려도경'을 줄인말
고로종 : 膏蘆種 - 운남 대엽종을 말한다.
고미 : 苦味 - 쓴맛
고삽미 : 苦澁味 - 쓰고 떫은맛
고차 : 苦茶 - 쓴차, 일명 雀舌
일찍 따는 것을 茶, 늦게 따는 것을 茗, &amp;#27295;, &amp;#34062;, 茗, &amp;#33608; 등은 채취 시기의 빠르고 늦음을 가지고 이름 붙인다.
고유 : 膏油 - 차에서 생기는 기름, 떡차를 만들 때 압착하고 말리는 과정에서 나온다
고형차 : 固形茶 - 분말하여 굳게만든 것과 잎그대로 굳게 한 차를 총칭
고황 : 枯黃 - 색택이 황색에 광택이 없다(관능평가)
곡우차 : 穀雨茶 - 4월 20일경 곡우 날 만든 차. 곡우전에 만든 차를 雨前茶- 우후차
공차 : 供茶 - 불교 신자가 차를 공양하는 것
공차 : 貢茶 - 대만 버블티. 홍차 우롱차, 녹차 등의 잎차에 우유를 섞은 후 열대식물 뿌리에서 채취한 젤리를 구슬모양으로 만든 타피오카 펄을 넣은 음료다.
공신과 : 貢新&amp;#37529; - 송대 어원에서 만든 연고차의 이름
과반 : 菓盤 - 다과를 담는 그릇
곽산 : &amp;#38669;山 - (중)지금의 안휘성 육안의 곽산현
관동 : 款冬 - 머위
관례차식 : 官禮茶食 - 추석명절 때 찻물에 타서 먹는 월병의 한 종류
광릉기로전 : 廣陵耆老傳 - 광릉은 지금의 강소성 강도현 동북지역. 기로전은 70세이상의 노인들에 대한 기록이다.
곽홍농박 : 郭弘農璞 - 이름은 곽박. (276-324) 이아爾雅에 주注를 달아 유명해짐
관혼상제 : 冠昏喪祭 - 관례,혼례, 상례, 제례 즉 4례라 함. 다만 저녁무렵에 치르던 昏禮가 婚禮로 용어도 바뀌었다.
교상 : 交床 - 솥 놓는 상
교지 : 敎旨 - 4品 이상의 관원에게 주는 사령장辭令狀
구 :  - 사발, 작은합, 바리(발우鉢盂)
구 :  - 부추
구열 : 具列 - 찻장, 진열대
구증구포 : 九蒸九暴- 차의 약성을 좋게하기 위해 9번쪄서 9번 말린다는 말.찻닢을 가마솥에서 덖고 유념시키며 건조하는 과정- 9는 滿數이므로 여러번의 뜻으로 흔히쓴다.(강진 보림사 竹露茶, 靑苔錢 1919년 까지 만듦)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세종 때 만든 주요 국가적 의례로서, 제사 및 관례와 혼례 등의 의식인 길례吉禮, 경사스러운 의식 즉 왕실의 즉위, 성혼, 책봉 등의 의식인 가례嘉禮, 손님을 맞이하는 빈례賓禮, 군사와 관련된 군례軍禮, 죽은 사람의 시신을 정성스레 매장하는 상례喪禮를 의미한다. 군왕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그 신분에 상응하는 예제에 따르도록 예의 기본을 정립한 조선왕조시대의 대표적인 예서이다.
귤피 : 橘皮 - 귤 껍질
근 : 菫 - 씀바귀
글루코스 : 포도당 : Glucose - 과당과 함께 단맛이 있는 과일에 많이 들어있는 당 혈액 중에는 약 0.1% 들어있다.
금릉 : 金陵 - 전남 강진의 옛이름
금산취아 : 金山翠芽 - 중국 강소성 진강시 금산에서 생산되는 차
금릉 원산차 : 일제강점기에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에서 생산된 최초의 두 제품
급수 : 急須 - 일본에서 차를 끓이는데 쓰는 차 주전자를 말함 전차기의 하나,급미소(急尾燒), 차내기 라고도 한다. 중국 明代에 일본으로 전래됨. 토병(土甁), 약관(藥&amp;#38005;)류, 동기(銅器), 고도자기(古陶磁器), 수주(水注),주주(酒注), 유리, 도기, 자기 등 소재가 다양하다.
기능성 : 機能性 - 우리 몸 안에서 여러가지 작용을 조절하는 생리작용
기문홍차 : 祁門紅茶 - 중국 안휘성 기문에서 생산되는 공부홍차 명품으로, 스리랑카 산의 우바홍차, 인도산의 다즐링과 함께 세계 3대 명차의 하나
기생식물 : 寄生植物 - 딴 생물에 붙어 양분을 먹고 사는 식물
기상 : 起霜 - 녹차의 표면에 은회색의 광택이 보인다(관능평가)
기석차 : 碁石茶 - 일본 고지현의 고전적인 번차(番茶)의 하나, 후발효차의 일종
기일 : 忌日 - 돌아가신 날 즉 제삿날. 忌祭祀, 忌日祭祀, 忌祭日, 命日, 諱日 이라고도
기창 : 旗槍 - 중국 절강성에서 생산되는 녹차(龍井茶)
기호 : 嗜好 -즐기고 좋아하는 것(-식품, 음료 : 차, 커피, 코코아, 청량음료, 술, 담배,탄산음료, 우유류, 과즙, 과육, 알콜음료 등
기화차 : 騎火茶 - 금화(禁火)의 한식 때 3일내에 찻잎을 따서 만든 차
긴압차 : 緊壓茶 - 증압(증압) 하여 단단하게 만든 차로 주산지는 중국의 四川, 雲南,湖南, 湖北, 廣西 등지로서 내몽고를 포함한 변방지대 소수민족이 주로소비하고, 모양은 장방형, 타원형 등이 있고, 원료에 따라서 녹차로 만든 녹전차 홍차로 만든 홍전차, 포종차로 만든 청전차, 흑차로 만든 흑전차 등으로 구분 한다. 220년에 이미 떡차(餠茶) 기록과 唐, 宋代에도 병차가 주류를 이루었다. 장기보존이 가능한 이차는 유목민족에 애용됨.(호남성의 黑&amp;#30938;茶), 운남성의 普&amp;#27953;團茶類, 광서성의 六堡茶, 사천성의 &amp;#27825;茶가 유명하다. 큰 것은 人頭茶, 花卷茶 등이 있다.
길경 : 桔梗 - 도라지
길주 : 吉州 - 지금의 강서성 길안시
길주요 : 吉州窯 - 중국 강서성 길안부 영화진에 있어 永和窯라고 함. 자기 등을 굽다가 南宋代 농갈색의 유약으로 天目茶碗을 생산 일본에서 명품 인정 받음
김네마 차 : Gymnema Tea - 식물성 음료로 당뇨나 식이요법에 쓰인다.
김정희 : 金正喜 - 1786-1856 아호 秋史, 阮堂, 老果 등 100 여개. 이조참판서화에 뛰어나 秋史體 대성. 조선 金石學의 태두. 9년간 제주도 유배생활- 초의와 역관 이상적 등 벗과 제자들로 차와 일생
꽃차 : 花茶 - 꽃이나 차에 꽃을 섞어 넣어 만든 차(말리화차)
끽다 : 喫茶 - 차를 마신다. 차를 내린다.(끽다去, 끽다來)
끽다양생기 : 喫茶養生記 - 일본 최초의 다서, 榮西스님이 1211년경 쓴 茶書. 宋나라 말차법 내용이 &amp;#30938;茶제법과 함께 기록됨. 중국 太平御覽을 모사한 것
백운 옥판차 : 이 두 제품은 잠깐 생산되다 소비자가 없어 계속 이어지지 못했다.이후 1962년 김복순 조태연씨 부부가 화개에서 녹차 상품화의 길을 열지만 실패함
나합 합 : 羅合 盒 - 체와 합
납차 : 臘茶 - 섣달차, 맥과차麥顆茶. 상등품의 여린 잎을 골라 곱게 갈아 체에 거른 후 뇌자 등 여러 향유를 섞어 떡 모양으로 찍어내 마르면 향기 나는 기름으로 윤기를 내고 꾸민다(대룡단,소룡단) 공납에 충당하므로 민간에서는 보기 어려웠다.냉면초 : 冷面草 - 차를 말한다
노차장 : 老茶莊 - 오래된 차상점
노황 : 露黃 - 녹차에서 소량의 노란 잎과 부스러기가 섞여 있다(관능평가)
녹윤 : 綠潤 - 녹색이 선명하고 광택이 풍부하다(관능평가)
녹차 : 錄茶 - 발효되지 않은 차. 불발효차
녹취 : 綠翠 - 푸른 비취와 벽옥의 녹색에 선명한 빛이 나는 고급녹차(관능평가)
녹황 : 綠黃 - 황색 중심에 약간 녹색을 띤다. 탕색과 엽저의 용어로 쓰임
농차 : 濃茶 : 고이차 -큰 찻사발에 가루차를 넣고 물을 부어 섞어서 여럿이 돌아가면서 마시는 차법. 원래는 중국 당나라 때부터 유행한 차법이지만, 일본의 가마쿠라 바쿠후와 무로마치 바쿠후 무사들이 특별한 형식으로 발전시켜 일본 다도의 핵심이 되었다.
눈록 : 嫩綠 - 선명한 녹색에 엷은 황색이 약간 섞인 고급녹차(엽저와 탕색에 사용)
다구도찬 : 茶具圖贊 - 1269년 남송대에 심안노인(審安老人)이 쓴 것. 당시의 연고차 를 마시는데 필요한 다구 12가지를 읜화하여 설명한 작품이다. 심안노인을 원대의 동진경이라 보는 이도 있다. 그의 당호가 심안서실이다.
다가 : 차가 : 茶架 - 차를 얹어놓는 시렁
다각 : 차각 : 茶角 - 차를 우리는 사람. 그일을 맡아보는 사람
다각 : 차각 : 茶殼 - 차를 달인 후 남은 것. 차 찌꺼기
다각 : 차각 : 茶&amp;#27063; - 정부가 차를 전매품으로 삼음
다갈색 : 茶褐色 - 검은 빛을 띤 적황색
다건 : 차건 : 茶巾 : 茶布 - 차수건. 무명베나 삼베 등으로 만든다
다경 : 차경 : 茶經 : 8세기 중엽 760년경 중국 唐나라  陸羽가 지은 3권의 차서.
  가장 오래된 책으로 차의 모든 것을 집약하고 당대의 차생활도 기록했는데
  상권은 차의 기원, 차를 만드는 법과 도구, 중권은 茶器, 하권은 차를 끓이는 법과
  마시는 법, 생산지와 문헌 등이 기록되어 있다.
  육우는 중국의 茶聖으로 불린다.
다공 : 茶供 - 차를 달여 올림
다공리 : 茶貢里 - 경남 거제군 연초면의 지명으로 옛날 차를 진상한 곳(땃공리)
다과 : 茶菓 - 차를 마실 때 곁들이는 과일이나 과자
다과 : 茶課 - 차에 세금을 매김
다과기 : 茶果器 - 다과를 덜어먹는 그릇
다과상 : 茶菓床 - 차와 다식 과자를 차린 상. 교자상이나 주안상 다음에 내는 후식상으로 또는 식사대접이 아닐 때 손님에게 차려낸다.계절에 어울리는 떡류, 조과류, 생과류, 음청류, 더운차 등 각색별 유밀과,유과, 다식, 숙실과, 생실과, 화채, 차 등을 차린다.
다과회 : 茶果會 - 차와 과자를 마련한 조촐한 모임
다관 : 차관 : 茶館 - 고려시대 외국 사신이 출입하던 다방. 중국에서 상인들간의
사교장, 점심 후 차를마시는 곳
다관 : 차관 : 茶罐 - 찻주전자. 끓인 물로 차를 넣어 우려내는 다구, 급수急須, 차주茶注, 주춘注春, 차병茶甁, 차호茶壺 등으로 쓰기도 한다. 만드는 재료에따라 청자, 백자, 분청 등 자기류와 은, 놋쇠, 백동, 주석,곱돌 등이 있다.
손잡이 형태에따라 上把型, 후파형, 횡파형, 寶甁型(손잡이가 없는것) 등이다.
다구 : 차구 : 茶臼 - 차절구. 고려말 유학자 이곡 지은 시 寒松亭 등에 나온다.
다구 : 차구 : 茶具 - 차를 달여마실 때 사용되는 도구 일체를 말함
다기, 물항아리, 탕관, 차관, 식힘사발, 찻잔, 찻잔받침, 차통, 찻술, 개수통, 차쟁반, 표주박, 행주, 차풍로, 찻상, 상보, 찻장 등
다기 : 차기 : 茶器 - 찻그릇. 차마실 대 사용되는 차도구의 총칭
다기 : 茶旗 - 차의 잎
다담 : 茶擔 - 고려시대 다담군사가 차를 운반하는 찻짐(왕이 상원일, 연등일,팔관회 등에 행차 때)
다담 : 茶談 - 차를 마시며 나누는 담소, 덕담, 풍류스런 정담.
다담상 : 茶啖床 - 손님 대접으로 차려내는 교자상
다당주 : 茶當酒 - 차로써 술을 대신하는 것
다대 : 茶臺 - 차를 올려놓는 대
다도 : 차도 : 茶道 - 차를 마시는 다사를 통하여 심신을 닦는 행위,평범하고 일상적인 일을 통해 중정을 잃지않는 예법과 군자의 기질, 덕을 기르는 일 동양 3국 이 모두 사용하고 있다.
다라 : 차라 : 茶羅 - 찻가루를 곱게 내는 채, 차를 거르는 채
다략 : 茶略 - 차나무의 개략(明代 전춘년이 지은 제다신보)
다례 : 차례 : 茶禮 - 음력 초하루, 보름, 명절 등 낮에 차를 올리는 제사
다로 : 차로 : 茶爐 - 차를 달이는 화로
다록 : 茶錄 - 차에 대한 기록, 宋代 채양의 저서 이름
다롱 : 茶籠 - 생차를 넣어두는 대나무 바구니
다료 : 茶寮 - 끽차점, 다방, 요리점
다류 : 茶類 - 차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류를 말함
다리 : 茶里 - 차를 생산하는 곳
다매 : 茶梅 - 산차의 별종, 동백나무의 별칭, 차나무는 동백나무과에 속함
다마 : 차마 : 茶磨 - 차 맷돌. 덩이차를 가루 내는데 쓰는 도구.(석전운石轉運) 고려시대 성행한 말차를 가는데 사용한 맷돌(성종이 손수 차를 갈았다는 기록)이인로의 시 '승원다마', 이규보가 선물받은 다마, 개경에서 출토된 다마 등 중국 장강 북쪽에서 나는 청몽석 다마가 유명
다모 : 차모 : 茶母 - 관비 가운데 차를 담당하는 여인. (영조 때 직분변경)다방에 있는 여시중
다반 : 차반 : 茶盤 - 다구를 정돈하여 두는 쟁반, 찻잔을 나르는 쟁반 목재로 만든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등의 모양이 있다. 찻그릇을 얹는 예반, 혼인 잔치나 생일잔치 때 차려내는 손님 상
다반 : 茶飯 - 차를 이용해 지은 밥, 예물로 차린 음식(개차반-행실이 고약한 자)
다반사 : 茶飯事 - 밥먹듯 차를 자주마시는 일, 보통의 일, 예사로운 일(恒茶飯)
다방 : 차방 : 茶房 - 신라, 고려 궁중에서 차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연등회) 중국은 관부내의 차 달이는 곳을 말함. 찻집, 끽차점, 차를 마시며 쉴수 있는 영업집, 차를 넣어두는 방
다방주점 : 茶坊酒店 - 차가게와 술집
다배 : 茶焙 - 차를 말림. 건조기
다백회 : 茶百會 - 1815년경 규합총서(빙허각 이씨) 설부에 나오는 옥선고, 만감 후, 냉면초, 고구사 등의 차를 끓일 때 변화무상한 차의 변화를 다백회라 부름
다법 : 茶法 - 차를 달이는 방법. 나라에서 차를 통제하는 법
다병 : 찻병 : 茶甁 - 주로 자기로 만들어 불에 올려 탕을 끓이는 병. 지금의 탕관.차를 넣어 보관하는 병
다보 : 차보 : 茶譜 - 차의 계보, 모문석毛文錫이 지음, 건주의 北苑茶, 쌍정의 白芽茶에 대한 기록담음
다부 : 茶賦 - 조선 성종대 문인 한재 이목(1471-1498) 선생의 1495년 작품. 차를 칭송한 글이 없음은 어진이를 버려둠과 같기 때문에 쓴다고 함. 음차생활의 에서 얻은 체험을 기술한 것. 차의 오공 육덕 칠효능에 대한 예찬과 조선 선비의 산문시이다. 김종직 선생의 문하생, 무오사화 때 참형
다사 : 차사 : 茶事 - 차에 관한 여러가지 일. 일본의 茶會를 말함
다산 : 茶山 - 정조대 유학자 丁若鏞의 호. 선조대 문신 睦大欽의 호(茶山集)
다상 : 차상 : 茶商 - 차를 거래하는 상인
다상 : 차상 : 茶床 - 고려도경(宋나라 사신 서긍 1091-1153)에 붉은 찻상과 붉은 비단 상보, 다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 나무,도자기, 은 ,동 등으로 만듬. 일본은 모든다구를 거두어 진열하는 것을 구열具列(床型과 架型)
다선 : 차선 : 茶&amp;#31557; - 대나무를 잘라 만든 차를 젓는 솔(차전茶筌) 차를 포립(격불-거품내기)하는 도구. 문헌상 宋代 大罐茶論에 처음나와
다선다신 : 茶仙茶神 - 차를 혼자서 달여마실 때의 경지를 이름
다선일미 : 茶禪一味 - 차와 선은 동일한 경지라는 비유
다소 : 茶疏 - 1607년 明代 허차서가 지은 茶書
다소 : 茶素 - 카페인. 1827년 영국 Oudry가 차에서 발견한 Theine 에 붙여짐
다시 : 차시 : 茶時 - 조선시대 사헌부에서 관인들이 다시청에 모여 매일 한 차례 차를 마시며 공정한 판결을 기하기 위해 서로의 불화를 화해하고 잘잘못, 부정 불법을 서로 반성, 고발하는 자체 정화의 시간을 위하여 회석하던 시간
다시 : 茶市 - 차를 거래하며 무역하는 시장
다시 : 차시 : 茶匙 - 차뜨는 숟가락
다시 : 차시 ; 茶詩 - 고려시대 이후 문인들은 차 선물을 주고 받으며 차시를 써서 화답하곤 함. 주로 차의 고마움과 마시면서의 고아한 인격과 다구 등을 주제로 하여 수많은 차시가 읊어졌다.(1800년대 임하필기, 1567-1577 미암일기, 1613년 지봉유설, 유산필기 등에서 차시를 설명)
다식 : 茶食 - 송화가루나 콩, 깨, 밤 등의 가루를 엿이나 꿀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낸 것(성호사설: 이익)
다식과 : 茶食菓 - 油蜜菓의 하나. 밀가루, 기름, 생강즙, 꿀, 소주 등을 섞어 반죽해 약과판에 박아내어 기름에 지져서 만든다.
다식판 : 茶食板 - 다식을 박아내는 틀(감나무, 밤나무, 참나무, 박달나무 등)
다신 : 茶神 - 전설의 왕 神農씨나 唐代 陸羽를 기려 부를는 말
다신계 : 茶信契 - 다산 정약용이 전남 강진에 유배당시 그지역 제자들과 맺은 모임
다신전 : 茶神傳 - 초의 장의순이 1830년 '萬甫全書' 중 차에관한 것을 뽑아 편찬함
다실 : 차실 :茶室 - 차회로 사용하는 방. 다방.
다약 : 茶蒻 - 차를 포장할 때 쓰는 갈대 잎
다애 : 茶靄 - 차를 끓일 때 나오는 아지랑이, 연기
다연 : 차연 : 茶硏 - 차를 가는 기구
다연 : 차연 : 茶宴 - 차를 마시며 즐기는 연회
다영 : 茶英 : 차를 귀히여겨 아름답게 표현한 낱말
다옹 : 茶翁 - 茶經을 지은 陸羽를 가리킴
다완 : 차완 : 茶碗 - 찻사발. 가루차를 마시는데 쓰는 그릇으로 계절별, 경조사별,지역별, 태토별, 유약별, 사용 기능과 만드는 방법 등 그 종류가 다양해 선조들의 미의식과 풍류를 엿볼 수 있는 다기이다. 그릇이 없었던 일본은 임진왜란 때 수탈해간 정호다완을 국보로 모실정도로 탐닉하였다.(청자, 백자, 흑유, 분청 등)
다원 : 차원 : 茶園 - 차나무 밭, 차를 재배하는 농원
다위 : 茶衛 - 차의 위생을 말함. 조차 즉 차를 만들 때는 정선해야하고, 장다 즉 저장할 때는 언제나 건조해야 한다. 차를 다룰 때는 정하고 건조하고 청결해야 한다.
다인 : 차인 : 茶人 - 차문화와 관련된 활동을 하며 차마시는 생활을 하는 사람
다장 : 찻장 : 茶欌 - 차도구나 다과를 간수하는 함. 또는 장농
다재 : 茶滓(日本) - 차 찌꺼기
다적 : 茶積 - 차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마른차를 그대로 먹게되는 것을 이름
다전 : 茶錢 - 차값
다전 ; 茶田 - 차를 재배하는 밭
다점 : 茶店 - 차를 파는 가게, 찻집, 다방
다정 : 차정 : 茶亭 - 다점, 다정자의 줄임말, 궁중연회시 다병 등을 올려놓는 탁자 차를 마시기 위한 차림 중 하나
다정자 : 茶亭子 - 다과를 올려놓는 탁자
다조 : 茶俎 - 찻그릇의 하나
다조 : 茶槽 : 茶俎 : 茶臼 - 차끓이는 부뚜막. 찻일을 하는 부엌이나 작업대
다종 : 차종 : 茶鐘 - 고려 때 사용된 청자다종, 놋다종, 은제다종 등 뚜껑이 있고 잔대의 굽이 높다.
다죽 : 차죽 : 茶粥 - 차 물로 끓인 죽
다즐링 : darjeeling - 인도의 유명한 홍차 생산지. 다즐링 지역에서 생산되는 홍차. 중국의 기문祁門, 스리랑카의 우바Uva 홍차와 세계 3대 홍차의 하나이다.
다찬회 : 茶饌會 - 입식 티파티를 말함
다창다기 : 茶槍茶旗 - 차순과 차의 싹
다채택 : 茶菜擇 - 차잎따기와 차잎 기를기
다촌 : 茶村 - 차나무가 있는 마을. 고려시대, 중국 송대에 차를 재배하게 한곳
다추 : 차추 : 茶&amp;#24090; - 찻가루를 쓸어 모으는 빗자루
다탁 : 차탁 : 茶托 - 찻잔받침. 재료는 나무, 도자기, 은, 주석, 구리, 대나무 등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배형, 사각형 등 (잔탁, 화탁)
다탕 : 차탕 : 茶湯 - 차를 넣고 끓임. 오래 달이지 않고, 끓는 소리는 산골 물소리 솔바람 소리 같아야 한다.
다포 - 찻상 위에까는 베나 면으로 된 천
다표 : 茶杓 - 차구기
다호 : 茶戶 - 차를 파는 집
다호 : 茶壺 - 차를 담아두는 뚜껑 있는 단지. 중국에서는 차를 우리는 다기를 말함
다화회 : 茶話會 - 차를 마시며 이야기 하는 모임
다회 : 차회 : 茶會 - 차를 마시는 사람들의 모임
다회적채 : 多回摘採 - 일본의 일번차에서 사번차 까지 찻잎을 따는 것을 말함
도차변증설 : 도茶辯證說 -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이 지음. 씀바귀 도자가 茶자의 원형임을 밝힌글, 도 대신 차를 처음쓴 사람은 唐나라 육우였다. 차의 구난九難 등, 당시 조선의 차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기록했다. 우리가 차를 마신 것은 체증을 해소하기 위해서였다고, 차를 종식하는 방법도 기록함(만보전서와 古今秘苑 인용)일찍 딴 것을 차, 늦으면 천&amp;#33608;이 된다. 또 일본차에 관한 기록 인용과 중국의 각종 다서 25종을 저자와 함께 소개했다.
동다기 : 동차기 東茶記 - 1785년경 이덕리 李德履(1728 ?)가 진도 유배지에서 지은것, 茶記, 記茶, 茶說 등 네가지 명칭 존재.
내용- 서설 5단락, 본문 15항목, 茶條 7항목으로 구성된 전체 14쪽 분량
만감후 : 晩甘侯 - 차를 의인화해 부른 별칭.(도곡의 '청이록'에 '여초형부서' 편지, 明茶寮記-육수성 지음)
만일암 : 다산이 '만일암기' '만일암사적' 등 여러편의 글을 남겼던 암자
옥온고 : 玉蘊膏 - 차를 말한다.(茶品- 빙허각 이씨 1759-1824)
차백희 : 茶百戱 - 차를 끓이는 방법이 만상의 모습을 형상하기에 차백희라 부른다.
고냉차 : 高冷茶 -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된 차
고산차 : 高山茶 - 오룡차에 있어서 고산의 의미는 해발 1000m 이상의 다원에서 딴 차
고산오룔차 : 高山烏龍茶 - 대만의 해발 1000m 이상 운무와 일조량이 적은 고산지역 다원에서 자란 찻잎으로 만든다. 반구형 부분발효차로 맛이 감미롭고 중후하다.甘醇厚重, 여러번 우릴 수 있다. 향은 맑고 순수하다.淡雅淸純, (주요산지-大禹嶺, 福壽山, 杉林溪, 阿里山 등)
자순차 : 紫순茶 - 옛날 차의 異名. 싹이 보라색이라고 이렇게 이름한 것. 石花紫순, 靈芽眞순 이란 표현을 써왔다.
고유 : 苦&amp;#31411; - 그릇이 얇아서 갈라지거나 깨지는 것을 말함.
고차 : 苦茶 - 쓴 차. 봄에 딴 차. 작설. 나무 종류이지 채소의 부류는 아니다
고차 : 陶罐과 쇠솥, 철판 등을 사용해 차를 구울 때 쉬지않고 뒤집고 흔든다. 차가 바삭바삭 해지고 향이나면 끓는 물을부어 마신다. 맛은 쓰다. 운남차는 본래 성질이 무겁고 강하며 맛이 쓴데 고차로 마시면 더욱 쓰다. 차관 안에는 차가 물보다 많다. 고차는 고원지방에 사는 사나이들이 불 주위에 둘러앉아 담소를 나누며 마시는 차이다.- 운남의 라후족, 와족, 리수족, 怒族, 이족, 白族, 苗族 등
곡 : 穀 - 낙엽교목으로 닥나무 곡, 닥나무 상(桑)의 뜻
공대 : 차공대
공미 : 貢眉 - 백차의 생산 시기에 따라 붙여진 차의 이름
수미 : 壽眉 - " " " "
곡차 : 穀茶 - 현미, 보리, 옥수수 등 곡류를 가공해 현미차, 보리차, 옥숫차 등으로 우려내 마시는 차
곡우차 : 穀雨茶 - 매년 4월 20일경 곡우날을 중심으로 만든 차로 곡우 전에 잎을 따서 만든차를 雨前茶라 하고, 후에만든 차를 우후차라 한다.
곡화차 : 穀花茶 - 여름 벼꽃 피는 시기에 딴차
골든룰 : Goiden Rules - 홍차를 잘우리기 위한 방법(좋은 차의 선택, 신선한 물 끓임, 차의 양, 우림 시간조절, 다구의 예열, 고른 농도로 따르기 등)
골든링 : Golden Ring - 홍차의 테아플라빈 함량의 다소에 따라 우려진 홍차에 황금색의 테가 생기는 현상
골든칩 : Golden Chip - 황금색의 심아(芯芽)로 만든 홍차로 그 양이 많이 들어갈수록 고급으로 여기고 비싸진다.
공다 : 供茶 - 불교에서 차를 공양하는 것(佛茶供養)
공차 : 貢茶 - 나라에 공물로 바치는 차(당, 송대 부터)
공부차 : 工夫茶 - 중국 복건성 남부, 광동성 남부의 청차(靑茶 울롱차)를 정성을 드려 만든 차
공부차구 : 工夫茶具 - 청차류 전용 다기 세트(찻주전자 急須, 4개의 잔 茶杯, 앞접시 茶船 이 세가지가 기본이다)
관능검사 : 官能檢査 - 해당 검사자격을 갖춘 사람의 감각(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의한 다양한 방법으로 차의 품질을 평가하는 검사
광동청차 : 廣東靑茶 - 중국 광동성에서 생산되는 오룡차류(봉황수선, 봉황단총, 광동철관음, 서암철관음 등)
교목 : 喬木 - 차나무 높이가 8m 이상 되는 대엽종으로 운남성의 오래된 차나무들
교반 : &amp;#25605;拌 - 찻잎을 섞는 것
구곡홍매 : 九曲紅梅 - 중국 절강성 항주 서남부 전단강안에서 생산되는 홍차(一紅 또는 구곡오룡이라 함)
구구 : 九區 - 天下. 세상, 옛날 천하를 9등분으로 나눔
구결 : 口訣 - 비법을 전수하는 말
구기자차 : 枸杞子茶 - 구기자 잎과 열매로 만든 차
구방상마 : 九方相馬 - 명차를 잘 감별하는 사람을 뜻한다. 진秦나라 때 구방고九方皐가 천리마를 잘 알아보듯
구비 : 救沸 - 끓는 물을 식히는 것
구화 : 謳和 - 노래로 화답한다는 말
국균발효차 : 麴菌醱酵茶 - 균류 즉 170 여종의 미생물 발효차(중국의 보이차, 육보차,
방포전차, 복전차, 일본의 기석차(바둑돌차), 흑차 등)
국화차 : 菊花茶 - 국화 곷으로 만든 대용차. 간장을 보하고 눈, 머리를 맑게하고 향과 맛이 좋아 여성 차의 대표로 꼽힌다. 만드는 법은 군방보(621), 증보산림경제(1766), 임원심육지(1827), 규합총서(1815), 조선요리제법(1934, 1942),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43)
군산은침 : 群山銀針 - 중국 호남성 악양현 동정호 가운데 섬인 군산지방에서 생산된 황차의 하나로 청대에 황실에 바치던 귀한 차. 원래 녹차를 생산하다 후대 에 황차로 바뀌어 짐. 이차에 더운 물을 부으면 차싹이 곧게 뜨다가 천천히 가라앉아 三起三落(세 번 떳다가 세 번 가라앉는 모양)이라 이름
궁정다례 : 宮廷茶禮 - 궁궐안팎에서 조정규례에 따라 행하여지는 다례 차례는 삭망, 명절, 조상의 생일 등 아침에 차를 올리는 제사 의전이다.
궁중다례 : 宮中茶禮 - 궁 안에서 행하는 조정규례 이외의 다례를 말함.신라 문무왕이 즉위한(661년 3월)뒤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단옷날, 8월5일과 보름에 차례지냄.  고려 조정의 茶房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례를 집행 하였다
吉禮- 원자 탄생의 축하의식, 왕세자의 책봉의식, 왕자비의 책봉의식, 공주의 탄생 축하의식, 공주의 혼례에 다례를 집행함.
嘉禮- 명절인 팔관회(음 11.14-15), 연등회(음 2.15), 元正, 동지의 조하의식, 대관전에서의 君臣 연회에 다례
賓禮- 노인의 사연(賜宴)의식, 北朝 사신의 영접의식에 다례
凶禮- 엄중처벌에 대하여 임금께 대답하는 의식인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에 다례가 있었다.조선시대는 다방, 사옹원, 內局의 주방, 봉상사 등의 관아에 의해 집례됨.사신을 맞을 때는 원접다례(의주, 정주, 안주, 평양, 황주, 개경 등에서),태평관에서 친림다례, 인정전에서 접견다례 등 엄격하고 복잡한 절차에 따라 거행됨.
권 : 권 - 나무를 휘어서 만든 바리, 틀
귓대사발 : 귀때사발 : 귀대접 : 熟盂 - 물을 따르기 편리하게 귀대가 달린 사발
규 : 規 - 병차를 찍어내는 규격에 맞는 틀(거푸집). 둥근 그림을 그리는 공구, 원형, 법도, 모의 등의 뜻
규방다례 : 閨房茶禮 - 부녀자가 거처하는 안방에서 행하는 다례
규합총서 : 1815년경 빙허각 이씨 - 조선시대 한글판 가정백과 책이다.茶品조에 宋代 도곡이 지은 천명록(&amp;#33608;茗錄 970년)의 차백희 등 인용됨
다품- 다백희, 계장, 귀계장, 매화차, 포도차, 매실차, 국화차
귤강차 : 橘薑茶 - 귤껍질(귤홍, 홍피)과 생강, 작설차를 함께 달여 걸른 차
귤화차 : 橘花茶 - 귤꽃을 말려 끓인물에 우린 차
그린티 : Green Tea - 발효하지 않은 녹차를 말함
그린티 라떼 : 가루차(말차)와 설탕을 혼합해 데운 우유를 부으면서 잘섞어 만든 차
금당기주 : 琴堂記珠 - 신헌(申櫶 1811-1884)의 신대장군집 권5에 수록된 기록문, 내용의 상당부분이 초의와 다산에 관계된 것들이다.
금법조 : 金法曹 - 연이 정해진 궤도를 이탈하지 않고 제 궤도를 지킨다는 뜻
긴압차 : 緊壓茶 - 돌, 유압기 등을 이용해 일정한 압력을 주어 다양한 모양을 만든 차 四川地方 긴압차
重慶타茶- 雲南 대엽종, 福鼎大白茶 등 녹차로 만든 타차이다 康전茶, 金尖茶 湖南黑茶 花전茶(종전 花卷茶), 100년 역사의 천량차千兩茶1860년경 부터 생산된 茯전茶(特茯, 普茯), 中茶牌복전차, 湘尖茶, 黑전茶 廣西黑茶 六堡茶- 해발 1000-1500m 관목형 중엽종 주류
湖北 靑전茶 - 100년 역사 차 표면에 川자 상표가 새겨짐
安徽 安茶 - 육안차 라고도 한다. 200년 역사, 반발효의 일종, 기문홍차로 유명한
안휘성 祁門이 주생산지 - 동남아 열대시장에서 주로 소비
米전茶 - 홍차 부스러기나 저급 홍차 분말을 눌러 만든 차. 홍전, 화향전 이라고도함. 벽돌모양에 도안은 '牌樓牌', 별과 기차가 그려진 '火車頭牌', '鳳凰牌'가 유명하다.
구형 녹차, 청차 : 球形 - 찻잎의 형태가 공처럼 둥글게 말린 형태(銀球茶, 鐵觀音)
권형 녹차 : 卷形 - 소라의 형태와 같이 말린 녹차. 나형螺形 이라고도 함
나추밀 : 羅樞密 - 비단으로 만든 체를 의인화한 말(羅合)
나형 : 螺形 - 찻잎 외형이 소라와 같이 둥글게 말려있는 모양(洞庭碧螺春)
낙노 : 酪奴 - 육우가 다경에서 품평했던 고급차. 휘종 선화 2년 정가간이 만든차
낙장 : 酪漿 - 소나 염소의 젓
난석토 : 爛石土 - 風化腐爛之石의 준말. 사암이나 석회암 등이 풍화작용으로 푸석푸석한 땅으로 약산성 부식토가 많다. 차나무가 자라기 제일 좋은 땅이다.물빠짐이 좋고 적당한 습도를 오래 유지하고 영양분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난향 : 蘭香 - 난초향 같이 차의 향이 좋은 것을 말한다.
남경우화차 : 南京雨花茶 - 중국 강소성 남경시에서 생산되는 녹차로 그곳 기념탑인 雨花臺에서 유래함
남방의 가목 : 嘉木 - 육우의 다경 권두에 쓰여진 문구로 차의 명사로 가목은 차나무를 말하고, 남방은 江南을 이름이다.
남당 : 南唐 - 937년에 남경을 중심으로 한 금릉에서 이변이 세운 나라.
남방록 : 南方錄 - 일본의 다도를 대성시킨 센리큐의 제자인 난보소케이가 스승을 모시면서 익힌 다도의 소양을 기록한 책. 전9권으로 에도시대 遠州流, 石州流에게 영향끼쳐
납면차 : 蠟面茶 - 宋代 복건성에서 나는 건차를 달이면 찻물위에 녹은 밀랍과 같은 유액상(乳液狀)의 거품이 뜨는 윤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납전차 : 臘前茶 - 찻닢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동지 뒤의 세번째 戌日인 臘日 직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함. 조선시대에도 납전차를 땃다.
납후차 : 臘後茶 - 동지 후 납일 직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
역양토 : 역壤土 - 난석이 더 풍화된 사질토. 작은 자갈이 섞여 표토가 깊고 물이 잘 빠진다. 차나무에 두번째 좋은 땅이다.
황토 : 黃土 - 거의 부식이 다 된 토질로 비에 휩쓸려서 평지에 쌓여 일반 농작물 재배에 좋다. 점성이 많아 여러모로 이용 한다. 여기서 자란 차는 하등품으로 친다.
난화형 녹차: 蘭花形 - 난초 줄기처럼 길게 뻗은 상태로 선단이 살짝 휘어진 형태 尖形 녹차라고도 한다(太平후魁)
남차병서 : 南茶幷序 - 1830. 11. 15 금령 박영보(朴永輔 1808-1872)가 지음. 초의와 가장 가까웠던 인물로 벗인 이산중에게서 초의의 떡차를 조금 얻어 맛보고 반해 즉시 붓을들어 일면식도 없던 초의에게 장편의 시를지어 감사의 뜻을 전하고 화답을 청한내용으로, 초의차를 세상에 알린 詩작품 시를 받은 초의도 감격, 친구하자며 '증교'시 두수를 화답했다. 신위도 화답하여 '납차시 병서'를 지어 초의에게 주었다.
납면 : 蠟面 - 증청 단차로 만들 때 향료와 고유를 넣어서 끓인 후에 유화가 납이 엉긴 듯이 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낭청 : 浪靑 - 대만의 청차(오룡차) 제다과정의 요청(搖靑) 방식을 말함
내질 : 內質 - 차의 품질평가에서 찻물의 색깔, 향기, 맛을 가리킨다. 이것과 달리 형상, 광택은 외관이라 한다.
내차 : &amp;#22902;茶 - 버터차, 밀크차. 주로 티베트, 몽골에서 마시는 차로 병차, 단차, 전차류를 끓여 소다, 소금, 버터를 넣어 교반하여 따라 마신다. 또 티베트에서는 밀가루를 이 차로 반죽하여 주식으로 한다.
냉녹차 : 冷綠茶 - 차를 제조할 때찻잎의 수증기에 의한 증제과정 시간을 보통 때보다 길게하여 성분이 찬물에도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만든차
냉장차 : 冷藏茶 - 냉장창고에서 저장한 차. 창고내의 온도를 0-5도C 이내로 보존하면 변질되지 않고 신선한 풍미를 유지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직후에 냉장하여 9월경부터 출하한다.
냉접 : 冷摺 - 차를 가열하지 않고 마찰기로 마찰하여 빛깔을 변화시키는 방법(부초차 釜炒茶, 아프리카 전용 옥록차)
네물차 : 녹차 제조시기에 따라 분류되는 차이름.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초순까지 만든 차를 말함
노옥천 : 盧玉川 - 이름 노동盧同. 당대 시인. 호는 玉川子
노제 : 路祭 - 발인하여 장지로 가는 도중에 마을 앞이나 고인의 근무처 및 좋아하던 곳에서 간략히 지내는 제사.
노차 : 老茶 - 오래된 차
노차 : 露茶 - 이슬 맞은 차싹
노미차 : 老米茶 - 차가 귀한 곳에서 쌀을 볶아서 대용하는데 이것을 노미차라 한다.
노죽대방 : 老竹大方 - 중국 明代 안휘성 음현에서 생산된 녹차를 말함
노지 : 露地 - 일본 차실의 부속 뜰로 茶庭이라함
노차장 : 老茶壯 - 중국의 차를 파는 오래된 상점
녹수낭 : 鹿水囊 - 물 거르는 자루
녹지삽 : 綠枝揷 - 초여름에 가지를 삽목하여 뿌리를 내리게 하는 것
녹차 : 綠茶 - 불발효차 동백나무과(Theaceae 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 찻잎을 화열로 덖거나(釜炒) 증기로 쪄서 잎속의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산화를 방지하고 고유의 녹색을 보존시킨 차. green tea
녹차용은 소엽종으로 탄닌 함량이 적은 새로돋은 어린잎을 사용한다.
차는 향과 색을 중요시 한다. 향에는 순향(純香 안팎이 똑같은 향), 청향(淸香 설
지도 너무 익지도 않은향), 난향(蘭香 고루 든향), 진향(眞香 곡우전 차신이 충분
히 갖추어진 향)이 있고, 함향(含香), 누향(漏香), 간향(間香) 등은 하품에 속한다.
색은 맑고 푸르러야 좋고, 황, 흑, 홍, 혼(昏 어둠)은 불합격에 속한다.
맛은 녹차 특유의 향기가 그윽하고 묵직한 느낌을 주며 매끄럽게 삼켜지는 맛-
녹차의 날(한국) : 1981년 5월 25일 진주 촉석루에서 (사)한국차인연합회에서 차의
날로 제정 선포한 날로서 매년 5월 25일을 차의 날 기념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녹차의 날(일본) : 매년 5월 1일 또는 2일(팔팔밤)을 녹차의 날로 제정 캠페인을 통
하여 녹차의 보급을 꾀하고 있다. 또 4/29 푸른 날, 5/5 어린이 날 까지 녹차 주간
으로 하여 각지에서 차 잔치 행사를 한다.
농차 : 濃茶 - 농도를 진하게 죽같이 걸죽하게 타는 차를 말한다. 여러 사람이 돌아
가며 마신다. 말차
농차 : 籠茶 : Basket fired tea - 블랙 퍼스트 티 - 수출용 일본 녹차
뇌소차 : 雷笑茶 - 곡우 전에 딴차를 이르는 조선시대 명칭
뇌원차 : 腦原茶 - 고려 때의 단차로 새로나온 차잎을 쪄서 찧어만든 덩이차
맷돌에 가루를 내 타서 마시는 단차인데 989년-1049년 때의 어용차
팔관회, 연등회 등의 국가행사에 사용함
뇌차 : 중국 호남성 도원현 일대의 차습속
누와라에리야 - 스리랑카 남서부 산악지대의 중심이되는 피서지로 실론 홍차 생산
지의 하나 해발 1800m 고지/ 남동에 우바 서쪽에 덴브라와 고급홍차 산지가 있다.
닐기리 차 : Nilgiri Tea - 인도 남부 산맥의 구릉지에서 생산되는 홍차
떫은 맛이 적고 맛이 깔끔하다. 스리랑카와 비슷한 기후라 실론티와 유사하다.
다검 : 茶鈐 - 차 집게, 차를 굽는데 사용하는 집게로 청죽이나 금, 쇠로 만든다.
다구 : 茶具 - 풍로, 숯 광주리(거), 탄과(숯 깨는 기구), 화협(火箸/부젓가락), 솥,
교상交床, 협(夾집게), 체(합合), 지낭(紙囊종이주머니), 맷돌(연拂末/가루 털개),
칙(則찻숟가락), 네모난 물통(水方), 녹수낭(물 여과자루)
표주박(희표犧瓢나무표주박), 대젓가락(竹夾), 소금단지(차궤게/소금 숟가락),
숙우熟盂, 다완茶碗, 삼태기(분), 솔(찰札), 개수통(척방滌方), 찌꺼기통(재방滓旁),
수건(巾), 차선반(구열具列/진열대), 다기를 담는 모듬 바구니(도람都籃) 등
다도 : 茶&amp;#39253; - 차욕심쟁이
다도정신 : 茶道精神 - 한국은 중정中正, 중국은 정행검덕精行儉德, 일본은 화경청적
和敬淸寂 이다. 차실의 분위기, 다구의 아름다움, 차의 성품, 차를 달이는 여러가지
일 등에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다도정신이라 함
다라 : 茶羅 - 차를 거르는 체
다로 : 茶爐 - 차를 달이는 풍로나 화로
다록 : 茶錄 - 채양(蔡襄 1012-1067)이 복건 전운사로 있을 때, 차에 관한 과정을 20여
단락으로 나누어 저술한 차서. 상편- 논차論茶 즉 색향미와 장다, 적다, 연다, 나다,
후탕, 협잔, 점다 등/ 하편- 논기論器 즉 분다기, 다롱, 다연, 다라, 다잔, 다시, 탕병
채양은 송대의 학자, 문인, 차인, 행정가. 소용단 제조
다롱 : 茶籠 - 차를 대나무 잎으로 싸서 밀봉 높은 곳에 둔다.
다배 : 茶焙 - 차를 보관하기 위해 불에 쬐 말림
다보 : 茶譜 - 五代십국 시대(10세기 초-960년) 전촉蜀사람 모문석毛文錫이 찬함.
내용은 차가 생산되는 여러 지역과 그곳 차들의 이름과 특징을 주로 많이 기록함
사류부주, 다경 등 고전을 인용한 것도 있다. 이 외에도
明代 주권(朱權 1378-1448 태조 朱元璋의 제17자로 호는-구선, 함허자, 단구선생)
이 1440년경 지은 다보에는 가루차를 격불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6항목으로 말
차 만드는 법, 연고차 등을 이야기하고, 마지막에는 무어라 해도 모든 생물의
자연적 성질을 발휘하는 데는 엽차로 달여마시는 것이 제일이라고 함.
宋代 상장桑莊이 찬한 속다보, 明代 전춘년이 쓰고 고원경이 산수한 다보가 있다.
明代 손대수가 쓴 다보외집도 있다.
다산 ; 茶山 - 정약용의 아호. 우리 차문화의 중흥조, 20대 초반에 이미 차를 가까이함
보림사 죽로차와 강진의 만불차를 구증구포의 제다법을 처음 알려준 것과 惠藏
(1772-1811)에게 구체적인 제다법을 알려준 것. 초의도 1809년 처음 인사를 올린 후
제다법을 배워. 다산은 1810년 이미 자신이 차를 자급자족하고 나눠줄 정도였다.
차에 원기를 손상시키는 해독이 있음을 알고 있었고, 체기를 내리는 약용으로만
마셨다. 다산과 초의는 애초에 사제로 만났다. 1809년 당시 48세 초의가 24세였다.
초당으로 다산을 찾아와 배움을 청했다. 다산은 주역과 논어 등의 유교경전을 가르
쳤다. 초의가 본격적으로 차를 알게된 것도 다산을 통해서였다.
다산은 틈날 때마다 초의에게 유학의 도리를 가르치고 불교의 허망함을 지적하여
초의를 유학으로 이끌려는 뜻을 피력하곤 했다.
다숙 : 茶熟 - 충분히 갈린 차
다신계 절목 : 茶信契 - 1818년 8월 그믐날에 정약용이 18년 귀양살이가 풀려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자 18 제자들과 계를 묶은 약조이다.(강진읍내 8년, 다산에서 11년 귀양)
새삼스럽게 다신계를 결성한 것이 아니라 상호결속과 유대를 다지면서 그전부터 해
오던 채다와 제다를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방편이 다신계였던 것
다연 : 茶硏 - 은이나 쇠로 만든 차를 가는 도구
다잔탁 : 茶盞托 - 차탁자茶託子
다찬회 : 茶饌會 - 서양의 입식 티파티를 말함
다창다기 : 茶槍茶旗 - 차 순과 차 싹
다촌 : 茶村 - 차나무가 있는 마을. 중국 육유의 시속에 나온다. 고려시대에 형성됨
다탁 : 차탁 : 茶托 -
다탕 : 차탕 : 茶湯 -
다호 : 차호 : 茶壺 - 차를 넣어두는 단지모양의 통
단 : 簞 - 대광주리, 소쿠리
단경기 : 端境期 - 11월~4월경까지 햇차가 나오기 직전의 기간, 특히 2~3월경
단구자 : 丹邱子 - 한나라 때의 선인仙人, 차인茶人
단당류 : 單糖類 -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등과 같이 가수분해에 의하여 그 이상
작은 분자로 분해되지 않는 기본단위의 당질로 지구상의 가장 풍부한 생명분자
단독채제 : 單獨採製 - 중국 靑茶(오룡차류의 총칭)의 명품종을 위한 전통적 번식법
잡종이 안되게 순수품종을 재배 제조한 제품(單一採製)
단립 : 團粒 - 차 재배시 지력유지에 효과적인 토양상태로 흙의 단위 입자가 뭉쳐서
된 하나의 덩어리를 일컫는 말(粒團, 홑알)
단모 : 單毛 - 하나의 세포로 된 털
단물 : 연수(軟水) - 경도가 100 이하의 물
단백질 : 蛋白質 : protein -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 기본단위는 아미노산으로
차의 단백질에는 20 여가지의 아미노산이 들어있다.
단성화 : 單性花 - 꽃의 암술과 수술 중 하나뿐인 꽃
단엽 : 單葉 - 식물에서 한 개의 잎몸으로 된 잎
단유 : 團유 ; 包유 - 철관음차나 대만 동정오룡차를 만들 때의 유념법으로 지금은
거의가 기계화 되어 있다.
단자 : 單子 -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금액을 기록한 종이로 물목기物目記 라한다.
단조식 : 單條植 - 나무를 일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것
단차 : 團茶 : 덩어리차 - 중국 고형차의 하나, 唐代는 餠茶라 부르고 五代부터 宋代
에 단차라고 하였다. 둥근 것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보통 70~100g 정도 였으나
큰것은 3kg 정도로 人頭茶라 부르기도함. 갈아서 가루로 조제한 차.
호남성, 사천성, 운남성에서 유명한 단차를 생산한다.(餠茶, 타차, 緊茶 등)
담 : 擔 - 1900년대 중량의 단위, 100근(斤)을 1담이라 하며 1근은 600g 이다.
당부 : 唐釜 - 손으로 덖는 부초차를 만들 때 쓰는 철제 솥
대 : 대 - 방아, 절구
대관다론 : 大觀茶論 - 북송대 휘종제(徽宗帝 재위 1100~25년)가 지은 차서로
20편-서문외에 산출지, 하늘의 때, 가려내기, 흰차, 체와 맷돌, 잔, 차솔, 병,
구기, 물, 차타기, 맛, 향기, 빛깔, 간직 불쪼임, 품명, 외배 등이 담겨 있다.
대나무의 차선이 처음 등장한다. 휘종은 시문 서화에도 능한 황제였다.
대만차 품종 - 대차 12호, 대차 13호, 청심대유, 청심오룡
대만오룡차 : 臺灣烏龍茶 - 보자기로 싸서 유념을 하여 외형은 반구형 혹은 구형이다.
찻물색은 밝고 금황색을 띠며 향기는 짙고 선명하다. 맛은 甘醇하다.(전지역)
대만포종차 : 臺灣包種茶 - 차의 모양은 條形이며 짙은 녹색을 띤다. 찻물색은 密綠
金黃色, 맛은 달고 상쾌하다. 우아한 꽃향을 지니고 있다. (신북시 문산차구 평림)
대목 : 臺木 - 차나무를 접목할 때 뿌리가 남아 있는 쪽
대방차 : 大方茶 - 절강성이나 안휘성에서 생산되는 하급의 용정차의 일종(화대방)
대백차 : 大白茶 - 중구의 대표적인 소교목형 차나무로 어린 싹에는 흰털이 많다.
백호은침白毫銀鍼, 백목단白牧丹이 유명하고,홍차는 백림공부白琳工夫라고 한다.
대엽종 : 大葉種 - 운남 아삼종계를 소엽종과 분류해 부르는 호칭이다.
운남 홍차(진홍)나 운남 보이차를 만드는데 알맞은 품종이다.
대용차 : 代用茶 - 차나무 잎으로 만들지 않은 차류를 말함.(쑥차, 생강차, 연차 등)
대자 : - 선반
대작 : 大作 - 찻잎이 다자란 가장 큰 잎으로 만든 차. 세작, 중작, 대작으로 부른다.
대해 : 大海 : 다이카이 - 일본용어로 황차荒茶를 넣어 운반하는 큰(40kg) 종이포대
대홍포 : 大紅袍 - 靑代 초기에 발견된 차나무 잎으로 만든 차로 天心岩大紅袍,
武夷岩茶, 네그루 밖에 없어 전설과 병치료 효과 등으로 유명해져, 1940년의 실제
생산량이 330g(1근)으로 요즘 자손을 퍼뜨려 재배한다고
대화차 : 大和茶 - 일본의 옛지명으로 나라현에서 생산되는 차의 총칭
806년 空海라는 승려가 당나라에서 차 종자를 가져와 퍼뜨린 산간언덕지대
더스트 : Dust : 微細粉 : 泥粉 - 전차를 마무리할 때 나오는 미세분을 말한다.
홍차에서는 더욱 미세한 크기 PDC(Pekoe Dust), D1(Dust One), D(Dust)가 포함됨
덖음차 : 釜炒茶 - 생잎이 산화효소를 파괴시키기 위해 솥에서 젓고 비벼 만드는 법
손으로 덖은 차는 황녹색에 고소한 맛과 향이 제조자마다 다르다.,
기계로 제조된 것은 맛이 강하고 색이 일정하다.
도 : 도 - 唐代 차자茶字가 없을때 차를 의미하는 문자로 사용된 글자이다. 木-示
도가의 다례 : 도교의 다례 - 예복차림으로 제사 때 차탕을 함께차려 놓고 거행
도균모첨 : 都勻毛尖 - 중국 귀주성 도균에서 생산되는 녹차류. 외형은 녹색에 흰
털로 덮여 구부러져 있는데 맑은 향에 맛이 진하고 뒷맛은 단맛이 남다.
도기 : 陶器 - 1200도 전후의 온도에서 소성燒成한 그릇, 거칠고 흡수성이 있어
유약釉藥을 바르는 수가 많다. 토기土器가 진보한 것
도란형 : 到卵形 - 거꾸로 선 달걀모양
도람 : 都籃 - 모듬바구니
도보문 : 陶寶文 - 흑유잔黑釉盞을 말한다. 질로 만든 찻그릇
도엽 : 盜葉 - 새 가지의 잎을 싸고 자라는 흰 것
차를 만들 때 백합(맛이 쓰고 떫게해)과 오체(색을 검게해), 도엽은 쓰지 않는다.
도자기 : 陶磁器 - 도기류와 자기류의 총칭. 자기는 소지가 잘 소성되어 굳어져
유리화되고(1300도 전후) 흡수성이 없는 순백, 투명성의 소물을 말한다.(中-瓷器)
넓은 의미로 토기, 도기, 석기, 자기를 모두 일컫는 말이다.
자기를 만들 수 있는 나라는 한국, 중국, 베트남 정도였다.
도장 : 徒長 - 식물의 웃자람(도장묘, 도장지)
돌 : 突 - 굴뚝
동가열 : 胴加熱 - 철판제의 몸통을 밖에서 가열하여 차잎을 비비거나 화입을 하는
방법. 고정된 동과 회전하는 동이 있다.
동계시다록 : 東溪試茶錄 - 1064년 송자안이 쓴 차에 관한 3천여자의 기록
내용은 정위와 채양의 '다록'을 보충한 것. 8개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함
동다기 : 東茶記 - 이전에는 정약용의 작품으로 알았으나 이덕리李德履의 시문집
 江心에 수록된 기다記茶라는 작품으로 추정된다. 기다는 1785년 이덕리가 전남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중에 저술한 것으로, 차나무의 생리, 찻잎 따는 시기,
 차의 제조법, 명차의 이름과 생산지, 차에 대한 공정한 가격, 세금 부과법, 차의
 종류, 차의 관리, 차의 효능 등을 설명하였다.
동다송 : 東茶頌 - 조선 후기 1837년경 승려 초의草衣가 일지암一枝菴에서 차에
 대하여 송頌 형식으로 지은 책. 저자가 홍현주洪顯周의 부탁으로 중국과 한국의
  여러 문헌을 인용하여 차에 얽힌 전설과 효혐을 읊고, 한국차의 우수성을 칭송
 하였다.
동방미인차 : 東方美人茶 : 백호오룡 : 팽풍차 : 膨風茶 - 어린싹이 뾰족하고 백호
가 많을수록 고급차로 본다. 짙은 과일향과 달콤하고 매끄러운 맛을 지니고 있다.
만차를 대표하는 유명한 차다.(산지-신죽, 묘율, 용담, 평림, 석정차구)
동양의 차문화 : 차나무는 하나님이 창세기에 사람을 창조하기전 셋째날에 내셨다.
중국에서는 BC 2737년경 신화의 신농씨가 지었다는 식경의 기록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추구해 오면서 동양의 차문화는 다례를 통해 차를 정신수양의 매개체로
사용해 서양의 사교와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홍차문화와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최초의 다례는 BC 6세기 윤희가 노자에게 불멸의 차를 대접한 것으로 전한다.
唐代에 선종불교와 만나면서 차와 선은 한 가지 맛이라는 '차선일미라' 하였고,
동아시아 3국 한중일의 차문화가 특징을 보이는데 중국에서는 향을 중시하며
정행검덕을, 한국은 맛과 멋을 중시하며 중정을, 일본은 색을 중시하며 화경청적
을 차정신으로 삼고있다. 특히 한국은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 좋은 물이 있어
좋은 차를 우릴 수 있었고, 선비들의 검소하고 절제된 모습으로 고아함을 일상화
함으로써 심성을 순화하고 나아가 윗사람을 공경하는 예절을 근본으로 삼았다.
동의보감 : 東醫寶鑑 - 광해군 2년(1610년) 허준許俊 찬.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모아 집대성한 한의서의 백과전서.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된 임상서이다.
여기에 차는 수많은 약재중의 하나로서 자주 나타난다. 머리, 눈, 내상, 해수, 제창
에 이용되었고, 차의 성질과 약리적 작용은 탕액편 고다苦茶 항목에 기록됨
동인도회사 : 東印度會社 - 17세기초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동양에 대한 독점
무역권을 부여받아 동인도에 설립한 회사 리름 또는 홍차브랜드
동정벽라춘 : 洞庭碧螺春 - 중국 강소성 소주 오흥현 태호 동정산 벽록봉 아래에서
나는 녹차, 찻물이 벽록색으로 향기가 높고 맛이 부드럽다. 제조된 차잎은 소라
고동처럼 나선형이고 털이 있다. 1~7등급이 있는데 낮은 등급일수록 잎이 크고
털이 적어진다. 잎이 모두 어린데 춘분과 곡우 사이에 만들기 때문이다.
정오룡차 : 凍頂烏龍茶 - 대만 중부 남투현 동쪽 동정산 주변에서 생산되는 차.
대만의 대표적인 차로 무이암차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진주처럼 말린 잎으로
견실한 球形, 색상은 짙은 녹색墨綠, 맛이 감미롭고 甘醇滑重, 향이 강하며 단맛
이 남는 것이 특징이다.喉韻, 대만의 국책사업으로 매화의 개수로 등급을 표시한
다. 다섯개가 최고의 품질이고, 포장에서 선명한 붉은 색은 반발효차이고, 암홍색
은 발효차이다. (남투현, 녹곡향)
동해 : 凍害 : 寒害 : 赤枯 - 영하 12도~이하에서 차나무가 얼어 죽는다. 차잎은
단기간에 갈색 낙엽한다. 줄기나 가지에 생기는 경우는 裂像型凍害라 한다.
중국종은 추위에 강하나 아삼종은 약한편이다.
동차기 : 東茶記 ; 記茶: 동다기 - 다산이 강진康津에서 유배생활 때 지은책 /
조선 영조-정조대 무관 이덕리(李德履 1728-?)의 저술. 1785년 전후한 진도 유배
시절 완성한 것으로 서설, 본문, 다조茶條 등 3부로 구성됨
동차송 : 東茶頌 : 동다송 - 1837년 초의 장의순(1786-1866)이 52세 때 海居道人 홍현
주(洪顯周 정조 임금의 둘째 사위)가 진도부사 변지화卞持和를 통하여 초의에게
茶道에 관해 알고자 하여 저술하여 보낸 것이다.
우리나라 차를 예찬한 68행의 칠언구七言句의 古詩 형식으로 32송에 각 주를 달
았다. -생장개화, 꽃과 싹, 고사, 제다, 제품, 동차 실황 송찬, 선으로 구성-
여기서 우리나라 차가 色香氣味에 있어 결코 중국차에 뒤지 않는다고 찬탄함
육우의 다경과 모환문의 다경채요의 중원 차의 옛일로 채워짐
두강차 : 頭綱茶 - 왕실에 바치기 위해 공차貢茶소에서 그해에 첫 번째로 만든 차
두륜산 : 頭輪山 - 해남 대흥사大興寺 뒷산
두물차 : 6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만든 우리차 특유의 우리말 호칭이다. 맛이 강한편
두차 : 頭茶 : 頭 - 끝마무리 고정 중 체질에서 남는 큰 차잎을 말함. 체 구멍으로 빠
진 것이 煎茶이다. 두차는 주로 유차柳茶나 번차(番茶 질 낮은 엽차)로 사용한다.
두충차 : 杜沖茶 - 대용차로 두충나무과의 낙엽고목 두충의 생잎을 배전하여 차와
같이 달여 마신다. 고혈압, 간장증, 관절염, 류마티즘, 이뇨, 노화방지 효과 있다고
둥글레차 : 대용차로 둥글레 뿌리를 이용해 만든 차
들국화차 : 감국 : 대용차로 꽃이피는 10월에 채취하여 통풍이 좋은 그늘에서 말려
건조한 곳에 보관-달여 마신다.
(산국: 고의苦薏: 일반 들국화-줄기 푸른색, 개화기 6~10월)
들깨차 : 대용차로 들깨 열매인 백소자白蘇子를 알맞게 볶아 가루내어 이용한다.
들깨잎을 백소엽 또는 임엽이라 하는데 잎을 말려 가루내어 차로 쓰기도 한다.
디엔에이 : DNA : 디옥시리보핵산 - 생물체의 유전자 본체인 고분자화합물.
딤불라 : Dimbula - 스리랑카 남서부의 고지대 홍차 생산지. 이 지역 홍차는 빨간갈
색이며 부드러운 장미향이 특징이다.(스리랑카 남동쪽의 우바, 누와라엘리야)
떡병 : 떡病 : 차떡병 - 잎과 신초新梢에 발생한다. 담자균에 의한 병해이다.
떫은 맛 : 삽미(澁味)
떡차 : 병차(餠茶) - 익힌 찻잎을 찧어서 떡처럼 만든차. 고려시대 뇌원차, 유차孺茶
청태전靑苔錢, 동전 모양의 돈차(錢茶), 둥근 달 모양의 단차, 인절미 모양의 떡차,
크기도 다양하다.
뜸냄새 : 생차잎의 제조나 보관 중에 통기가 나빠 온도가 올라가 생기는 냄새
라트나푸라 : Ratnapura - 스리랑카의 홍차 생산지
라페소 : Laphet-so - 아삼종계의 큰 차잎으로 만들어 먹는 미얀마의 차
랍상소우총 : Lapsang souchchong : 正山小種 - 정산소종을 유럽에서 말하는 영어
식 발음
러시아의 차 : 모스크바 궁정에 1618년 중국 明나라 사신이 차를 예물로 전함.
1847년 그루지아에서 차 재배에 성공 아제르바이잔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러시아 차는 홍차를 주로 사모바르를 사용한다.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등 동유럽
의 슬라브계 여러나라에도 전파됨
력 : &amp;#18806; - 솥의 한 종류
런치 티 : Lunch tea : Mid tea - 영국의 점심식사와 함께 마시는 차
레토르트 살균 : Retort 殺菌 - 고압솥에 100도C 이상의 수증기나 열탕으로 식품을
가열 살균하는 방법이다. 녹차캔 제품은 120도C 에서 7~10분간 가열 살균한다.
로얄 밀크티 : Royal Milk Tea - 홍차와 우유를 넣고 끓여 만든 홍차로 일본식이다.
로우 그로운 티 : Low Grown Tea - 스리랑카의 차 생산지 가운데 고도 610m 이하
의 낮은 지역의 홍차를 말한다.(미디엄, 하이 그로운)
로토르반 제법 : Rotorvane Manufacture - 유절기를 사용 압착 절단하여 미세입자
로 만드는 파쇄형 홍차 제조법의 하나이다.
로트 : Lot - 생산품의 양을 말함. 일정량을 마무리한 양을 1로트라 한다.
루이보스 차 : Rooibos Tea - 남아프리카에 자생하는 침엽수(학명: Aspalathus Lin
earis) 잎으로 만든 차. 항산화력, 활성산소 억제 효과, 아토피성 피부병, 사마귀,
백내장, 빈혈, 류머티즘에 좋다고한다.
루테인 : Rutein - 루비같은 적색을 지닌 천연색소의 하나이다. 엽록소 베타카로틴
과 함께 널리 분포하고 있다.
루틴 : Rutin - 찻물의 색깔에 관여하는 황금색 색소성분을 말한다. 하급차에 많다.
리나롤 : Linalool - 차의 향기 성분의 하나이다. 테르펜 알코올로 정유로서 에스테
르 상태로 존재한다.
리놀렌산 : Linolenic Acid - 불포화지방산의 하나로 포유동물의 생장에 필요하다.
무색무취의 액체로 면실유, 옥수수유 등에서 분리 정제해 얻고, 들깨에 많다.
리보플라빈 : Riboflavin - 우리몸의 소화에 중요한 역할하는 유기화합물이다.
산에 강하며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관여한다.
간, 생선, 계란, 우유, 녹색채소, 효모 등에 많고 곡류에는 적다.
리큐칠칙 : 利休七則 - 천리휴의 다도에서 행하는 7가지 다도법
1. 꽃은 들에 피어 있는 것과 같이 2. 숯은 물이 끓을 정도로 하고 3. 여름에는 아주
서늘하게 4. 겨울에는 아주 따뜻하게 5. 정해진 시간보다 조금 일찍마치며 6. 날씨
가 좋을 때도 우산을 준비하고 7. 자리를 함께한 손님에게 마음을 쓸 것.
리포단백질 : Lipoprotein - 지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단백질을 말한다.
리프티 : Leaf Tea - 홍차 용어로 티백이 아닌 잎채 열탕으로 우려마시는 차를 말함
온잎 형태의 잎차와 파쇄형(broken style) 잎차가 있다.
립톤 : Lipton - 영국의 유명 홍차 상표이다. 창업주 토마스 립톤의 이름을 딴 것 그
는 홍차의 왕으로 불리며 백작의 칭호도 얻었다.
마테차 : Mate Tea - 남미족에서 마시는 식물성 기호음료. 마테나무의 잎으로 만든
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등의 원주민이 옛날부터 애음해 왔다.
커피, 녹차, 홍차에 이은 세계의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만개 : 滿開 : 滿發 - 꽃이 활짝 다 핀 것. 차꽃은 10~12월에 만발한다.
만병초차 : 만병초 여린잎을 연중 채취해 찌거나 볶아 이용한다.
만불차 : 萬佛茶 - 다산 초당이 있던 강진 만덕산 백련사(옛 만불사)에서 나는 차로
다산이 만든 작은 크기의 떡차(小團茶)
만삼차 : 차로 이용할때는 달여마시는데 도라지와 비슷하다.
만상해 : 晩霜害 - 4월쯤 차의 새순이 늦서리에 의해 받는 피해를 말함
만생아 : 晩生芽 - 새싹을 딴 후 수일 뒤 아래쪽부터 자라나오는 싹을 말함. 또 이른
봄 서리나 냉기로 피해를 입은 차밭에 늦게 싹튼 것.
만생종 : 晩生種 - 생육기간이 길어 늦게 성숙하는 품종을 말한다. 일본 차나무 대차
4호가 중만생종이다. (만생품종)
만수용아 : 萬壽龍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차의 단차 이름
말리용주 : 末利龍珠 - 둥글게 만든 자스민 차.(용의구슬)
말리화 : 末莉花 : Jasminum sambac.- 목서나무과 상록소목 백색 꽃은 향이좋고 맺
친 꽃보오리 악을 따서 건조하여 차의 착향에 사용한다.
말리화차 : 자스민차 - 중국의 북쪽지방 북경, 천진, 만주 등에서 즐겨 마신다. 花茶
화차는 차에 향을 입힌 것이므로 차의 효능과 향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말발 : 沫&amp;#39185; - 말차의 거품
말차 : 抹茶 : 末茶 : 沫茶 : Powder Tea - 가루차. 분말차, 찻잎을 맷돌에 갈아 만든
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사용법이 까다로워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시행되었다가 없어졌다. 宋代나 고려시대 말차는 연고차를 가루내어 말차
로 즐긴 기록이 많다. 말차는 옥로차와 마찬가지로 차광 재배한 차 잎을 증기로
찐다음 건조시켜 맷돌과 같은 기계를 사용해 아주 미세한 가루로 만든 차이다.
말차다완 : 抹茶茶碗 - 가루차를 타서 마시는 주발 또는 사발. 그 종류는 밝혀진 것
만 30가지가 넘어 우리 선조들의 풍류와 생활의 낭만적인 기호를 엿볼 수 있는 구
별된 그릇으로 계절별용, 진한 농차용, 묽은 박차용, 경조사용, 1인용~다인용 등
시기와 산지에 따라 청자, 백자, 분청사기, 유약과 색깔 등 찻그릇으로 구별하기
위한 조건이 수십가지나 된다. 한 중 일 동양 삼국 중에 역시 중국과 한국이 앞서
만들고 사용했고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도공과 다완을 있는대로 수탈해가서 무사
정권이 최고의 가치로 끌어 올려 다도에 중심 기물로 삼았다. 안타깝게도 우리 완
들의 이름도 그들이 붙여놓은 고려다완, 정호다완, 삼도다완, 분인다완, 견수다완,
이라보다완 등으로 불려지고 있어 하루속히 우리 다완의 옛이름을 되찾아야할 것이다.
* 말차抹茶의 도구 :
개치 : 蓋置 - 솥의 뚜껑을 얹어두는 도구
건수 : 建水 - 차완을 헹군 물을 버리는 그릇
노 : 爐 - 방바닥을 네모나게 파내고 상판床版이나 다다미의 일부를 잘라내어 만든
취사용이나 난방용으로 불을 피우게 만든 장치
수지 : 水指 - 찻일에 쓰이는 물을 담아두는 그릇
조 : 棗 - 박차薄茶(엷은 우스차)를 넣는 용기
차선 : 茶선 - 말차와 물을 섞어 박차나 농차를 만드는 것(竹製)
차완 : 茶碗 - 차를 마시는데 사용하는 용기(濃茶고이차와 薄茶우스차에 따라 다름)
차입 : 茶入 - 농차의 말차를 넣는 용기
차작 : 茶작 : 차시茶匙 - 말차를 차완으로 옮기는데 사용하는 차숟가락
철부 : 鐵釜 : 물을 끓이는 쇠솥
풍로 : 風爐 - 불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람통로가 있어 솥을 거는 火器
* 전차煎茶의 도구:
건수 : 建水 : 탄롱炭籠 - 찻잔 을 씻은 물을 따르는 그릇. 물을 버리는 그릇.
개치 : 蓋置 - 탕병 차병(급수) 등의 뚜껑을 얹어두는 도구
기국 : 器局 - 차도구를 넣어두는 상자
병괘화발 : 甁掛火鉢 : 병걸이화로- 소형화로에 재가 들어가 五德을 넣어 그 위
에 솥이나 찻주전자(急須)를 얹는다.
병승상 : 甁承床 - 찻주전자, 차완을 넣는다.
보이차 : 普洱茶 - 찻잎을 후발효시켜 만든 잎차의 종류로서 긴압해 두고두고
 사용할 수있게 만드는데 明代 중엽부터 마시기 시작했으나 문화혁명 때 모두
 불태우고 차창을 폐쇄해 끊겼다가 70년대들어 수요가 일자 숙차, 숙병이란
 이름으로 급속 발효기법을 개발해 제품을 만들기 시작 지금은 생차와 숙차로
 구별해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복사 : 복紗 - 차구를 닦거나 깔거나 한다.
부초차 : 釜炒茶 - 비발효차를 만들기 위해 가마솥을 불로 달구어서 찻잎을 덖는
  방식으로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산차 : 散茶 - 찻잎을 가공할 때 단차나 떡차와 같이 덩어리로 만들지 않고 찻잎
 하나하나를 그대로 만든 차를 가리킨다.
설차 : 설다 : 設茶 - 차실이나 제사에서 차를 달여내기 위해 준비하는 일.
소마 : Soma - 고대 인도의 베다교에서 제사 때 올리는 음료의 이름. 풀잎을 찧어
 짜낸 즙으로 만든 푸른색 음료이다.
서원조 : 書院造 : 쇼인즈쿠리 - 일본 무사정권인 가마쿠라 바쿠후와 무로마치
  바쿠후 무사들의 차실 건축양식으로서 중국의 서원을 본떠 지은데서 비롯됨.
수주 : 水注 - 주자의 일본식 명칭. 물을 담아두는 차 도구.
분건입 : 盆巾入 - 분건을 넣는 그릇. 분건은 분盆을 닦는 천
양로 : 凉爐 - 탄화炭火를 일으키는 도구. 불 밑에 작은 구멍이 있고 바람을 통
하여 불을 일으키는 곤로. 재질은 백니白泥, 주니朱泥, 자기제, 철제, 진유제 등
완통 : 碗筒 - 차완을 겹쳐 쌓아 넣는 통형 그릇
조부 : 鳥府 - 탄을 넣는 그릇. 火箸, 우소, 炭割이 붙는다.
차건 : 茶巾 - 차완을 닦는 천
차건입 : 茶巾을 넣는 그릇.
차량 : 茶量 : 茶則 : 茶匙 - 찻잎을 알맞게 차관에 넣는 기물. 재질은 대나무,
나무, 도자기, 금속 등
차심호 : 茶心壺 : 茶壺 - 차잎을 넣는 그릇
차완 : 茶碗 : 명완 : 茗碗
차주 : 茶注 : 급수 : 湯甁 - 재질은 백니, 주니, 백자, 은재 등
차탁 : 茶托 - 차완을 얹는 대. 주석제를 주로하여 박회箔繪를 한 것. 옻칠, 대나
무, 목제 등. 형식은 단정, 간소, 원형이 최상
탕관 : 湯罐 : 탕병 - 끓이는 그릇
탕병대 : 湯甁대 - 화로에서 내려놓은 탕병을 두는 대
화협 : 火협 - 부젓가락
수주 : 水注 - 后手, 上手 2종이 있다.
수주대 : 水注대 : 水指대 - 수주, 수지를 얹는 대
수지 : 水指 - 물을 넣어두는 그릇. 병작이 붙는다.
-<일상의 차에서는 탕비기湯沸器, 급수急須, 차완, 차량, 차심호, 차탁 만 있으면
아주 가까운 손님의 대접에는 충분하다.>
* 잎차용 다구:
수조 : 水槽 - 물을 떠 놓는 항아리. 주로 도자기, 옹기, 유리
숙우 : 熟盂 - 끓여 뜨거운 찻물을 식혀쓰는 그릇.
차건 : 茶巾 - 다구를 닦는 행주. 주로 면 과 마
차담상 : 茶談床 - 찻잔과 다식을 놓는 상
차로 : 茶爐 - 물을 끓이는 기구. 숯불, 풍로, 전기곤로 등
차반 : 茶盤 - 찻잔 등 다구를 보관 운반할 수 있는 쟁반.
차관 : 茶罐 - 차를 넣고 끓인 물을부어 차를 우려내는 주전자. 주로 도자기
찻상보 : 찻상을 덮는 보자기
차시 : 茶匙 - 차통에서 차를 떠내는데 사용하는 차숟가락. 주로 대나무, 금속
찻잔 : 茶盞 - 작은 잔. 주로 도자기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이 있다.
차탁 : 茶托 : 잔받침 - 찻잔을 받치는 접시. 주로 도자기, 나무, 유기, 칠기, 금속
차통 : 茶桶 : 茶壺 - 사용할 차를 조금 옮겨 담는 통
탕관 : 湯罐 - 찻물을 끓이는 주전자. 주로 금속, 도자기, 유리 등
퇴수기 : 退水器 - 다기를 데운 물이나 차 찌꺼기 등을 담는 그릇. 주로 도자기
<외 다과기, 찻상, 찻장 등이 있다.>
* 말차용 다구:
잎차용 다구 외에 더 필요한 도구
차완 : 茶碗 - 사발 크기의 그릇으로 다양하다.
차선 : 茶선 - 찻잔에 말차를 넣고 데운 물을 부어 젓는 도구. 대나무
차완보 : 차완 받침 보자기
명설 : 茗設 - 가천 : &amp;#27295;&amp;#33608; - 나온지 오래된 쇤찻잎, 곡우 후에 딴차
명전 : 茗戰 - 차 겨루기. 차와 물과 찻그릇의 우열을 가리는 것
명차 : 名茶 - 유명한 차. 이름난 차
명차 : 茗茶 - 찻잎을 사용해 만든 정통차를 말함. 대용차와 구별
매화차 : 梅花茶 - 1766년 중보산림경제(유중림 저), 1815년 규합총서(빙허각 이
씨), 1934년 간편조선요리제법(이석만 저), 1942년 조선요리제법(방신영 저) 등
에서 매화 봉오리를 따서 말려두었다가 여름철에 따뜻한 물에 넣어 꽃도보고
맑은 향도 맡으며 즐길 수 있는 차이다.
맥과차 : 麥顆茶 - 차의 순이 보리(麥) 알갱이(顆)를 닮아서 붙인 차이름. 곡우전
첫물차를 비유한 말
멜라닌 : Melanin - 페놀류가 산화 중합되어 생성된 갈색 또는 흑색의 고분자 색소
맹월 : 孟月 - 사계절이 시작되는 첫 달로 1월, 4월, 7월, 10월을 의미한다.
멸구 먹은 차싹 - 해충 멸구에 해를 입은 새싹. 이 싹으로 홍차나 오룡차를 만들면
특이향을 내 인도나 대만에서 다질링 홍차나 백호 오룡차를 만든 것
명 : 茗 - 늦게 딴 차의 명칭. 본초강목에 茗은 쓴 차이며 그 맛은 달고도 쓰며
약간 찬 기운이 있지만 독은 없다고 했다.
명대 차 : 明代茶 - 1368~1644년의 명나라 태조 朱元璋이 1391년 연고차와 같은
고형차는 백성의 노고를 더할 뿐이므로 엽차 그대로 나라에 진상하도록 한 후
엽차가 숭상되면서 남아있는 茶經의 판본이 대부분 명대에 간행된 것이다.
明代 茶書로는 製茶新譜(전춘년 1500~1547), 煮泉小品(전예형 1530년경) 등
唐代(618~907 고형차를 고급차로 숭상), 宋代(960~1279 연고차를 고급차로),
元代(1279~1368 연고차를 계속고급차로 숭상)
명병 : 銘柄 - 차상품에 붙이는 상표(브랜드)이다. 중국은 역사가 오랜대다 산지
가 넓어 다종 다양한 차의 품명이 있고, 일본도 양질의 차를 생산하는 宇治茶,
本山茶, 川根茶 등이 있다.
명선 : 茗禪 - 2001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된 만생종 차나무 이름(소엽종)
명음 : 茗飮 - 차를 마심.
명일초차 : 明日草茶 - 나리과의 명일초 잎과 뿌리를 섞어 우려마시는 대용차
명전 : 茗戰 : 鬪茶 - 고려때 사원에서 행하던 차를우려 겨루는 풍속
명전차 : 明前茶 - 중국의 淸明節(4월5일경) 전에 만든 차.(민천차-碧라春)
명죽 : 茗粥 - 차죽
명차 : 銘茶 - 우랼 산지의 이름난 좋은 차
모 : 芼 - 풀, 채소
모 : 模 - 본뜨다, 거푸집. 법(法)
모과차 : 목과 : 木瓜 - 모과는 장미과의 낙엽고목이다. 9~10월에 채취해 쓰는데
기침, 천식, 목의 염증, 냉성에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모문석 : 毛文錫 - 중국 오대십국 시대(10세기 초- 960년)의 전촉 사람. 자는 平珪
하북성 고양 사람. 당대에 14세 진사, 촉에서 한림학사, 예부상서, 판중추원사
겸 문사전대학사, 사도. '茶譜' 한권을 지었다.
모수 : 母樹 - 종자, 삽수, 접수, 줄기, 뿌리 등을 채취하는 우량형질의 수목
모수원 : 母樹園 - 수확 목적이 아닌 우량수목을 생육 관리하는 농원
모차 : 毛茶 - 중국에서 初製 즉 일차공정을 끝낸 차를 말함. 일본의 黃茶에 상당.
2차가공한 것을 精茶 또는 再製茶라 한다. (변차의 모차에는 서로변차용으로서
毛莊茶가, 남로변차용으로 故莊茶가 있고 각기 재제된 복전, 방포 또 강전, 금첨
으로서 팔림
모형 녹차 : 矛形 - 차싹으로 만들어진 형태가 납작하고 창끝과 같다(龍泉玉劍)
목경 : 木莖 - 차잎에 붙은 줄기
목경분리 ; 木莖分離 - 荒茶에서 목경을 제거하여 차의 가치를 높이는 것.
과거에는 茶選이라하여 사람이 골라냈는데 지금은 기계로 정전식 분리기와
색채선별기로 잎과 목경을 나눈다.
목대제 : 木待制 - 병차를 넣고 부수는 데 사용한 항아리처럼 통과 방망이로 된
기구. 차를 부수는 절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목멱산 : 木覓山 - 서울 남산의 옛이름(동다송에도 나온다)
목본식물 : 木本植物 - 초본식물과 달리 목질조직이 발달한 식물을 말한다.
목오 : 木吾 - 나무방망이
목책철관음차 : 木柵鐵觀音茶 - 타이베이 목책에서 생산되는 청차류의 하나임.
외형은 갈색이 돌며 녹색으로 말려진 구형이고, 우린물은 짙은 황색이다.
몬순 : Monsoon - 인도양 북부에서 볼 수 있는 계절풍. 여름-남서풍, 겨울-북동
풍, 스리랑카는 몬순에 따라 우기와 건기가 생겨 좋은 품질의 홍차를 만드는
우량차 생산시기를 결정한다.
몰식자산 : 沒食子酸 - 폴리페놀 화합물의 하나. 차의 중요성분인 카테킨류의
구성 성분으로 공기 중에서 갈변하고 수렴성이 있다.
몽골차 : 원대 이후 티벳으로부터 라마교와 함께 전파된 것으로 추정.
주로 녹전차와 홍전차를 달여마시는데 우양의 젖이나 버터, 소금, 소다, 볶은
조를 넣기도 한다.
몽산차 : 蒙山茶 : 蒙頂茶 - 중국 四川省의 이남현, 명산현, 노산현의 경계에 있는
몽산 정상의 차나무에서 생사되는 2천년 역사의 명차. 약효가 뛰어나 仙茶라 하
였다. 녹차류- 甘露, 萬春銀針, 玉葉長春, 황차류- 黃芽, 石花 등이 있다.
몽정감로는 일심일엽一芯一葉의 눈아嫩芽를 고온에서 살청-덖음炒-비빔(유념)
-홍烘-정형의 공정으로 만들어 향이 진하고 상쾌하다.
몽정황아는 살청殺靑후-민황悶黃의 공정을 거쳐 만드는데 황금색의 차로 향기
롭고 순해 당나라 때부터 알려졌다.(국사보에 황차 중에서 가장 뛰어난 차라함)
몽하편병서 : 夢霞篇幷序 - 박영보가 꿈이야기를 듣고 초의를 위해 지어준것
묘목 : 苗木 - 식재할 어린나무.
묘벽 : 妙벽 - 오묘한 깨달음
묘아 : 苗牙 - 어린 잎이 돋아나는 것
묘포 : 苗圃 - 어린 묘목을 육성하기 위한 밭. 차는 삽목이 주임으로 삽목상 포장
무기질 : 無機質 : Mineral - 생리작용에 필요한 무기성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아연, 코발트, 망간, 철, 구리, 몰리브덴, 셀렌, 인 등 광물.
차 잎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다.
무비수아 : 無比壽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차의 이름
무석호차 : 无錫豪茶 - 중구 강소성 무석시 교외 태호 주변의 구릉지대에서 생산
되는 녹차이다. 외형은 은색 털로 덮여 둥글게 말려 있다. 탕색은 녹색이다.
무이산 대홍포차 : 武夷山 大紅抱茶 - 중국 복건성 강서성에 접한 숭안현의 산.
36개의 봉, 99개의 기암 바위사이 九曲溪가 흐르는 명산 경승으로 여기 바위에서
생산되는 차를 무이암차라 부른다. 무이산 대홍포는 청차(오룡차)의 하나로서
무이암차 중의 으뜸으로 절벽에 네그루 정도가 남아 있다. 독특한 향이 진하다.
청대부터 알려져 무이암차를 북암차, 안계철관음차를 남암차라고 한다.
무차 : 無茶 - 일본에서 난폭하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로 다도의 마음이 없음에
서 나온 말.
무차고차 : 無茶苦茶 - 일본에서 무질서하다는 의미로 쓰는 말.
묵록 : 墨綠 - 짙은 어두운 녹색에 광택이 난다. 춘차의 중국 녹차. 가마솥에 기름
을 너무 많이 발라 비롯된 현상(관능평가)
묵은 차 : 老茶 - 생산된지 2년 이상된 녹차를 말함
문산포종차 : 文山包種茶 - 15~20% 정도로 낮게 발효시킨 靑茶(오룡차)
차잎은 녹색에 가깝고 황금색의 수색에 향이 강하다.
문정 : 文鼎 - 무늬를 넣어서 짠 다로(각루화문의 솥을 뜻함)
물 : 水 - 서역기西域記에 물의 8가지 덕德 1.가볍고輕 2.맑고淸 3.차고冷 4.연하고
軟 5.맛있고美 6.냄새 없고不臭 7.마실 때 알맞고調適 8.마신후 탈이 없는 것無患
明代 徐獻忠도 수품전질에서 八功德水는 鍾山의 靈谷寺에 있다. 1 맑고 2 차갑고
3 향기롭고 4 부드럽고柔 5 달고 6 깨끗하고 7 목이 메지않고 8 숙병을 제거除病
물끓이기와 식히기 : 찻물은 끓여서 익힌 물을 차류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식혀서 사용한다. 고급 우전녹차는 60~70도C, 보통 녹차는 70~80도C, 하급 발효
차는 90~100도C로 우려 마신다.
물 주전자 : 물을 끓이는 주전자. 예전은 화로나 풍로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전기
포트나 곤로를 이용해 무쇠나, 도자기, 동, 은제 주전자를 주로 사용해 끓인다.
물목기 : 物目記 - 부조扶助하는 물품과 금액의 수량을 기록한 용지
물바가지 : 표자 : 杓子 - 물솥湯鼎에서 湯水를 떠낼 때 쓰는 물바가지.
보통 대나무로 만든다. 표주박을 반쪽 내서 쓰기도 한다.
물식힘그릇 : 귓대사발 - 끓인 물을 식히고, 우린 차의 맛을 일정하게 하기위해
차를 나누는 두가지 기능으로 사용하는 귀대가 달린 사발을 말한다.
물응축 : 녹차를 만들 때 차잎의 비빔 상태의 표현으로 화력, 가압, 환기의 조화가
이루어진 상태를 양호한 물을 말한다.
물 항아리 : 물통 : 唐代 나무로 짠 물통 수방水方 : 明代 도자기로 만든 운둔雲屯 :
청동 물항아리 : 고려청자 물항아리 : 옹기류 물항아리 등 차를 달이는 데 쓸 물을
제우기 위해 담아두는 그릇. 요즘은 뚜껑 있는 도자기류를 많이 사용한다.
미궐 : 薇蕨 - 고비고사리
미디엄 그로운 : Medium grown - 스리랑카의 해발 610~1220m 사이의 중간지대 차
생산지. 고도에 따라 높은 곳은 하이 그로운, 낮은 곳은 로우 그로운으로 나눈다.
미리세틴 : Myricetin - 찻물 색깔에 관여하는 페놀물질의 플라보놀을 말한다.
미삼차 : 尾蔘茶 - 인삼의 가는 뿌리를 달인 대용차.(1943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미세분 : 微細粉 : 이분 : 泥粉 : Dust - 전차煎茶의 끝마무리 때 생기는 가루.
보통 60호 체 그물에서 빠진다. 홍차에서는 더 미세한 크기를 가르킨다.
미얀 : 태국 북부에서 만든 茶
미엥 : Miang - 태국과 라오스에서 만든 발효차. 유산균과 초산균으로 몇달간 발효
시켜 새콤달콤한 특유의 향이나고 씹어먹는 차이다.
미진 : 眉珍 - 茶의 명칭 중 하나
민남수선 : 閔南水仙 - 중국 복건성 영춘, 남안, 선유, 진강 등에서 생산되는 명차
수선 품종 차잎을 쇄청-양청-요청-살청-유념-초홍-복홍과 포유-홍건 과정제조
탕색은 밝은 금황색에 향기는 맑고 높으며 맛은 달고 두텁다. 오래 우러나는 특
징을 가져 1959년부터 수출시작
민북수선 : 閔北水仙 - 중국 복건성 건양시, 건구시, 남평시 등지에서 생산되며
청대부터 만들어진 명차. 봄, 여름, 가을 세계절 모두 생산이 가능하며 수선생
엽을 쇄청-요청-살청-유념-홍건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색은 윤기나는 황
색이고 향은 진하고 난향이 난다. 청대 말 수출량이 500t에 달하였고 주소비국
은 홍콩, 마카오 지구, 동남아, 오세아니아, 미국 등이다.
민황 : 悶黃 - 황차 특유의 찻잎을 쌓아두고 방치하여 발효시키는 과정
밀면모 : 密綿毛 - 차나무 등 식물 각부분 표면에 붙은 솜털을 말한다.
밀성차 : 密城茶 - 밀양부 관아 뒷산 기슭에서 나는 차
밀운용 : 密雲龍 - 송대 건안차 북원공다. 소용단보다 더 정교히 만든 작은 덩이차
밀크 티 : Milk Tea - 우유를 넣은 홍차를 말하는데 데운 우유를 홍차에 넣는 잉글
리쉬 밀크 티와 홍차와 우유를 함께 넣고 끓이는 일본식 로얄밀크 티가 있다.
동미 : 凍味 - 뜨거운 보이차를 마시면 몸이 따뜻해지면서 긴장이 풀리는 그런
느낌이 들지 않는 맛
바따바따 차 : 일본 도야마현의 히루다니에서 마시는 차
바이그론 : 스리랑카의 1219m 이상의 고지에서 생산된 고급 홍차의 의미(고도분류)
바이러스 : Virus - 홍역, 유행성감기, 뇌염, 암 등 동식물의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생육하는 아주작은 여과성 미생물 병원체의 총칭이다.
바이오리듬 : Biorhythm - 사람의 신체, 감정, 지성 등의 생체활동이 주기적으로 변
화하는 일정한 현상
박차 : 薄茶 - 옅게타는 가루차를 말한다. 농차와 달리 양의 차이, 새싹의 연한 부분
으로 만드는 농차에 비해 박차는 이보다 범위가 넓다. 두가지 모두 차선을 사용하
나 박차는 차를 끓인다 하고, 농차는 이긴다 한다. 맛은 박차가 연하고 담백하다.
박차기 : 薄茶器 : 薄器 - 박차용의 말차를 넣는 용기를 말함.
박하 : 薄荷 - 화한 향이나는 꿀풀과에 속하는 숙근성의 다년초, 지하경으로 번식
하고 지상경은 직립하며, 잎은 대생한다. 차에 섞거나 직접 향차로 마시기도 함
박하차 : 모로코 등의 건조지대에서 차를 마시는 법이다. 차를 달여 낸 것에 박하
잎을 넣고 설탕을 가해 마신다. 갈증 억제에 좋다. 휘발이 잘되는 정유가 들어
있어 그늘에서 말려야 한다.
반곡 : 反曲 - 뒤로 구부러진 것
반발효차 : 半醱酵茶 - 차 잎의 효소 산화처리를 부분적으로 행한 차. 청차(오룡차)
포종차가 여기에 속한다. 제조공정은 위조-요청-살청-유념-건조 순이다.
발효도가 아주 약하고 녹차에 가까운 대만 包種茶, 약간 강한 鐵觀音茶, 安溪烏龍
茶, 더욱 강한 武이岩茶, 홍차에 가까운 대만 香檳烏龍茶 등
黑茶는 살청-비비기1-퇴적-비비기2-홍배 등의 후발효법으로 만든다.
黃茶는 살청-말리기1-옹량-말리기2-민황 등의 숙성법으로 만든다.
반상 : 盤狀 - 소반같이 편평한 모양
반상치 : 盤狀齒 - 불소 농도가 높아 치아 표면에 불투명한 반점이 나타난 치아
반죽 연차 : 연차를 만들때 최종공정으로 연차기로 하는 練乾燥를 말함
반차 : 番茶 - 일본에서의 2번 3번차 등 하급녹차를 말한다.
발 : &amp;#39185; - 찻물의 거품
발색 : 發色 - 차잎 색을 잘내기 위해 전차 등을 만들 때 증기열 공정 중에 중탄산암
모늄 용액을 써서 엽록소(Chlorophyll)를 고정시켜 녹색을 선명하게 보이게 한다.
발인제 : 發靷祭 - 고인의 유해를 모시고 집 마당이나 대문 밖에서 장지로 출발하기
전에 지내는 의식. 요즘은 장례식장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발효 : 醱酵 -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는 현상.
차는 후발효차를 제외하고는 미생물이 관여하지 않는다. 차의 발효는 주로 차 잎
중의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카테킨류가 산화되는 현상으로 불발효차, 반발효차,
완전발효차로 구별한다.
발효차 : 醱酵茶 - 차 잎을 산화처리한 차. 완전발효-홍차, 반발효-청차류(오룡차),
약한발효-백차, 후발효(미생물)-흑차(보이차)
방사형 : 放射形 - 바퀴살처럼 중앙에서 사방으로 뻗은 모양.
방상팬 : 防霜 Fan - 서리방지용 송풍기. 추위의 동상해 방지용 기구
방언 : 方言 - 한나라 양웅(BC53-AD18)의 저서. 중국 방언을 모아 해석한 책
방장산 : 方丈山 - 지리산을 이름. 方丈- 주지의 처소, 주지
방차 : 方茶 - 보이차의 일종. 맹해에서 만든 보이차로 가늘고 어린 차 싹을 원료로
사각형 덩어리로 긴압. 녹색으로 白毫(흰털)가 많다.
방취 : 防臭 - 냄새를 없애는 소취제를 말함.
방향 : 芳香 - 좋은 향기
배 : 杯 - 잔, 술잔. 대접
배견 : 拜見 - 차사에서 도구를 보고 감상하는 것
배견분 : 拜見盆 - 차 심사용구의 하나로 검은색 주석제의 네모접시(18~20cm 정방
형에 깊이 3cm)
배견장 : 拜見場 - 심사실. 차의 품질감정 장소. 북측 상부에 창을 밝히고 실내의 벽,
천장, 상, 탁자도 색 조화의 변화를 적게 하기위해 검정색으로 한다.
배다배주 : 陪茶陪酒 - 중국에서 사양하지 말고 술도 마시고 차도 마시라는 뜻
배로 : 焙爐 - 손비빔으로 만드는 유건조작에 사용하는 제차용 기구
배루 : 焙&amp;#31757; - 차를 말릴 때나 보관할 때 쓰는 대바구니
배소향 : 焙燒香 - 식품을 가열할 때 나오는 향. 차의 경우 Pyrazine류, Pyrrole류,
Furan류가 생성된다.
배차배주 : 陪茶陪酒 - 술도 마시고 차도 마심
배초차 : 焙炒茶 - 번차와 하급전차를 강한 화력으로 배초하여 가열향기를 붙인차.
일본에서는 호치차라 하는데 채취시기가 늦은 찻잎을 강한 불(직화)로 차의 떫은
맛은 감소시키고 구수한 향이 나도록 덖은 차. 녹차의 하나이고 찻물은 진한 맥주
색이며 향이 강하다.
배합 : 配合 : 브랜드 - 煎茶, 玉露 등 항상 일정한 품질의 차를 공급할 수 있게 표준
적인 배합견본에 따라 茶商이 여러종의 원료차를 배합하는 것.
백모 : 白茅 - 갓나온 여린 잎이 보송보송하여 흰빛이 도는 것으로 고급의 첫물떡차
(보림백모)
백모단 : 白牧丹 - 백호은침을 만드는 어린 싹보다 조금 더 자라서 잎이 약간 펴진
상태에서 따 만든 차. 차잎에 흰색털이 끼어있어 목단꽃과 닮아 백모단이라 함.
향기와 맛이 상쾌하다. 중국 반발효 백차의 일종으로 차잎에 흰털이 많다.
백사 : 帛紗 - 명주. 차도구를 배견할 때 깔개로 사용한다.
백수탕 : 百壽湯 - 물을 너무 오래 끓여 물의 본성을 잃어버린 것. 뜨겁게 잘끓인 차
백유 : 白乳 - 송대 건주 북원공다의 증청단차
백자 : 白磁 - 흰색자기. 중국은 한대부터, 한국은 고려백자, 조선백자가 유명하다.
일본은 사가현의 有田燒(Aritayaki)가 최초로 조상은 한국인이다.
土器, 陶器, 石器, 磁器 중에 가장 치밀질의 자기에 속하는 백자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江西省 景德鎭 白瓷가 제일이라 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磁器所 139개소, 陶器所 185개소가 따로 기록됨
신증동국여지승람-자기 31개소, 도기 12개소, 사기 4개소가 기록됨
도자기를 만드는 장인은 주로 沙器匠이라 하고 간혹 磁器匠이라 불렀다.
백자를 沙器燔造, 進上沙器, 日用磁器, 畵磁器라고 쓰기도 하였다.
백차 : 白茶 - 차 이름. 귀주의 토산차-공다, 북원의 공다(직경 1촌5푼 원형단차)
육대차류의 하나로 열처리가 가장 적게 된 약발효차. 차잎이 백색이다.
24절기 중 청명 전후 2일 사이에걸쳐 제조하는데 차싹이 크고 솜털이 많은 차의
어린 싹을 따서 덖거나 비비기를 하지않고 그대로 건조시켜 만든차이다.
향기가 맑고 여름철에 열을 내려주는 작용이 있다. 중국 福健省 政和, 복정 등이
주산지이다. 유명제품으로 白毫銀針, 白牧丹, 壽眉 등
아심에 백호가 있는 품종을 사용하여 일광위조 혹은 실내위조-건조시켜 일건,
풍건, 홍건(烘乾; 불로 쬐 건조)이 있다.
백토차 : 월토차月兎茶를 색채어로 달리 표현한것
백파거사 : 白坡居士 - 신헌구의 호. 자는 계문. 조선조 후기의 문인. 초의선사의
一枝庵詩稿에 발문을 씀
백합 : 白合 - 차싹이 나올 때 싸고 있던 두개의 작은 잎. 후에 떨어져 나간다.
백합은 인편, 아린, 아갑 이라고도 한다.
백호 : 白毫 - 차싹의 선단이 흰 배내털로 쌓여져 있는 것
백호오룡 : 白毫烏龍 : 東方美人 : 香檳烏龍 - 대만의 65% 전후의 높은 발효의 오
룡차로 여름철 무농약, 무비료 재배로 벌레가 잎의 즙을 빨아 먹은 뒤에 차잎을
따서 만들어 벌꿀같은 향이 형성된다. 대만 新竹, 苗栗 지역에서 생산된다.
우린 차의 수색은 홍차에 가까운 홍색을 나타낸다.
백호은침 : 白毫銀針 - 봄에나온 어린 싹의 흰 빛을 띤 바늘처럼 가는 일창일기를
따서 만든 맏물차로 차잎 표면에 흰색의 솜털이 붙어 있어 은백색을 나타낸다.
중국의 복건성에서 생산되는 최고급 명차 중 하나, 찻잔에 백호은침을 넣고 따뜻
한 물을 부으면 찻잎이 하나씩 곧게서서 위아래로 엇갈리는 모양이 기묘하다.
향기가 좋고 단맛이 남으며 떫은맛이 적고 녹차보다 오래 보관하여도 향미의 변
화가 적다. 반발효 백차의 일종이다.
번차 : 番茶 - 늦게 딴 잎으로 만든 차를 말하나 제차기술의 발전으로 下級煎茶 일
반을 가리키게 되었다. 성숙하여 경화된 싹을 전차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한
것. 大形의 하급전차를 말한다. 정지의 시기에 따라 秋番茶, 春番茶라고도 한다.
가열 향기를 붙인 가벼운 식후용 차이다. 성숙한 잎을 사용하여 만든 晩茶
美作番茶, 阿波晩茶, 作州番茶, 京番茶, 例干茶 등과 후발효차로 碁石茶, 黑茶 등
벌크티 : Bulk tea - 소매상품으로 포장되기 전의 재료상태의 차.
홍차의 경우 수출할 때 큰 단위로 포장된 반제품을 말한다.
베타-카로틴 : B-Carotene : 프로비타민 A - 활성산소 제거, 지질 산화억제 등 항산
화 비타민. 당근, 고추, 녹색잎, 녹차 등에 들어있는 황적색의 색소 리포이드성의
탄화수소
벤질 알코올 : Benzyl Alcohol - 달콤한 과일향을 발산하는 녹차의 향기성분 중 하나
벽 : 蘗 - 당귀, 산삼
벽돌차 : 전차
벽라춘 : 碧螺春 - 중국 강소성 太湖 연안 同庭山에서 생산되는 고급녹차이다.
청명절기의 이른 봄에 만드는 明前茶의 대표적인 차이다. 독특한 향미가 있다.
一心一葉의 가늘고 어린 싹을 따서 고도의 수작업으로 만든 공예품적인 차이다.
모양이 소라와 같이 구부러져 있고 흰털白毫을 가진 은록색을 띤다.
변차 : 辨茶 - 차의 품질 식별. 차의 丹精, 저장, 잘 덖고 볶은 것, 잘 찐 것 등
변차 : 중국 사천성에서 변경으로 수송되는 차. 청해방면으로 수송하는 西路변차
(복전, 방포)와 티벳(서장)방면으로 향하는 南路변차(강전, 금첨)가 있다.
별서정 : 別墅亭 - 선비들이 조용히 공부하고 청담을 나누며 차를 나누던 茶亭
전남 구례의 운흥정(대들보에 추사의 茶爐 걸려) 등 200여 곳이 현존한다.
강원도 경호정, 활래정, 서울 세심정, 세검정, 경북 청암정, 광풍정, 전남 다산초
당, 환벽당, 전북 취석정, 한벽당, 충남 임리정, 독락정, 충북 암서재, 애한정 등
병 : 甁 - 물 끓이는 병, 항아리, 물장군, 시루
병서 : 竝書 - 어떤 글 앞에 붙여 쓰는 글. 앞에 쓰는 글이나 시
병작 : 柄작 : 자루국자 - 긴 자루 끝에 통을 붙인 물뜨는 도구. 큰것 작은것이 있고
노용과 풍로용이 있다. 주로 대나무로 만든다.
병차 : 餠茶 : 떡차 : 圓茶 - 긴압차의 일종으로 녹차나 흑차를 증압하여 둥근 떡 모
양으로 성형한 것. 보이방차나 타차를 정제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원료로 한다.
크기로 소병차, 대병차로 만들고 7개 병차를 한 묶음(통)으로 포장한 七子餠茶는
유명하다.
병형 흑차, 생차, 숙차 : 餠形 - 원형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긴압차(雲南七子餠茶,
보이圓茶)
보다경 : 補茶經 - 송대 1012년 주강周絳이 찬집한 한권의 다서
보떼보떼차 : 일본 시마네현에서 번차로 만들어 먹는 차로서 찻솔로 휘저을 때
보떼보떼 소리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보리차 : 보리를 볶아 차로 마심. 부작용이 거의 없다.
보림차 : 普林茶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1943년)에 나오는데 불에 구워
차를 만들어 마시는데 생강과 사탕을 넣기도 한다. 모양은 보이차와 비슷하다.
보스턴 차회사 사건 : Boston 만 : 1773년 4월 영국이 차조령茶條令을 선포하고
 미국 식민지에 압정을 쓰자 미국인들이 원주민으로 변장해 1773년 12월 보스턴
 만에 정박해 있던 영국동인도회사 소유의 배를 습격해 15000Lbs(342상자)에
 달하는 차를 모두 바다에 던져버린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영국정부가 보복하게
 되자 이후 영국 홍차 불매운동이 확대되었으며-미국 독립전쟁의 계기가 되고-
 결국은 커피가 차의 위치를 대신하게 되었다.
보이긴압차 : 普洱緊壓茶 - 장기간 저장과 운반의 편의를 위해 차잎에 수증기를
 가한 다음 틀에넣고 압착하여 두고 후발효시켜 마시는 차를 말한다. 흑차의 일
 종이다. 형태에 따라 전차, 병차, 타차, 주차, 인두차 등으로 부른다.
 티벳이나 몽골 등에서는 잘게 썰어 우려마시며 밀크나 버터, 소금을 첨가해
  마시기도 한다.
보이차 : 普洱茶 - 살청한 찻잎을 퇴적하여 후발효를 한 중국 운남성의 차이다.
 틀에 담아 증압 성형한 형태에 따라 병차餠茶, 타차沱茶, 방차方茶가 주류를
  이룬다. 요즘은(1970년대~) 자연 후발효시켜 마시는 생차生茶와 속성으로
 발효하여 순하게 마시는 숙차熟茶로 구분해 생산하고 있다. 
보홍차 : 寶洪茶 - 운남에서 생산되는 녹차 품종
복 : &amp;#37713; - 솥
복령차 : 소나무 뿌리에 나는 뿌리혹을 물 600ml에 복령 8-15g을 넣고 달여
하루 2-3잔으로 나누어 마신다. 뿌리혹의 색에 따라 백복령, 적봉령이라 한다.
복배 : 復焙 - 찻잎의 수분을 말린다음 시장에 유통하기 전, 숯불이나 전기를 이용해 일정온도에서 다시 한 번 더 건조과정을 거치는 작업.
복숭아차 : 복숭아의 씨와 꽃을 이용한 차. 꽃으로 만든 것은 도화차桃花茶,
 종인種仁 즉 씨 알맹이로 만든 것은 도인차桃仁茶라 한다.
복전차 : 茯磚茶 - 중국 호남성과 운남성에서 제조되는 고형차로 신강 위구르
 지역 등에서 마시는 서로변차(西路辺茶)의 대표 차종이다.
 毛茶의 재제는 차즙을 가한 증엽을 퇴적해 곰팡이를 접종 후 압착 정형 한다.
복주 : 福州 - 지금의 복건성 복주시
복하재배 : (일본 작물학 용어) - 일사광선을 차단하여 새싹을 키우는 재배법.
 옥로, 전차磚茶 생산은  최종 차광도 95~98%, 차광 기간은 약 20일간인데,
 일반관리, 비배조건 등 전차원煎茶園 보다 훨씬 정성들여 이루어진다.
 피복차는 차광도 60~70%, 일번차는 7~10일, 이번차는 4~5일 정도 차광한다.
복합타닌 : C-Glucosyl Flavonoid를 기본으 하는 Tannin - 차 잎에는 Apigenin의
 C-Glucoside 등 20여종 이상의 C.F가 함유되 이들이 고분자 화합물을 구성하여
 복합타닌으로서 존재한다.
본년지 : 本年枝 - 금년에 자란 가지. 이 가지에서 좋은 새순을 얻을 수 있으며
 고급차로 만든다.
본초 : 本草 - 神農本初經의 약칭, 고대의 저명 藥書. 명나라 李時珍에 이르러
本草綱目 52권이 출간됨 /
당나라 고종(재위649-683)때 서적徐勣이 약에 관해쓴 신수본초新修本草
봉차 : 棒茶 - 끝마무리 공정에서 선별된 줄기 적경赤莖 또는 혼합된 경차莖茶이다.
봉차 : 封茶 - 옛날 혼사가 성립되면 양가에서 차 한 봉지를 주고 받는 것. 요즘은
 혼인식 전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채단과 예장을 보내는 봉채封采 또는 봉치라함
부꾸부꾸차 : 일본 오끼나와 섬의 독특한 차. 쌀이나 현미를 볶은 가마에 끓이고 여
 기에 중국차와 번차를 섞어서 차를 달인다. 부꾸부꾸용 바리대에 찻물을 넣고 큰
 찻솔로 거품을 일으켜 두손으로 마신다.
부말 : 浮沫 - 위에 뜨는 기포가 큰 거품
부분발효차 : 部分醱酵茶 - 반 발효차 중 대만 향빈오룡차香賓烏龍茶를 제외한 包種
 茶, 철관음차, 水仙茶 등으로 발효도가 낮은 차를 말함. 차잎의 주연부周緣部는 발효하나 중심부에는 녹색이 남아 있는 상태
부옥 : 浮屋 - 순이 돋을 때 직사광선과 바람을 막아 차싹의 생장과 색, 맛을 잘 내게
하려고 설치한 간이 보호 건물
부적력 : 不滴瀝 - 물방울이 뚝뚝떨어지지 않고 절수가 잘 된다는 뜻
부차 : 釜茶 : Pan fired tea - 철제 솥에서 교반하면서 화입한 煎茶를 마찰기에 걸어
 차의 표면을 매끄럽게 한 뒤 체질 등으로 정제한다. 북미풍 수출용 녹차의 일종
부초차 : 釜炒茶 : 덖음차 - 불발효차의 일종. 가마의 크기는 보통 지름 72~75cm,
 깊이 24cm, 두께 1cm로 300~400도C의 온도에 견디는 무쇠 가마(솥)이다.
 덖을 때 수평가마와 경사가마로 제다 하는데 수평가마 제다법- 한국, 일본 구마모
 토현, 중국 항주 부근, 능률이 낮아 주로 국내용으로 / 경사가마 제다법- 45도 기울
 게 설치해 사용하는데 능률이 높아 중국 남쪽 광동과 일본 시가현에서 수출용으로
 만든다.
 부초차 덖는법은 한 번에 약3~3.75kg 생잎을 가마에 넣고 나무 막대기로 4~5분간
 휘저어 섞어가며 덖고-차의 향기가 나면-두 손으로 차잎을 움켜 떠 올려서 높이 들고 1분에 60회 속도로 흩날려서 차잎의 물기를 빼는 잎날리기를 한다.-건조된 차잎을
 멍석에 깔고 두손으로 비틀어 문지르면서 비비기를 10~15분간 반복한다.-비빈 차잎
 은 160~180도C로 낮춘 가마에 넣고 차잎을 다시 흩날리며 건조시킨다.-4회분을 합
 해서 100~110도C 가마에 넣고 1분간 40회 정도의 속도로 약 1시간 반동안 마무리
 덖기를 한다.-생잎 무게의 70~80%로 감소-차잎은 돌돌말린 모양이 된다.-이 상태의
 차잎을 80~100도C로 낮춘 가마에 다시 넣고 고급차는 6~7회, 하급차는 3~4회를 휘
 저으면서 건조시키는데 차에 윤기가 나면 된 것이다.
 덖음차는 제조일이 가까울 수록 맛이 좋다. 만드는 방법은 재래식과 대량생산을 위
 한 기계화된 제다방법이 있다.
부풍향차보 : 扶風鄕茶譜 - 1755년에 李運海(1710-?)에 의해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다서. 동다기 보다 30년, 동다송 보다 80년 앞선다. 황윤석의 일기인 이재난고에 그
림과 함께 인용 되어있다. 내용은 서문과 茶本, 茶名, 製法, 茶具 의 네항목으로 구성
여기 차는 일반 작설차에 향약을 가미한 향차였다.(부풍-전북 부안의 옛이름)
부향 : 釜香 - 부초차 특유의 방향을 말한다. 테르펜계 향기성분과 청엽 알콜에스테르
 류의 상쾌한 향으로 가열에 의해 생성된 파라진(Pyrazine)류의 향이 합쳐진 것이다.
 증제보다 빛깔은 약간 떨어지나 변질은 덜된다.
북아프리카차 : 이집트는 1차 세계대전 무렵부터 리비아에서 전파된 유행이었다.
 이들은 탕관 겸용의 다관에 끓는물, 녹차, 설탕을 넣고달여 갈색이 되면 마신다.
 모로코는 19세기 영국 상인에 의해서~, 사하라사막 민족인 투아레크족은 20세기
 초부터 홍차도 마시지만 일반적으로 중국의 가마덖음차를 마신다.
 수단에서는 차를 범랑으로 만든 다관에 진하게 달인 차를 설탕이 담긴 작은 유리잔
 에 따라서 마신다.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 등에서는 주석이나 양은 다관에 차와
 설탕을 넣고 끓인 물을 붓고 차를 달여 유리잔에 따라 마신다.
북원 : 北苑 - 지금의 복건성 건구시가 옛 건안 봉황산록에 북원이 있었다.
南唐 말부터 宋代에 貢茶 산지로 正焙의 차를 생산했다.
북원공다 : 北苑貢茶 - 宋代 북원에서 만들어 황실에 바친 차. 方形團茶는 1108-1122
년경에 만든 것으로- 상림제일(1120), 을야청공, 승평아완, 용봉영화, 옥제청상,
계옥승은, 설영, 운엽, 촉규, 금전, 옥화, 촌금, 무비수아, 만춘은엽, 의년보옥,
옥청경운, 무강수룡, 옥엽장춘, 서운상룡, 장수옥규, 흥국암과, 향구배과, 신수간아,
태평가서, 남산응서(1122) 등. 원형단차는 용원보춘, 상품간아, 흥국암간아 등을
세색이라 부른다.
북원별록 : 北苑別錄 - 1186년 宋代 조여려趙汝礪가 쓴 茶葉專書. 12개 항목 총2800자
웅번이 지은 '선화북원공다록'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쓴 것.
북원습유 : 北苑拾遺 - 송대 유이가 찬집한 차에관한 기록
분 : &amp;#30042; - 멱둥구미, 삼태기, 광주리
분 : 盆 : 쟁반 - 테두리가 낮은 반. 목제, 금속제 등 여러종류가 있다.
분말차 : 粉末茶 - 전차煎茶를 분말한 것으로 말차抹茶와는 구별된다. 食材用 등
분말차의 식품공전규격 : 2011년 규격-성상: 고유의 빛깔과 향미가 있으며 이미
 이취가 없어야한다. 수분: 10%이하, 타르색소: 업어야 한다. 중금속: 5.0 mg/kg 이하
분차 :粉茶 : Sifting : 채분리 - 재차의 과정에서 분말화한 차로 차여과기를 사용하여
 음용한다.
분차합 : 分茶盒 : 분다합 : 차합 - 곧 사용할 차를 넣는 용도로 쓰는 기물.
 주석으로 만들고 , 큰 항아리에서 나누어 사용한다,(차록-장원)
분축 : 焚祝 - 제사를 마치고 축문을 태우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의 차 : 차는 옛부터 약리적 특성과 정신적인 수행에 맞고, 주육酒肉이 금지된
 승려에게 차는 잠을 몰아내고 정신을 맑게하여 행行, 주住, 좌坐, 와臥의 일상에서
 자기의 본래면목을 정관케 하는데 도움이되어 애용된다. 또한 적막산중의 초암에
 홀로 앉아 화로에 물끓는 소리와 솔바람소리를 들으며 피어오르는 차의 청향을
 맡으며 생사의 해탈을 추구하는 선승의 피로도 자연히 풀리게 되 끽다의 풍습이
 관계되어 공양에 향과 꽃이 필수품이 되었다.역사적으로 삼국유사-경덕왕 충담사
 조에 三花嶺에 올라 차공양한 기록~ 도의선사, 원효, 고려말 태고 보우, 조선후기
 초의선사 등이 있었지만 승유억불 정책의 조선조에 들어와 유교적인 '다례'에 포함되
 그 빛을 잃었다.
블랜칭 : Blanching - 찻잎 중의 효소작용 억제와 색소변형, 영양손실 등을 막기위해
  수증기, 열탕, 열풍 등으로 열처리하는 것.
블랙퍼스트 티 : Breakfast Tea - 영국을 비롯한 유럽 등지에서 아침 식사와 함께 마시는 차. 아삼차나 실론홍차를 혼합한 잉글리쉬 블랙퍼스트 티를 마신다. 진하게 우려 우유를 넣어서 마시기도 한다.
블렌딩 : Blending - 여러가지 차를 혼합하는 것
블렌드 차 : Blended Tea - 여러 산지의 차를 배합하여 만든 차. 홍차의 잉글리쉬 블랙퍼스트, 로얄 블랜드, 퀸 앤 퀸메리, 아이리쉬 블랙퍼스트, 프린스 오브 웨일즈 등이 있다.
불말 ; 拂末 - 가루털이개
불발효기 : 不醱酵機 - 부초차 즉 덖음차의 가공에서 최초의 생엽을  덖어서 산화효
 소를 불활성화시키는 기계로 회분식, 원통엽진행연속식, 원통형연속식이 있다.
불발효차 : 不醱酵茶 - 차를 만들 때 열처리부터하여 산화효소를 불활성화시켜 만든
 차를 말한다. 녹차(綠茶 Green tea) 가 대표 차 인데 화열로 가마에 덖어만드는 증
 자차(蒸煮茶) 햇볕에 말려서 만드는 일쇄차(日晒茶)로 나눈다.
불소 : 弗素 - 할로겐 원소의 하나. 특이한 냄새가 있는 담황색 기채. 화학 반응은
 아주 강하고, 유리의 가공, 치과용 시멘트, 접착제, 방부제, 살균제, 냉매(freon)
 등 불소수지의 제조 등에 널리 사용된다.
 차잎에는 옥로玉露 29~120 ppm. 전차煎茶 20~240 ppm. 이 함유되어 있고
 열탕으로 60~70% 용출되고,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다.
불야후 : 不夜侯 - 차를 이르는 별명
불함산 : 不咸山 - 백두산. 백산차가에 나와 -일강차(백산차)
붕 : 棚 - 시렁, 사다리, 선반을 의미한다.
비 : 비 - 종다래끼
비등지성 : 沸騰之聲 - 물이 끓어오르는 소리
비로드 유약 : 청록색을 의미하는 유약. 이는 유리와 유사한 색이므로 비로드유라 한다. 가마에 불을 땔 때 사용한 장작 중의 미량의 철분이 환원소성(燒成)되어 청록색으로 발색한다.
비리 : 비莉 - 대발
비변사 : 備邊司. 주사籌司 - 조선시대 일반 행정 전반을 관장하던 중앙관청으로 호남
과 영남 각 고을의 차생산 유무 등 부역, 금전보상 등을 관장하던 주무관청
비요 : 匪腰 - 시루의 아랫부분이 솥으로 들어가고 그 중간에 솥과 맞닿는 부분
비차 : 非茶 - 중국 남북조시대 차의 분류 호칭. 일본은 교토(京都)의 매미(梅尾)산의 차를 本茶라 불러 귀중하게 여긴데 대하여 그 이외의 산지 차를 비차라 불러 구별하였다.
비파차 : 枇杷茶 - 장미과 상록 교목의 비파잎을 이용해 만든차. 생잎을 그대로 달여 마시거나 잘게썰어 그늘에 말려 사용하며, 효능을 높이기 위해 볶아서 이용한다. 기침, 위장병, 피로회복에 좋다고 한다.
빈차 : 浜茶 : 弘法茶 - 두과 식물인 하원결명(河原決明) 이나 실고초(失苦草)의 어린싹을 9~10월에 예취하여 말려 저장한다. 이용할 때는 냄비에 덖고 달여서 번차番茶 대신 마신다.
뽕잎차 - 상과의 낙엽교목 뽕나무 잎을 건조해 사용한다. 1일 5~10g 을 달여 복용하면 당뇨 갈증, 두통, 담해, 눈의 충혈에 효과가 있다.
사 : 使 - 향이 지극히 아름다움. 향기롭다.
사대봉사 : 四代奉祀 -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까지 제사를 모시는 일.
오늘날 건전가정의례준칙에는 2대 봉사로 규정하고 있다.
사례 : 四禮 -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의미
사립상 홍차 : 沙粒狀 - 마치 모래와 같이 가늘고 작은 차(紅碎茶)
사마상여 : 司馬相如 - 자字는 장경長卿. BC179-117 촉군 사람. 漢代 제일의 문장가
사모바르 : 러시아의 탁상 탕비기(湯沸器). 전열기로 된 것도 있다. 겨울 추운 러시아 가정에서의 필수 생활용구의 하나이다. 재질은 구리, 놋쇠, 은제품이 있다. 러시아의 차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
사목삼초 : 四木三草 - 일본 에도(江戶 1600~1867)시대 중요시 했던 농작물 즉 4종의 나무(차나무茶, 뽕나무桑, 닥나무楮, 옷나무漆)와 3종의 풀(홍화, 삼마麻,바구니풀藍)
사문초의 : 沙門草衣(1786~1866) - 사문은 출가하여 자기 수행을 하는 사람 즉 승려를 말한다. 초의는 풀옷이란 법호 속성이 장씨, 속명은 모른다. 법명은 意恂, 字는 中孚이다. 대둔사(구 대흥사) 13대 종사였다. 茶神傳과 東茶頌을 저술해 차인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파란과 격변의 조선후기에 태어나 茶山 鄭若鏞에게 茶와 詩,書를 배워 1815~
평생의 知己로 秋史 金正喜와 우정을 돈독히 쌓아 더 유명해졌다.
사분 : 篩分 : 체질 - 차를 선별할 때 사용하는 체로 크기를 구분한다. 평행체, 회전체, 진동체 등이 있다.
사상 : 四象 - 태양(太陽/老陽), 소양少陽, 태음(太陰/老陰), 소음少陰 을 의미
사선 : 篩選 - 기계를 이용하여 찻잎을 크기별로 구분하는 과정
사성 : 賜姓 - 임금으로 부터 성씨를 부여받는 것
사숙 : 私淑 - 죽은 사람이나 먼 곳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배우지는 않았어도
마음속으로 그 덕을 사모하면서 자신의 스승으로 여기며 학문의 도를 닦는 것
사시찬요 : 四時纂要 . 四時類要 -한악韓鄂의 저술. 차씨를 받아 발아시킨 후 땅에다
옮겨심는 절차와 걸음주는 법, 재배상의 주의사항 등을 적은 내용
사액 : 賜額 - 임금이 사당이나 서원 등 특정한 건물에 이름을 지어 글씨를 써서 새긴
  편액扁額을 내려주는 일
사전차 : 社前茶 - 차따는 시기 즉 춘분(음력 2월) 전후에 차잎을 따서 만든차를 이른다.
중국 南宋代에 호자(胡仔)가 지은 '초계어은총화'에 좋은 차는 사전차이고, 그다음이 火前茶이며 雨前茶가 버금간다고 기록됨.  禮記에 立春 뒤의 다섯번째 戊日이 春社이다.
사절 : 四節 - 설날, 단오端午, 추석秋夕, 동지冬至를 말한다.
사질식양토 : 沙質埴壤土 - 모래 45% 이상, 미사 28% 이하, 점토 20~35%인 토양을 말한다.
사직방 : 司職方 - 직물로 만든 다건茶巾
사창한수 : 四窓閒&amp;#21471; - 네창문으로 바람을 맞이하며 한가롭게 지내는 늙은이 즉 사방의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이 차의 건조상태를 유지시켜준다는 의미이다.
사초 : 莎草 - 조상의 묘지를 수축하고 벌초伐草 하는 일
사출성모 : 四出星毛 - 식물체에서 네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
사포닌 : Saponin -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배당제의 일종으로 수용액은 거품 포립이 일어난다. 차종자에 0.3%, 차잎에 0.1% 정도 함유된 차 사포닌은 고미와 강한 아린맛
(Acridity)이 난다.
샤프란차 : Saffran Tea - 암꽃술과의 다년초인데 붉은 암꽃술을 채취하여 음전으로 건조해 차로 우려 마신다. 스트레스, 두통, 어깨절임, 냉성, 월경불순, 갱년기장해, 기침 천식에 좋다.
산딸기차 : 覆盆子茶 - 산딸기를 말려 분말로 만들어 차로 이용한다. 이 차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열탕에 타서 마신다.
산도 : 酸度 - 수소 이온 농도. pH7 이 중성. 그이하가 산성. 그 이상은 알칼리성이다.
삼례 : 三禮 - 예기禮記, 주례周禮, 의례儀禮를 의미한다.
산미 : 酸味 - 신맛. 맛의 4개의 기본적 요소의 하나. 음이온에 산미, 감미, 삽미 등이 있다.
산사자차 : 山査子茶 - 장미과 낙엽고목의 산사자 열매를 따서 건조해 달여마시는 식물성 대용차의 하나.(증보산림경제-1766년 유중림 찬) 건위, 소화, 정장 작용.
산수유차 - 산수유 열매를 말려 이용하는 대용차의 하나.
산차 : 散茶 : 낱차 : 葉茶 - 잘라서 조각으로 한 차. 지금의 녹차. 중국 宋代에는 산차, 편차片茶, 연고차硏膏茶로 분류하였다.
산화 : 酸化 - 유기화합물에서 수소원자가 빼앗길 때 산화되었다고 한다. 우리들 주위나 몸에서 산화는 보편적으로 일어난다. 식품에서도 일어나 산패나 악취의 원인이 된다. 가열하거나 빛을 쬐면 빠르고, 냉장하여 온도를 낮추어도 산화는 멈추지 않는다.
산화되기 쉬운 성분은 지질, 터펜terpene, 비타민, 페놀성 성분 등이다.
신선한 차 잎에는 10~18% 의 카테킨류가 함유되어 항산화작용으로 산패나 악취의 발생을 막는다. 역으로 카테킨류는 산화 중 적자색의 색소성분으로 된다.
차 잎의 효소의 산화의 경중 강약에 따라 차종이 다르게 된다.
산화소성 : 酸化燒成 - 도자기를 구을 때 요(窯) 내에 산소공급을 늘려 소지(素地-기초, 바탕) 나 유약(釉藥) 중의 광물을 산화시켜 색의 변화를 주는 소성방법이다. 환원소성의 반대 말이다.
산화효소 : Oxidase - 산소(O2)에 의해 기질을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총칭.
살구차 - 살구 꽃이나 씨(杏仁)를 말려 이용하는 대용 차.
살수빙결법 : 撒水氷結法 - 겨울철 동상해방지법 중 하나로 저온 때에 물을 살포하여 잎 표면에 물방울이 빙결할 때 방출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엽면을 0도C의 얼음막으로 덮어 식물이 동결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살청 : 殺靑 : Fixation - 중국의 제차 용어로 가열하여 차 잎의 산화효소의 활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청은 차잎의 생잎을 의미하고 홍차와 백차를 제외한 차에서 행하고 있다.
가열방법은 옛날부터 굽기, 덖기, 볶기, 찌기 등이다.
삼국사기 : 三國史記 - 1145년 김부식金富軾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紀傳體 역사서. 총 50권으로 本紀 28권, 연표 3권, 지志 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과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사료로 이용
  될뿐 아니라, 고려 중기의 역사의식과 문화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삼국시대 차문화 - 우리 차문화의 시작을 삼국유사의 허황후의 인도 전래설을 바탕으
 로 서기 48년으로 본다. 그다음이 4~5세기경 제자들이 종교화한 불교를 수용한 후의
 가능성, 그리고 차는 이미 선덕여왕 때부터 있었지만 삼국사기의 신라 흥덕왕 3년 서
 기 828년 당나라에서 돌아온 김대렴의 차종자를 지리산에 심어 이때에 이르러 성행
 하였다는 것 등을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의 차문화는 7세기 초반에 시작되어 9세기초
 흥하게 되엇다고 볼 수 있다. 그 밖에 왕실, 승려, 화랑이 차문화를 즐겼다. 곧 의식이
 성스러우면 차를 사용하여 제천의식을 비롯해 명절에는 조상께 차례茶禮를 올리게
 된 것이다. 이때는 떡차를 가루내어 마시는 가루차엿을 것이다.
삼국유사 : 三國遺事 - 1281년경 고려 충렬왕 때 일연一然이라는 승려가 지은 역사서.
 왕력王歷, 기이紀異, 흥법興法 등 총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뿐만
 아니라 고조선에서 고려까지 우리나라의 고대 역사를 다루었다. 특히 단군신화 등
 고조선에 관한 서술은 단군을 국조國祖로 받드는 근거와 한반도 반만년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현재 전하지 않는 많은 문헌이 인용되었고 향찰로 표기된 14수의
 향가가 실렸으며, 고대 불교미술 등의 내용도 많이 담겨 우리 문화유산의 보물창고와
 같은 책이다.
삼도차 : 三道茶 - 고차를 기초로 산초, 생강, 계피 등을 넣어마시는 차-(白族의 접객용)
제1도 차는 인생의 괴로움과 엄함을 나타내는 고미가 느껴지는 타차를 진하게한 것
제2도 차는 즐거움善과 행복幸을 의미하는 감미로운 향과 맛이 있는 감통차感通茶
제3도 차는 즐거움과 슬픔이 있는 인생의 긴 길을 회상하는 차로 창산설록을 사용한다.
삼백초차 : 三百草茶 - 삼백초과의 다년초를 뿌리 등 전초를 건조해 만든 식물성 대용차. 이뇨, 변통, 고혈압 예방, 혈압 조정에 효과. 한방에서 십약十藥. 무좀에 생잎발라.
삼번차 : 三番茶 : 세물차 - 차 제조시기에 따라 분류한 것. 7월~8월 사이에 채취한 잎으로 만든 차. 품질은 떫은 맛 등 낮은 편이다. 산지에 따라 4번차까지 따서 차를 만든다.
삼절 손따기 : 한 손따기와 두 손따기 방법으로 한 싹에 한 잎이나 두 잎이 달린 일창일기 또는 一槍二棋를 따게 된다. 한 손따기- 왼손으로 차나무 가지를 잡고 손톱으로 끊어서 딴다. 두 손따기- 따야 할 일창일기의 차를 왼손으로 모아서 오른손의 엄지와 둘째손가락으로 훑어서 딴다. 두 손따기가 약 5배의 능률이 높다. 하루에 한 사람이
15~40kg까지 딸 수 있다.
삼색세아 : 三色細芽 - 차 이름, 아차의 일종이다. 바로 소아, 간아, 중아를 가리킨
다. 청대에는 細茶라고도 함
삼우제 : 三虞祭 - 장례식을 마치고 3일째 되는 날에 집에서 궤연에 제사지내고,
묘소에 가서 참배하는 것을 말함
삼증삼쇄 : 三蒸三쇄 - 세번 찌고 세번 볕에 말린다.
삼지구엽초차 : 삼지구엽초 잎과 줄기를 잘 말려 건조한 곳에 보관 이용하는 대용차
삼차 : 홍삼 뿌리를 생강이나 계피를 섞어 끓여 체에 밭쳐서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신다. (증보개정 조선요리제법 -1943년 방신영 저)
삼차가공차 : 三次加工茶 - 끝마무리 차를 다시 가공한 것으로 여러 종류가 있다.
 분말화한 것- 말차抹茶, 전차煎茶를 분쇄한 분말차粉末茶
 분차를 굳게한 것- 고형차
 차를 굳게한 것- 중국의 각종 긴압차緊壓茶, 단차團茶, 전차塼茶
 차 이외의 것의 혼합- 현미차, 각종 꽃차花茶
삼차기능 : 三次機能 - 식품이 갖는 3대 기능의 하나로 생체가 갖는 갖가지 기능에 영향을 주는 생체조절기능을 말한다. 특히 차는 삼차기능 성분이 우수하여 항균, 항알레르기, 항암작용이 밝혀졌다. (1차기능-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영양기능, 2차기능- 맛을 나타내는 감각기능)
삼헌 : 三獻 - 옛날에는 9헌을 드렸으나 한漢나라 때부터 3헌 제도가 정착되었다.
初獻, 亞獻, 終獻을 말함
삼홍칠록 : 三紅七綠 - 중국 청차류(반발효차) 찻잎의 산화정도를 나타내는 말. 홍색으로 산화한 부분이 30%, 녹색의 비산화 부분이 70% 상태의 색을 표현한 말이다.
이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향미의 차가 된다.
삽목 : 揷木 - 모수의 가지를 잘라 땅에 꽂아 뿌리를 내리는 영양번식법이다.
삽목묘 ; 揷木苗 - 삽목에 의하여 키워진 묘목.
삽미 : 澁味 - 떫은 맛. 맛의 7요소 중 하나이다. 철, 구리 등 금속, 묽은 산, 타닌 등은 모두 삽미를 띤다. 차의 삽미는 주로 타닌류의 구성성분인 카테킨류에 의한 것으로 차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의 하나이다.
삽수 : 揷穗 - 삽목을 하기위한 수목. 모수
삽주차 : 창출 : 蒼朮 - 물 600ml에 창출 6~10g정도 넣고 약한불로 달여 마신다. 습을 없애고 비를 튼튼하게 한다. 둥근 기둥모양에 잘록한 마디가 있고 겉껍질이 있다.
(백출白朮 - 흰삽주. 모양이 통통하고 크며 겉껍질과 잔뿌리가 없다. 땀을 멈추는 작용과 태아를 안정시킨다)
상록수 : 常綠樹 - 사계절 푸른 나무. 차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등
상차 : 桑茶 - 뽕잎차. 상과의 낙엽교목 뽕나무 잎을 재료로 한다. 하루 5~10g을 달여서 복용하면 당뇨병의 입안 갈증, 두통, 담해, 눈의 충혈에 좋다. 뽕나무 가지는 류머티즘, 신경통, 관절염에 좋고, 가지껍질(지피)은 이뇨, 혈압강하, 혈당강하에 쓰고, 열매(오디)는 간장, 신장 기능에 이용된다.
상투법 : 上投法 - 차를 넣는 방법 중에 여름에 주로 하는 방법인데 녹차를 우릴 때 더운 물을 먼저 부운 후 차를 넣어 우리는 방법이다.(다신전)
상해 : 霜害 - 서리해. 서리가 내려 새싹이 받는 피해를 말한다. 서리 없이 저온으로 인한 동해와 합하여 동상해凍霜害 라고도 한다.
상회 : 上繪 - 도자기 겉에 그리는 그림. 유약을 발라 구은 도자기에 다시 그려 넣어 구운 무늬나 그림. 800도C 전후의 저온유로 그린 것.
상회부착 : 上繪付着 - 1200도C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  시유도자기 위에 800도C 전후에서 녹인 저온유(上繪具)로 그림이나 도안을 그리는 것.(釉上彩)
샨종 : Camellia sinensis var. shan - 라오스, 태국, 미얀마 등지에 분포하는 고목 차나무. 잎의 길이는 15cm 내외로 끝이 비교적 뾰족한 중간 수종이다.
색종 : 色種 - 중국 청차류의 하나로 유명 차품명 외의 여러 품종의 차잎을 혼합하여 만든 다종혼합의 차를 말한다.
색택 : 色澤 - 차 품질의 심사항목의 하나. 색상, 명도, 채도, 광택의 유무 등 외관의 표면 상태. / 건조 중 좋은 색채로 변화한 잎을 그상태로 멈추게 하는 것.
생강차 : 生薑 - 乾薑(마른 것) - 둘다 차의 재료로 적당히 썰어서 푹 달여 마신다.
 성질이 따뜻하며 비위의 원기를 늘리고 속을 덥게 해준다.
생엽 : 生葉 - 차를 만들기 위해 적채한 새싹과 잎을 말한다.(선엽鮮葉)
생찻잎 : 生茶葉 - 차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따 놓은 차나무의 어린 순이나 잎.
생활차 진다 : 生活茶 進茶 - 일상생활에서 차를 마시는 일. 차를 마시기 위하여 물을
끓이고 차를 우려내는 방법. 진다에 의례는 포함되지 않는다. 의례는 헌다(신이나 제단에 올리는 차) 이다. 행다 혹은 행다법이라는 말은 진다의 잘못된 관행적 표기이다.
그래서 차실의 진다. 다정의 진다. 응접실의 진다. 야외의 진다이고, 사원의 헌다이다.
쉽게 말해서 살아 있는이에게는 진다요 죽은이에게는 헌다로 쓰는 것이 옳다.
서남아시아 차 : 19세기 말부터 러시아의 사모바르에 의한 차달이기 방식이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 서남아시아에 유행되었는데 유리잔과 티스푼으로 차를 마시는
방식도 러시아와 같다. 밀크나 크림을  넣지않고 다만 유리잔에 설탕을 듬북넣고  찻물을 붓는다. 1930년대부터 시리아, 레바논의 상류사회에서는 홍차를 마신다.
서양의 차문화 : 西洋의 茶文化 - 중원의 차문화가 전파된 후 각국이 서로 다른 배경과 역사를 가지고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 1610년 마카오에서 포르투갈인을 통해 사모은 중국차는 동인도 회사의 네덜란드 국적 선박에 의해 프랑스, 독일을 거쳐 영국으로까지 전해진다. 유럽이 처음 접한차는 녹차 였는데 대부분 중국으로 부터 공급받는다.
17세기 네덜란드를 거쳐 18세기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홍차가 영국에 의해 유럽에 정착되면서 세계인의 음료가 되었다. 중국과 영국의 아편전쟁, 보스턴 차사건이 발단이 된 미합중국의 독립전쟁을 치르며 발전한 서양의 차문화는 오늘날 차를 통해 마음의 평안과 여유를 느끼며 사교의 방편으로서 일상에 없어서는 안 될 문화로 자리 잡았으며 차도구를 비롯한 다양한 차 소품 등이 각 나라문화에 따라 개성있게 꽃피워지고 있다.
서대 : 西臺 - 다산 초당을 말함
서초 : 瑞草 - 차의 애칭이다.
서초괴 : 瑞草魁 - 차의 별칭. 상서로운 풀 가운데서 으뜸이란 뜻
서호용정차 : 중국 절강성 항주에서 생산되는 용정차. 차나무의 생장에 제일 좋은
  조건을 가진 차산지의 하나이다.
석류차 : 꽃과 과실 껍질을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차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석류
나무의 꽃, 과실, 가지, 뿌리껍질 등 모두 약재로 이용한다. 유의할 점은 모두가 철
성분을 꺼리므로 철제그릇을 피해야 한다.
석유 : 石乳 - 송대 증청단차. 북원의 연평과 무이의 돌벼랑 찻잎으로 만들었다.
석전운 : 石轉運 - 맷돌을 이름
석정 : 石鼎 - 돌로 만들어진 발이 달린 솥.
석지 : 石池 - 물을 담아두는 도구나 용기. 재료는 돌이나 도자기 등으로 만든다.
선 : 禪 : 禪定 : 禪那 : 思惟修 : 범어 Dhyana : 팔리어 Jhana -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적정無我寂靜의 경지에 도달케하는 정신집중의 수행법.
선도 : 鮮度 - 신선한 정도. 차는 채취 후 덖거나 증기로 가열하여 잎 중의 여러
 종류의 효소를 실활失活 시켜 유념한 후 건조하여 만들므로 선도를 잘 유지한
 식품이다. 차 잎에는 항균작용이 강한 카테킨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미생물
 증식이 자연적으로 억제된다.
선모 : 腺毛 - 끝이 원형의 선으로 된 털.
선별 : 選別 - 차를 만든 후 찌꺼기나 줄기 등을 골라내는 과정.
선부군 : 先府君, 先父君 - 돌아가신 아버지의 칭호
선연 : 旋硏 - 바로 연에넣어서 갈아낸다.
선화북원공다록 : 宣和北苑貢茶錄 - 송 휘종 대에 웅번熊蕃이 북원에서 차를 만들
어 궁중에 바치는 북원공다의 내용과 과정, 차품 등에 관한 것을 2800 자로 기록
한것. 송대 연고차 연구에 중요한 책.
웅번이 사후 아들 웅극熊克이 증보-공다의 모양 38종 그림으로 남겨(1158년)
휘종의 '대관다론', 조여려의 '북원별록'과 함께 중국 가루차 연구의 보전이다.
성지 : 盛之 - 가득 채워 잘 싼차
설 : 屑 - 가루, 부스러기
설 : 설 - 중국 옛 촉나라 서남사람들이 부른 차의 이름.
설도공자 : 雪濤公子 - 가루차를 격불했을 때 잔면에 흰 유화乳華가 눈같이 뜬
모습
설록(차) : 오설록 : O'sulloc - (주)아모레퍼시픽의 차전문 브랜드 이름이다. 1979년
 태평양화학의 서성환 회장이 제주도에 차밭을 일구며 녹차의 대중화를 위해 생활
 차를 생산 보급함으로서 차문화 중흥에 크게 기여한 차 이름이다.
설액 : 雪液 - 가루 말차를 차완에 교반 한 것을 형용한 말로 흰 거품이 뜬 차를 말함
섬모 : 纖毛 - 가는 털. 차나무 잎 뒷면에도 많이 나있어 가공할 때 고유의 향기를
 내는데 영향을 준다.
섬유 : 纖維 - 가늘고 긴 물질로 천연섬유(식물섬유, 동물섬유, 광물섬유)와 인고섬유
 로 대별한다. 차의 섬유에는 조섬유, 식이섬유, 중성세제섬유가 측정되고 있다.
성모 : 星毛 - 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으로 된 털을 말한다.
성목원 : 成木園 : 成園 - 거의 일정한 생산량이 나오는 차원을 말함. 일본에서는
 몇년생의 성목원으로 세금신고에 수령을 기록한다. 과세는 7년 이상을 성목원으로
 한다.
성엽 : 成葉 - 성숙한 잎. 차나무의 성엽은 생육을 유지하고 어린잎을 차로 이용한다.
성장 : 成長 - 동 식물의 세포가 크기와 양의 증가로 생체가 양적으로 크는 것이다.
 차나무가 성장하면 영양생장기에서 생식생장기로 변화하면서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힌다.
세계의 차 호칭 : 世界의 茶 號稱 - 현재 각국의 차의 발음은 차와 차이, 테와 테이로
 어원은 모두 중국에서 기인 하였다. 육로로 전해진 광동어계 즉 Cha - 廣東, 북경,
 한국, 일본, 벤갈, 이란, 포르투갈. Chai - 몽골, 터키, 그리스, 알바니아, 러시아,
 폴란드. 해로로 전해진 복건어계 즉 Te - 福建, 말레이,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체코, 이태리, 스페인,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Tea - 스리랑카, 남인도,
  영국, 헝가리 등 유럽에는 영국을 중심으로 홍차가 널리 보급되어 오늘의 홍차를
 의미하는 티 Tea 로 되었다.
세와 대 : 世, 代 - 대는 세에서 하나를 빼야 한다는 등 혼란. 그러나 同義語 이다.
세근 : 細根 - 양분흡수의 주역인 직경 2mm 이하의 작은 뿌리
세물차 : 차 제조시기에 따라 분류되는 우리나라 차 특유의 호칭이다. 8월 초 중순에
 만든 차를 말한다. 떫은 맛이 강하다.
세색 : 細色 - 어린잎으로 된 것. 가는 모양
세설신어 : 世說新語 - 남조南朝 때 송나라 유의경(劉義慶 403-444)의 저서.
후한에서 동진 까지의 귀족, 학자, 문인, 승려들의 언행, 언어, 문학 등을 36개
부문으로 나누어 씀
세작 : 細雀 - 우리나라 차 특유의 호칭으로 곡우에서 입하사이 4월20일~5월6일
 사이 제조한 차. 참새의 혀 모양의 어린 새순만을 곱게 따서 만든 녹차이다.(우전차)
세주비설 : 細珠飛雪 - 단차를 맷돌에 갈아 찻가루가 눈가루처럼 흩날리는 형상
(소동파의 試院煎茶 詩中에)
세차 : 細茶 - 여린 잎으로 만든 고급차
세차 : 洗茶 - 차의 잎을 씻어 먼지나 냉기를 제거하는 것.
세포 : 細胞 - 모든 동식물의 생체구조의 기본
센리큐 : 千利休 : 천리휴 - 1522~1591 일본 전국시대 다도의 정립자. 와비차(草庵茶)
 전통의 원조이다. 일본의 다조茶祖라 불림. 和敬淸寂(조화와 존경 밝음과 부동심 의미)의 정신을 강조함. 교토(京都)의 大德寺에서 禪을 배웠다. 오다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도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60세 경부터 茶事 개혁에 전념하고 1585년
에는 천황 앞에서 차회를 시연 리큐라는 이름을 받았다. 1587년에는 히데요시의 신임을 받아 일본의 모든 茶器와 茶道의 평가는 그에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591년 히데요시와 충돌 결국 할복하였다.
센물 : 경수硬水
셀레늄 : Selenium - 세포와 조직사이에서 산화과정을 통해 생성된 여러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는 필수미량원소이다.
소 : 蘇 - 차조기
소견과 : 小堅果 - 두꺼운 껍질에 싸인 작은 열매.
소경전차 : 小京塼茶 - 중국 전차의 일종
소담파벽 : 消痰破癖 - 가래를 삭여주고 고질을 낫게하는 차의 효능
소락 : &amp;#37221;酪 - 소나 양의 젖으로 만든 맛있는 음료
소룡단 : 小龍團 - 宋代 건안 공다의 하나, 작은떡차 24개의 무게가 한근- 용뇌향과
같은 향약을 넣고만든 향차. 고급화된 것. 小團, 小鳳&amp;#39173;
소수민족 차 : 중국 운남은 차나무의 생물학적 원산지로서 주변의 소수민족들이 차
 를 이용한 다양한 옛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다. 바이족白族의 향뢰차, 삼도차. 지누
 어족基諾族의 량반차. 종족의 타유차, 두차. 타이족의 죽통차, 나미향차. 푸랑족布
 郞族의 청죽차, 산차. 라후족의 고차, 죽통향차. 나시족의 용호두와 유차. 와족의 소차.
 진남의 월엄차. 이족의 고차, 전차. 리수족의 유염차. 하니족의 외엄차, 보이차. 장족의
 관관차. 치라오족의 첨다수. 미아오족苗族의 미충차, 채포차. 투자족土家族의 유차탕.
 방롱족崩龍族의 수차. 아이니족의 토과차. 더앙족의 사관차. 징퍼족의 선죽통차. 누족
 怒族의 염파차. 푸미족普米族의 타유차 등이 있다.
소식 : 蘇軾 - (1036-1101) 호 동파東坡, 북송인. 문인. 서화가. 적벽부, 동파전집 등
소아 : 小芽 - 송대 찻잎 중에 가장 가늘고 어린 것으로 만든 차. 아차, 황아
소엽종 : 小葉種 - 잎이 작은 차나무의 변종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남부에 예날부터
 재배되어 왔다.
소유차 : 소油茶 - 티베트의 일상 음료이다. 단차, 병차, 전차를 원료로 소금과 버터를
 넣고 흔들어 걸쭉한 차이다. 이 버터차에 보릿가루를 타서 이긴 것은 주식이 된다.
소주 : 蘇州 - 지금의 강소성 소주시
소지 : 小枝 - 지난해에 자란 어린 나뭇가지. 차나무는 이 소지에서 나온 새잎으로 차
 를 만든다.
소차 : 燒茶 : 구운차 - 번차番茶의 원래 모양의 하나. 화로나 주전자에 잎만을 달임
소춘차 : 小春茶 - 입동(양력 11월7일경)에 따서 만든 차를 말한다.
소취효과 : 消臭效果 - 악취를 없애는 효과. 차 잎에 함유된 카테킨류나 플라보놀류
 등에 강한 강한 소취효과가 있다.
소프트드링크 : Soft drink - 알코올 성분이 없는 음료로 녹차, 콜라, 커피 등.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는 하이드링크라 한다.
소화 : 素花 - 차의 흰꽃. 차꽃은 대체로 9월-11월 사이에 핀다.
속 : 屬 - 다른 식물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 생물집단의 분류학상의 단위의 하나이며
 科와 種 사이의 이름(과, 속, 종)이다.. 차나무는 동백나무(Camellia)속에 해당된다.
속문 : 粟文 - 좁쌀처럼 작은 거품(유화)을 말함
속형 녹차, 화차 : 束形 - 여러개의 차싹을 실로 묶어 국화모양처럼 만든 차. 菊花形
이라고도 한다(黃山綠牡丹, 束形花茶)
손님맞이 다례 : 접빈다례 - 사가에 문득 손님이 찾아오거나 초청한 손님에게 대접
 하는 다례로 향을 사르고 차를 달이고 노래를 읊으며 찻잔을 돌린다.
손채엽 : 손따기 : 꺾어따기 - 엄지와 검지 사이에 차의 새순을 잡고 마디 사이를
 꺾어따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찻잎따는 방법이다.
솔잎차 : 12월경에 적송과 만주공솔잎을 따는데 10~20년 사이의 양지 바른 곳의
 소나무에서 오전 중에 채취한다. 자연차는 솔잎을 깨끗한 물에 하루동안 담가 두
 었다가 끝부분을 잘라버리고 2~3토막을 내 약한 불로 달여 마신다.
 발효차는 큰 유리병이나 독에 물600ml에 설탕 100g 비율로 솔잎을 재워 양지바른
 곳에 둔다. 발효기간은 여름기준 일주일 정도면 된다.
송대 : 宋代 - 중국 차 문화사에서 조화로운 아취와 심오한 정신세계를 이끈 아주
특별한 시기로서, 황실 어다원에 6만여 주나 소유하고 황실만을 위해 정품의 차
를 만들어 낸 것은 역사적인 일이었다. 그래서 唐 말에서 송대 사이 많은 문인
학자들과 관료들이 곧 차의 명인들이었다.
송대의 제다 사업은 제철, 제염과 함께 나라에서 특별관리했다. 당시의 기록들은
현장감이 살아 있고, 제조 과정이나 방법이 아주 자세하고 연고차의 기록도 많다.
차는 당에서 흥하고, 송대에 성행했다.
송화 : 松花 - 소나무의 꽃가루. 이른 봄 새순에서 핀 것을 채취해 다식으로 차로 쓴다.
송화차 : 물 600ml에 송화가루 3~6g을 넣고 달여 하루 1~2잔을 마신다.
솥 : 釜 - 무쇠 등 금속으로 주조된 철기의 초칭. 차에서는 부초차나 물을 끓이는 용도
 에 사용되나 모양은 각기 다르다.
쇄모목 : 刷毛目 - 그릇 소지에 백니토를 붓으로 바르는 장식기법. 차완 종류의 하나.
쇄청녹차 :쇄靑綠茶 - 중국 녹차의 하나. 가마솥에 덖어서 살청한 찻잎을 비벼(유념)
 최종적으로 햇볕에 쬐어 건조하여 만든 녹차를 말한다. 벽돌차, 보이차, 병차의 원료
 로 사용한다.
수건 : 水乾 - 부초차의 제조에서 유념 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면서 차잎을 단단히
 하는 조작. 수건기나 중유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 : 水 : 물 - 찻물은 맑고 가볍고 달고 깨끗한 것이 좋다.
(육우의 다경)- 1.산수 2.강수 3.샘물
(유백추의 물7)- 1.양자강 남영수 2.혜산 석천의 물 4.단양사 우물물
(이계경의 물20)- 1.여산 강왕곡물 2.혜산사 석천 5.호구사 샘물 7.양자강 남영수
수각 : 水脚 - 찻사발에 엉켰던 가루와 탕이 갈라지는 모양.(水路를 내포한 水痕)
수공예차 : 手工藝茶 - 재가고차인 꽃차의 일종으로 찻잎을 면실과 바늘로 엮어
 둥근 형태로 만들어 정형 건조시키고 말리화 꽃향기를 입힌 후 완성시키는 차.
수 남북조시대 : 310~650년 중국 진나라 곽복(276~324)이 이아爾雅에서 차는 갱羹
 으로 하여 마신다. 일찍이 채취한 것을 도苦菜라 하고, 늦게 채취한 노엽으로 만든
 것을 명茗 또는 천이라 하였다. 사천 사람들은 명차茗茶라 하였다. 당시 남조는
 차의 산지에 가까이 있었으므로 차의 보급이 널리 확장되었지만 북조는 차의 산지
 인 남방과 교류가 적어 별로 보급되지 않았다.
수뇌 : 手&amp;#25404; - 손으로 직접 차떡을 만져보고 마른 정도를 감지하는 것
수로 : 水路 - 다죽면이 갈라지는 것
수미차 : 壽眉茶 - 중국 白茶의 하나인 반발효차(약산화차). 희고 가는 털이 있고
 노인의 눈썹과 닮아 붙인 차이름이다. 백엽차.
수방 : 水方 - 물통
수사 : 水篩 - 오룡차 등의 제조 때 건조에 사용하는 거친 그물코의 채. 또 철관음차
 등의 유념 후의 건조에 사용한다.
수색 : 水色 - 우린 차의 색을 말한다. 녹차는 황색의 flavonoid가 주체이다. 증제된
 차는 녹색이 진하다. 부초차는 약갈색을 띤다. 홍차의 수색은 카테킨류가 변화하여
 나오는 적오렌지색 theaflavin 이나 적홍색 thearubidin 등에 의해 붉게된다.
수선차 : 水仙茶 - 중국 복건성의 수선이라는 차품종으로 만든 차로 잎이 길고 크다.
 가열과 발효도가 높아 태운 냄새에 수색은 갈홍색을 보인다. 오룡차 캔드링크 원료
 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번 우려도 맛이 비슷하다. 수선종으로 만든 靑茶.
 포종차(오룡)의 반발효차이다. 철관음과 쌍벽을 이룬다. 수선종은 반 교목형으로
 잎은 크고 농녹색으로 광택이 있다. 새싹은 황록으로 백호白毫가 많고 꽃의 향기가
 높다. 무이암차 제법으로 만든 岩水仙이 유명하다.
수세 : 樹勢 - 나무의 세력, 기세를 말함. 나무의 생육 수량 여부에 따라 수세강, 수세
 약으로 분류하고, 차잎의 영양상태와 잎색 등을 보고 양良, 악惡 이라 판정한다.
수수발 : 手水鉢 - 손 씻을 물그릇. 일본에서는 차정茶庭에 둔다. 물이 흐르는 수수발
 도 있다. 
수아 : 水芽 - 소아 중에서 정선된 가늘고 작은 찻잎. 아첨芽尖, 芽心 옛날 찻잎을
먼저 쪄서 가린 차싹 중에 가장 가늘고 어린 아심을 발라 물에 담가서 수아라고함
(銀線水芽- 물에담근 수아의 모양이 은실 같다고 은선수아- 용원승설 만듬
수연 : 壽宴, 壽筵 - 어른의 생신에 음식과 차를 올리며 오래 사시기를 축원하는 의식
수영 : 秀英 - 재스민의 일종. 목서과로 반만성의 관목이다. 꽃이 희고 강한 방향을
 가져 중국이나 대만에서 화훈차花薰茶나 화차花茶의 착향제로 사용하는 식물이다.
수옥 : 水屋 - 참배지에서 손을 씻는 곳. / 설록차의 이름.
수용성 : 水溶性 -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진 비타민을 말함. 비타민 B1, B2, C, P, 니코틴
 산 등이며 차를 우려 마실 때 섭취가 가능하다.
수용성 다당류 : 水溶性多糖類 - 물에 가용인 다당류를 말함. 다당류는 물에 녹지 않는
  것이 많으나 카테킨류가 결합한 다당류인 복합타닌은 수용성으로 탕에서 용출된다.
수용성 질소량 : 水溶性窒素量 - 수용성 질소성분인 카페인, 아미노산 등의 질소량.
수유 : 茱萸 - 산수유나무 열매
수유제차 : 水유製茶 - 배로焙爐나 솥에 차 잎을 손으로 비비면서 건조시키는법.
수유차 : 수油茶 : 버터차 - 티베트의 전통차로 찻잎을 끓인 물에 버터, 소금, 참깨 등
 을 넣어 만든 차./ 고차와 비슷한 차, 차 덩이를 구워 누렇게 되면 물을 넣고 끓여,
 다시 수유통에 수유와 소금등을 같이 넣고 힘껏 저어 부옇게 만든 차 - 운남서부 샹
 그리라.
수자 : 樹姿 : 나무자태 - 차나무의 자연적인 모양. 직립형, 중간형, 개장형 등
수적 : 手摘 - 손으로 어린 싹을 따는 것. 꺾어따기, 끊어따기 등.
 고급 전차와 해외의 홍차는 거의 수적 작업이다.
수제차 : 手製茶 - 기계가 아닌 손으로 만든 차를 말함.
수차완 : 數茶碗 - 일본에서 크기와 모양이 같은 차완을 말함.
수품 : 水品 -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논수품論水品에 기록된 33가지 물의 종류.
수흔 : 水痕 - 유화의 엉김이 갈라지는 것, 또는 수각
숙연 : 熟硏 - 연에 넣어서 보드랍게 충분히 갈다.
숙우 : 熟盂 - 물식힘 그릇. 육우의 다경에는 끓인 물그릇으로 첨가하는데 사용함.
숙제자 : 宿製者 - 찻잎을 따고 하루가 지나서 만든 차(다경)
숙지삽 : 熟枝揷 - 삽수로 이용하는 전년생 가지. 차나무, 무화과, 포도나무, 돌배
 나무 등의 꺾꽂이에 이용한다.
스트레이트 티 : Straight tea - 한 지역에서 생산된 차만을 말하고, 우유 등을 넣지
 않고 차만 우려 마시는 것.
습사십삼력조 : 習事十三力條 - 습사는 옛일을 공부하여 고찰하는 계고稽古의 것.
 차 탕의 계고로 유사, 호사, 차넣기장식, 차완장식, 차작장식, 대장식, 차선장식,
 조합접, 사조점, 장서, 분향합, 화소망, 탄소망 등 13가지를 말함.
시 : &amp;#26623; - 감
시베리아의 차 : 북방 시베리아의 사모예드족, 추끄치족, 길이야끄족, 야꾸뜨족,
 에벤키족 등이 벽돌홍차를 사모바르에 진하게 달여 설탕을 섞어 마신다.
 남부 시베리아 민족은 밀크, 곡물에 차를 섞어 마신다.
시신과 : 試新&amp;#37529; - 송대 어원에서 만든 연고차의 이름
시저 : 匙箸 - 숟가락과 젓가락
시접 : 匙&amp;#26986; - 시저를 담는 그릇
시티시제법 : CTC製法 - 현대식 홍차 제조의 대표적 기법으로 인공으로 위조된 찻잎
 을 CTC(Crush 으깨다, Tear 찢다, Curl 뒤틀림) 기를 거쳐 산화시킨 후 홍차를 만드
 는 방법이다. 시티시 홍차는 차모양이 둥글고 차의 성분이 빨리 우러나와 맛이 진하
 다. 케냐에서는 99%, 인도에서는 90%가 시티시 홍차이다. 향과 맛은 평범하다.
식다포 : 拭茶布 - 차 그릇을 닦는 행주. 여름에는 가는 삼베, 겨울은 무명베가 좋다.
식이섬유소 : 食餌纖維素 - 찻이이나 야채, 과일, 갑각류의 껍질 등에 함유된 복합다
 당류로 사람의 체내 소화효소로는 분해되지 않는 성분. 가용성과 난용성 두가지가
 있다.동맥경화 예방, 대장암이나 당뇨병 억제 효과. 찻잎 속에는 30%정도로 난수용
 성이다.
식잔포 : 拭盞布 - 차 행주 헝겊. 차마시기 전후 가는 마포麻布로 잔을 닦는다.
신농씨 : 神農氏 -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제왕으로 三皇(수인, 복희, 신농)중 하나
 농사짓는 법과 제약법을 처음 가르쳤고, 불을 사용하는 법을 가르쳐서 염제炎帝라
 고 부르는데, 차를 마시기 시작한 것으로 육우의 차경에 기록됨.
신라시대의 차 : 자생차를 이용한 기록들은 거의 숱한 전란으로 없어져 알 수는 없
 으나 551년(진흥왕 12년) 팔관회 - 김대렴의 중원 차씨유입 - 차가 융성하 된 것은
 성덕왕 때부터라고 본다.- 경포대 한송정에서 화랑 四仙(영랑, 술랑, 남랑, 안상)이
 사용한 다구들의 동유기東遊記 기록 - 동국이상국집東國李想國集의 원효대사(617
 ~686) 차생활 소개 - 경덕왕 24년(765년) 3월3일과 9월9일에 남산 삼화령의 헌다 -
 신라왕자 보천과 효명 忠談의 차공양 - 왕실에서 고승에게 차하사 - 8세기 중엽에는
 궁중, 일반 대중문화로 발전 - 茶香, 茶淵源 등 비석과 기와에 명문이 있다. - 경주
 안압지에서 나온 찻사발에 貞言茶 라는 銘文이 - 황룡사지의 靑磁椀 출토 등 결국
 다도란 형이하학적으로는 몸을 수련하는 것이고, 형이상학적으로는 마음을 수련
 하는 양면의 효과를 얻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것은 신라인의 영육일치사상과도
 맞고 화랑도의 다도수련은 몸과 마음을 아름답게 가꾸어 사회를 밝고 아름답게
 하려는 수련수단이 되었고 나아가 삼국통일 대업의 기초가 되었다.
신선향 : 新鮮香 - 신선한 생엽으로 제조한 녹차특유의 방향芳香을 말한다.
신아 : 新芽 - 새싹. 적아摘芽
신양모첨 : 信陽毛尖 - 중국명차 이름
신위 : (申緯 1769-1845) - 호는 자하紫霞. 몽하편의 당사자로 박영보의 스승,
초의와도 많은 글이오감
신이기 ; 神異記 - 전한前漢의 무제武帝를 섬긴 동방삭東方朔이 지은 책
신차 : 伸茶 - 똑바른 차. 바늘(針)과 창 모양의 차.
신차 : 新茶 - 새차. 햇차.  4~5월에 제조한 첫물차를 말함.
실내위조 : 室內萎凋 - 차잎을 실내에서 시들게 하는 것. 오룡차 제조 때 실내 위조.
 백차제조에는 옥외의 일간위조日干萎凋와 실내위조를 장시간 되풀이 한다.
 홍차제조에는 자연위조나 인공위조도 실내에서 행한다.
실리카 젤 : Silica gel - 건조제로 사용되는 백색의 비결정질 규산. 냄새가 없어 차의
 저장용으로 쓴다.
실버 칩 : Silver chip - 싹 끝의 백호부분이 은백색으로 된 홍차의 호칭. 백호은침,
 백목단, 물을 품어보아 금색으로 비친 것은 골든 칩 Golden chip 이라 한다.
실생 : 實生 - 열매 종자로 번식시킨 식물. 자엽기, 분엽1매기.
심 : 芯 - 차 싹 선단의 정아頂芽로 아직 잎이 열리지 않은 상태의 것.
심경 : 深耕 - 밭을 깊게 가는 것. 가을철 차나무 주변 토양의 통기성을 높이기 위함.
심녹차 : 深綠茶 - 증제차를 만들 때 표준시간보다 50~배정도(60초~120초) 더 쪄서
 만든 차. 외관과 향은 떨어지지만 맛은 농후하다. 심증전차
심수 : 心水 - 찻잎 내부의 물을 말한다. 건조과정에서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심록 : 深綠 - 짙은 녹색에 광택이 나는 고급녹차(관능평가)
심예 : 深刈 : 깊이깎기 - 적채면보다 10~20cm 깊게 오랜잎을 깎아내기. 보통 일반차
 후에 하는데 경신효과는 5년정도 간다.
십사 : 十使 - (불) 인간의 마음을 제멋대로 부리는 열가지 번뇌를 말함
십숙화 : 十宿火 - 옛차를 만들 때 열흘동안 불에 쪼여 말리는 것
싹 : 芽 - 맹아萌芽 전의 성장점과 몇장의 유엽幼葉이 포엽包葉으로 싸여 덮여 있는 것
 차의 경우 새잎 전개 후의 싹은 심芯이라 한다.
쑥차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만든 대용차이다. 6월경 뿌리에서 잘라 줄기를 채취
 건조하여 달여 마신다. 고혈압, 아토피성 피부염, 심장병, 약한위장, 습진, 기침, 천식,
 부인병, 방광염 등에 효과가 있다.
쓴맛 : 고미苦味
쓴차 : 고차苦茶
씹는 차 : 태국 북부 야로족 등이 만든 '미얀' 등이 있다. 찻잎을 찐 후 대광주리에 담아
 밀폐하여 침채한 것을 바나나 잎으로 카라멜 크기로 싸서 소금을 조금쳐서 담배를
 피우면서 씹는다.
 
아가위차 : 아가위나무 열매를 말려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5월에 꽃이피고
 9~10월에 열매가 붉게익는다. 뇌졸중에 좋다.
아과 : 간아 즉 일창일기 찻잎으로 만든 차떡. 과&amp;#37529;- 네모난 떡차
아로마 : Aroma - 향기. 방향. 식물의 꽃잎, 과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차의 향기
 물질은 생엽 중에 있는데 향기 성분은 600종이 넘는다.
아르기닌 : Arginine - 차에 1~2%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차의 감칠맛의
 중요한 요인이다.
아린 : 芽鱗 - 새싹의 눈을 싸고 있는 비늘을 말함.
아미노산 : Amino acid - 찻잎 무게의 25% 정도가 식물성 단백질인데 가공하는
 도중에 일부분은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된다. 이 아미노산의 50~60%를 차지하는
 것이 테아닌(theanine)으로서 차 맛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찻잎에는 약 20여종이
 들어 있다. 60도C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잘 우러난다.
아삼홍차 : Assam種 - 인도 북동부의 아삼 평원에서 생산된 홍차. 주로 브랜딩용
 원료로 밀크를 첨가하여 많이 마신다. 아삼종 차나무는 높이가 15m정도의 교목
 으로 잎은 길이 12cm, 세로 4cm이상으로 크다. 영하-4도C에서 동해를 입는다.
 잎이 작은 관목의 중국종과 큰 교목의 아삼종과 교배한 아삼잡종이 호평을 받음.
아수 : 芽數 - 육안으로 보는 싹의 수. 정아頂芽와 측아側芽의 수./ 적아수摘芽數
아순 : 잎줄기를 말함
아열대 : 亞熱帶 - 열대와 온대 사이의 지대. 여름에는 고온 겨울에는 영하가 드문
 상록수가 살 수 있는지역을 이르는데 감귤류, 비파, 올리브 등이 상록 과수이다.
아욱차 : 아욱의 씨를 햇볕에 말려 살짝 볶아서 달여 대용차로 이용한다.
아이노 티 : Aino tea - 얼음을 넣어 차게 마시는 차의 총칭인데 일본에서 북아메리카
 로 수출하는 상품명이다.
아이스 티 : Iced tea - 얼음을 넣어서 시원하게 마시는 차, 홍차.
 1904년 미국 세인트 루이스에서 열린 세계박람회에서 인도차를 홍보하던 중 더운
 날씨로 뜨거운 홍차에 호응이 없자 얼음을 가득 채운 컵에 홍차를 부어 아이스티로
 인기를 끌게 되면서 상품화 되었다.
아차 : 芽茶 - 소아와 같은 뜻. 黃芽라고 부르기도 한다. 맛도 상급차에 버금간다.
아파번차 : 阿波番茶 - 일본 도쿠시마현 아파의 산간지에서 여름에 만들어지는
 번차(番茶 질이 낮은 엽차)이다.
아편전쟁 : 阿片戰爭 - 1840~42년 청조가 아편을 금수조치를 할 때부터 영국과 벌어
 진 전쟁이다. 중국차의 수입으로 무역수지를 손해본 영국이 아편의 밀수출에의해
 중국에 유입된 은을 환류 시키려 하여 일어남. 청나라가 패배해 남경조약에서 홍콩
 을 할애(97년 반환)하게 되고 반식민지화의 길을 열게 된다.
아폽토시스 : Apoptosis : 세포자연사 - 세포가 생리적 조건에서 사멸하는 현상이다.
 카테킨류가 암세포(위암세포 KATO3)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그 증식을
 억제한다. 위장 이외 장, 표피, 폐, 젖, 전립선암, 백혈병 등 다양한 암세포에 효과.
안계철관음차 : 安溪鐵觀音茶 - 중국 복건성 안계에서 생산되는 철관음종의 차이다.
 청차의 하나인데 북로차의 대표 차이다. 남로차 중의 명품은 무이암차 이다.
안길백차 : 安吉白茶 - 중국 절강성 안길현에서 생산되는 녹차류다. 찻물은 상쾌하고
 부드럽다.
안자춘추 : 晏子春秋 -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인 안영의 언행을 기록한 책
안탕모봉 : 雁蕩毛峰 - 중국 절강성 악청현 안탕산에서 생산되는 녹차이름.
안토시안 : Anthocyan - 식물성 색소 중에 적,청, 자색을 말함. 꽃, 잎, 과실
 등에 들어있다. 화청소라 하는데 물에 녹고 산성에서 적색, 중성에서 자색,
 알카리성에서 청색을 띤다. 차잎에도 조금 들어있다.
안화송침 : 安化松針 - 중국 호남성 안화현에서 생산되는 녹차이다. 차모양이
 솔잎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알가 : Argha : 閼伽水 - 범어. 향기로운 차. 불교 의식 때 올리는 맑은 물이나 차.
 산스크리트어 아르가(argha)의 음을 딴 말. 본래 신에게 바치는 공물 그릇을 가리킴.
알로에차 : Aloe茶 - 식물성 대용차. 알로에는 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생잎을
 끓여 식으면 여과하여 마신다. 위염, 위궤양, 당뇨병, 간장병에 좋고, 절상, 화상에도
 쓴다.
알칼리 식품 : Alkaline food - 식품에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철 등의 무기질이
 인, 염소, 황 등의 무기질보다 많이 들어있는 식품. 채소, 과일, 감자류 등이다.
암모니아 식물 : Ammonia plant - 알칼리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식물.
암차 :  물에 담그는 차
압조법 : 壓條法 - 나무가지를 휘묻어 뿌리가 돋으면 끊어 번식하는 법. 요즘 차나무
 번식은 삽목법을 많이한다.
액아 : 腋芽 - 측아의 일종으로 엽액(잎겨드랑이)에 형성된 싹을 말함.
야부기다 : 수북藪北 - 차나무 품종이름의 하나. 일본 스기야마(1857~1941)가 1908년
 맹종죽의 개간지에서 차씨를 심어 모수(母樹 어미나무)가 나왔는데 남쪽의 것을
 수남(藪南 야부미나리), 북쪽에 있는 나무를 수북(야부기다)이라 한 것이다.
 보성쪽에 이품종이 많이 심겼다.
야점 : 野點 - 야외에서 자리를 펴고 행하는 차회.
약발효차 : 弱醱酵茶 - 효소발효차의 일종으로 20%이하의 경도발효차이다. 대표적인
 대만 평림지구의 문산포종차(文山包種茶), 복건성의 백호은침, 백목단, 수미 등
 중국의 白茶는 5~10%, 靑茶는 15~20%, 包種茶는 30~40%를 발효시킨 차이다.
 백차는 흰털이 있는 차잎을 시들기(萎凋)와 건조로 만들고, 청차는 위조-요청-초청
 -유념(비비기)-건조의 공정으로 만든다. 포종차는 차에 꽃향기를 흡착시킬 원료로
 4월과 9월 두번 만든다.
약선 : 藥膳 - 불로장수를 목적으로 약식동원(藥食同源- 약과 식물을 먹는 것도 근
 원은 하나)의 생각에 기초하여 고안해 낸 식사. 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목적.
약아 : 若芽 : 新芽 : 새싹 - 어린 싹
약용차 : 藥用茶 - 약초차 몸에 이로운 한방차 등 대용차.
약취 : 藥臭 - 약냄새. 잔류농약 등으로 나는 이상한 냄새
약해 : 藥害 - 약물에 의해 차 등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하는 피해
약효 : 藥效 - 약의 효험. 먹는 약이나 농약의 효과
양분함량 : 養分含量 - 토양이나 식물이 가지고 있는 각종 원소의 양.
양성화 : 兩性花 - 암술과 수술이 한 곳에 함께 있는 꽃.
양수적채 : 兩手摘採 - 두 손으로 차잎따기. 수적법(手摘法 손따기)의 하나.
양액습습청풍자생 : 兩腋習習淸風自生 - 차를 계속 마시면 양쪽 겨드랑이에 맑은
 바람이 저절로 솔솔 일어서 날아오를 것 같다.
어성초차 : 약모밀차 - 민간약으로 어성초를 달여마시면 체내의 독성물질을 없앤다.
얼 그레이 : Earl grey - 영국에서 베르가못(bergamot) 향을 첨가해 만든 홍차. 1830년
 대 찰스 그레이 백작이 즐긴데서 기인한 것으로 아이스 티에 적합한 가향차이다.
얼룩조릿대차 : 벼과 식물인 조릿대를 천일 건조해 달여마시는 대용차. 감기예방,
 위장에, 구내염, 고혈압, 변비, 비만빈혈에 효과가 있다.
얼리 모닝 티 : Early morning tea - 이른 아침 6시쯤 침실에서 잠을 깨우기위해 마시는
 홍차.
엄차 : 淹茶 - 급수急須, 진흙병(토병), 포트, 주전자, 다관 등에 차 잎을 넣고 탕을 붓고
 우러나는 것을 기다려 차완이나 찻잔에 부어마시는 방법을 말한다. 다경에 기록됨.
 컵에 직접 차 잎을 넣고 열탕을 부어마시는 포음(泡飮)하는 차, 주전자의 탕에 차 잎
 을  넣고 차를 내는 촬포(撮泡-차를 달임)라는 방법도 있다.
에구미 : 辛澁味 : 아린맛 - 일본에서 고미와 삽미가 섞인 것 같은 아린 맛. 죽순이나
 토란줄기 등을 먹을 때의 느낌을 말함. 차의 아린 맛은 수산(약 1%)이나 카테킨(10~
 18%)에 의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에스터류 : Ester - 유기산 또는 유기산과 알코올에서 탈수에 의해 생기는 화합물.
 생체에서는 인산, 황산, 카르본산의 에스터가 있다.
에스테이트 : Estate : 조직농장 - 홍차의 생산형태로 영국, 스리랑카(세이론)에서
 발달되었다. 보통 80ha(200에이커) 이상의 광대한 차원에 생잎의 집합, 제차, 포장
 까지를 일관하여 행하는 설비를 갖춘 공장을 가지고 관리자와 노동자가 생활할 수
 있는 여러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에프터눈 티 : Afternoon tea - 오후 2시~4시쯤 마시는 차. 1840년대 영국에서 시작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티타임. 귀족이 즐겨 마셨으며 Tea food로 샌드위
 치, 스콘, 케이크 등을 곁들여 마신다.
에프터 디너 티 : After dinner tea - 저녁식사 후 느긋하게 즐기는 티타임.
에피갈로카테킨 : Epigallocatechin - 갈로카테킨의 입체이성체이다. 차 잎에는
 EGC로서 3~6%, 그 몰식자산과의 EGCG로서 7~13%(건조중량당) 함유되 강한
 항산화와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도 갖는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 E~ Gallate - 차엽에 들어있는 성분 EGCG로서 카테킨
 류 중에서 가장 많은 7~13% 함유. 강한 항산화작용과 항암, 항균 등 생리활성을
 가진 무색주상결정체로 강한 수렴작용도 있고 gelatin과 함께 침전되지 않는다.
에피카테킨 : Epicatechin - 카테킨의 입체이성체이다. 타닌의 구성성분으로서
 식물체에 널리 존재한다. 4종의 광할이성체가 있다. 차 잎에는 6종, 총량이 16~33
 %(건조물 중량당)가 함유되어 있다. 어느 것의 카테킨도 강한 항산화작용이 있어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 등 생물활성을 가진다. 고미를 가진 무색의 주상결정.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 E~ Gallate - 차 잎에 ECG로서 3~6% 함유된다. 강한 항산
 화성을 나타내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을 가지는 여러 생리 활성을 가진다.
 무색의 침장결정. 자미가 있고 gelatin과 함께 침전되지 않는다.
엘 에이 아이 : LAI : Leaf Area Index - 잎 면적지수
여름차 : 夏茶 - 여름철에 채엽한 찻잎으로 만든 차의 총칭.
여산운무차 : 廬山雲霧茶 - 중국 강서성 구강시에서 생산되는 녹차의 이름
여암선차 : 呂巖仙茶 - 중국 복건성 숭안현의 성촌에 맛이 뛰어난 5그루의 차나무
 가 있었는데 이 차나무를 심은 사람이 呂仙이라 붙인 차이름.
여지홍차 : 여枝紅茶 - 중국 광동지역에서 여지열매의 과일향을 넣어만든 홍차로
 양귀비가 즐겨마셨다고 한다.
역치 : 역値 - 미각과 후각 물질에서 맛과 냄새의 강함을 나타내는 수치로 느낄 수
 있는 한계값이다.
연꽃향차 : 蓮花香茶 - 연꽃향을 녹차 등에 흡착시킨 차. 연꽃봉오리속에 차를 넣어
 연향이 스며들게하여 우려마시는 차.
연등회 : 燃燈會 - 고려시대 성행한 불교행사. 겨울의 팔관회八關會와 더불어 고려의
 중요한 연중 행사였다. 팔관회는 왕도王都에서만 행하여졌으나 연등회는 전국적으로
 거행 되었다. 성종 때 중단되었으나 현종 때 다시 행해졌고, 조선왕조에 와서도 4월 8
 일에 연등회가 있었다.
완 : 碗 - 주발, 그릇, 찬잔
완 : 찻잔
원몽 : 圓夢 - 1830년 12월에 지은 4수로 된 신위의 화답시로, 꿈풀이, 해몽의 뜻
원복 : 元服 - 남자가 성년이 되어 처음으로 입는 어른의 의관 혹은 그 의식.
용뇌 : 龍腦 - 용뇌향을 말함. 상록교목인 용뇌나무에서 채취한 무색 투명의 결정체
향료로 훈향薰香, 구강제, 방충제 등 원료로 사용함
용단승설차 : 龍團勝雪茶 - 네모난 단차에 용무늬를 찍어서 붙은 이름 눈보다 희다는
뜻으로 차싹을 비벼 익힌뒤 중심의 은실처럼 흰줄기만 취해 만들어 부른 이름
宋나라 때 1120년에 생산된 차가 700년을 견뎌 고려고탑에서 4덩이가 발견된 차
용정지수 : 龍井之水 - 中 항주에 잇는 우물로 용홍, 용추로 불림. 삼대명천의 하나
晉代 호포천, 옥천, 용추(용정)
용원승설 : 龍園勝雪 - 은선수아로 만든 3cm 정도의 방형 단차이름
유건 : 儒巾 - 혼례, 제례, 수연, 및 의식 행사에서 도포를 입었을 때 갓이나 유건을 씀
아호 : 雅號 - 남자에게는 호 혹은 아호를 지어주고, 여자에게는 당호堂號를 지어줌
이름은 천금처럼 소중하므로 함부로 부르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아호나 당호를 지
어 편하게 부르도록 하였다. 덕망, 학문, 예술 등 이름이 난 사람에게 남이 지어 주
는 수도 있지만 대개 자기가 짓는다.(다산, 추사, 퇴계 등)
아명 - 부모가 지어 호적에 오르지 않은 이름
아침 : 芽針 - 바늘같은 창기槍旗
아취 : 雅趣 - 아담한 정취, 고상하고 운치 있는 취미. 신비롭고 고상한 경지. 서로
찻잔을 주고받음을 말한다.
안영 : 자는 平仲. BC580-500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 검약을 실천한
사람
약천 : 藥泉 - 차끓일 물을 일컬음
유화 : 乳花 - 떡차를 가루내어 끓일 때 생기는 거품
이름(관명) - 부모가 지어 호적에 올린 이름. 살아있으면 함銜자, 죽으면 휘諱자.
자 : 字 - 부모나 어른이 16세 이상 성인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 자를 부여한다.
장가든 성인을 호칭할 때 이름 대신 사용하는 명사
시호 : 諡號 - 나라에서 기여한 공적을 감안 죽은 뒤에 내린다.(충무공 이순신 등)
일성자 : 日成者 - 찻잎을 딴 당일에 만든 차
순구 : 脣口 - 솥전을 지칭
칠유차 : 漆油茶 - 怒江일대에서 고차풍습과 특산물 옻을 융합한 차
아형 녹차 : 芽形 - 가늘고 어린 싹으로 만든 다양한 형태의 차(千島針珍)
안자춘추 : 晏子春秋 -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안영晏婴의 언행을 적은 책.
 유가儒家와 묵가墨家의 사상을 절충하여 절검주의節儉主義를 설명하였다.
알가 : 閼伽 - (범어) 차茶를 말함
애필양 포필음 : 崖必陽 圃必陰 - 반양반음의 야생 차밭이 좋음을 말함
월아형 녹차 : 月牙形 - 초승달처럼 납작한 형태의 차(太湖翠竹)
약엽 : 蒻葉 - 부들 잎, 죽순의 껍질을 뜻한다.
양다 : 養茶 - 차의 신을 잘보존 색향기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
양매 : 楊梅 - 산 복숭아, 소귀나무 열매
양반차 : 凉拌茶 - 신선한 찻잎을 따서 비빈다음 큰 그릇에 넣고 물, 소금, 고추 등과
함께 담갔다가 먹거나 삭힌 죽순, 개미, 마늘 등을 더 넣어 먹기도 한다. 운남 서부
어원옥아 : 御苑玉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다의 단차이름
엄차 : 淹茶 - 찻잎을 따서 대나무 시루에 넣고 10분쯤 찐다음 대자리에 펼쳐 10분쯤
비빈 다음 대나무 통에 단단하게 다져넣고 댓잎으로 막아서 10일 정도 지하에 두었
다 먹는다 - 미얀마, 태국 북부지방에서 만든다 이름은 miang, leppet-so
연 불말 : 硏 拂末 - 매 가루털이개
연고 : 硏膏 - 찻잎을 찌고 물을 부어가면서 짓이겨 갈아서 고를 빼고, 틀에 넣어 찍
 어낸 덩이차를 불에 말려 낸 것. 먹을 때 보드라운 가루로 만들어 물에 넣어 격불해
 마시는 차. 송대에 크게 유행-주로 북원의 황실 어다원에서 생산-명대에 생산 중지
연등회 : 燃燈會 - 고려시대 성행한 봄철 불교행사. 겨울의 팔관회八關會와 더불어
 중요한 연중 행사였다. 팔관회는 왕도에서만 행했으나 연등회는 시골 마을에 이르기
 까지 전국적으로 거행되었다.
연배 : 烟焙 - 얕은 불기운으로 말린다는 뜻
연수 : 軟水 : 단물 - 경도가 100이하의 물. 지하수가 연수가 많고 천연수라고 한다.
 찻물로 주로 쓴다.
연유 : 練유 : 이겨서 비비기 - 유념기 끝 마무리 하는 무거운 회전을 말함.
연잎차 : 蓮葉茶 - 연의 어린잎을 열처리하여 차로 만든 것.
연차 : 硏茶 - 차를 갈다. 차 갈기. 익힌 차를 질호박에 넣고, 단단한 잣밤나무柯로 된
 절구공이로 짓이겨 고를 빼는 작업. 말차원료
연차마 : 硏茶磨 - 차를 가는 연모. 고려 때는 신라 때 보다 말차가 성행하였다.
 이규보는 동국이상국집에 돌을 쪼아 둥글게 바퀴를 만들어 수고로이 한 팔로 돌린다
 고 하엿다. 개성에서 발견된 차마는 돌로 만든 풀매와 비슷하다 하였다.
연취 : 煙臭 : 연기내음 - 차에 스며든 연기냄새를 말한다. 연통의 결함으로 생기는데
 정산소종正山小種 같이 송백松柏의 연취가 붙은 홍차가 유럽인들에 인기다. 요즘은
 인위적으로 착향하고 있다.
연화차: 蓮花茶 - 해 뜨기 전에 반쯤 머금은 연꽃을 벌려 細茶 한 줌을 연꽃송이
속에 가득 넣은 후 실이나 삼 껍질로 슬쩍 매어 하룻밤 지난다. 다음 날 아침 꽃송이
를 따서 찻잎을 쏟아부어 建紙로 싸서 불에 쬐어 말린다. 이렇게 여러차례 한다.
엽액 : 葉腋 : 잎겨드랑이 - 줄기와 잎사이
엽전 : 葉전 - 손을 사용한 잎고르기
엽절단 : 잎 끊기
엽진 : 葉振 : 葉打 ; 잎흔들기 - 제일단계의 건조작업이다.
엽차 : 葉茶 - 잎모양이 그대로 있는 차. 분말로 만든 말차와 구별한 말. 차 제품명.
엽차반 : 葉茶飯 - 차잎을 잘게 썰어서  지은 밥과 비벼먹는 차반.
엽축 : 葉軸 - 겹잎의 잎자루
엽타 : 葉打 : 잎두들기기 - 이슬제거, 잎 말리기. 초기의 엽진조작. 葉打機가 있다.
엽형 : 葉形 - 잎 모양
엽흔 : 葉痕 - 잎 자리
영 : 영 - 대바구니, 서너 말 들이의 대광주리(람). 수저의 통, 종다래끼(롱), 작은 농
둥거미(거) 등의 뜻
영남 :嶺南 - 중국 지금의 광동성과 광서동족자치구 일대
영락요 : 永樂窯 : 景德鎭窯 - 중국 명대 永樂年間(1403~1424)의 경덕진요의 호칭
영서선사 : 榮西禪師 - 喫茶養生記를 쓴 일본의 선승(1141~1215). 중국 송나라에서
  유학-차 종자를 가지고 귀국하여 처음으로 일본에 심었다.
영아 : 靈芽 - 가늘고 작은 햇차 잎을 신성하게 부른 것
영아부탁 : 靈芽莩坼 - 차가 발아하기 시작한 것
영양번식 : 營養繁殖 : 무성번식 : 분생번식 - 작물 증식법의 하나. 지초枝梢나 뿌리 등
  생식기관 이외의 부분을 사용하여 증식하는 것. 삽목, 취목取木, 접목 등. 차나무는
  주로 삽목으로 번식한다.
영일 : 永日 - 하루종일
영축 : &amp;#36111;縮 - 남고 모자람, 옛날 연고를 할 때 붓는 물의 잔 수가 많고 적음이 차에따라 다른 것을 말함.
예취기 : 刈取機 - 농업용 수확기계
오갈피차 : 五加皮茶 - 식물 오갈피의 어린잎과 줄기, 뿌리를 말리고 조제해 마시는
 대용차이다.
오다 : 熬茶 - 다른 것을 가미해서 끓인 차(옛 라마교 신도들이 절에서 쓴 말)
오대 : 五代 - 唐 말 874년 북중국 평야에서 봉기한 황소의 난을 평정한 884년 이극용
과 패권을 다투던 주온과 아들 주전충이 907년 먼저 세운 나라가 후량-923년 후당-
13년후 후진-947년 후한-951년 후주-그후 960년에 조광윤이 후주를 멸하고 宋을건국
오랜지 페코 : Orange pekoe - Orthodox 제법으로 만든 홍차의 등급구분. 상품명.
 오랜지는 홍차 색깔을 나타내고, 페코는 백호白毫로 어린 싹을 가리킨다.
 홍차의 일정크기를 나타내는 전문용어.
오룡차 : 烏龍茶 : oolong tea - 6대차류 중에 청차의 호칭이다. 홍차와 녹차의 중간
 부분 또는 반발효차(20~70%)를 이른다. 완성된 차의 색깔이 까마귀와 같이 검고
 모양이 용과같이 굽어 붙여진 중국의 특산품이다. 오룡차는 복건성 무이산 암차岩
 茶가 그 기원이다. 무이산은 해발 700여m 36봉 72암으로 여기서 대홍포, 철라한,
 백계관, 수금귀, 기란, 오롱, 매점, 육주 등의 품종이 생산된다. 이러한 반발효차는
 기름기가 많은 요리에 잘 어울린다. 오룡차에는 武吏山 大紅袍茶, 鐵觀音茶, 水仙,
 凍頂烏龍茶, 白毫烏龍, 文山包種茶 등이 있다. 가벼운 발효(산화)의 포종차는 태양
 위조-실내위조-초엽-유념-옥해-건조하고, 발효정도가 높은 오룡차는 태양위조-초엽
 (炒葉)-회연(回軟)-유념-옥해(玉解)-건조한다.
오미자차 : 여름에 오미자를 물에 우려 마시는 대용차. 1943년 방신영 저 '증보개정
  조선용리제법'에도 기록됨.
오소독스제법 : Orthodox 製法 - 전통적인 홍차를 만드는 방법이다. 위조-유념-발효-
 건조의 공정으로 leaf style에서 broken style의 홍차가 된다./ CTC제법에 대한 용어
오자선호 : 午子仙毫 - 중국 섬서성 서향현에서 생산되는 녹차류.
오잔 : 烏盞 - 검정유약으로 구운 천목다완을 말함. 중국 宋代 복건성 건양 建窯에서
 만든 黑盞이 유명하다.
오주연문장전산고 : 五洲衍文長箋散稿 - 1850년 李圭景이 찬술한 책이다. 60권 1400
 여항에 이르는 방대한 책으로 식생활 관계만 400여항에 이른다. 여기에 魚茶食, 枾
 茶食, 種茶法, 도차변증설과 육우의 다경, 구종석의 本草衍義, 晏子春秋, 곽박의 爾雅,
 웅번의 선화북원공다록, 모양의 개다휘초, 나대경의 학림옥로, 김부식의 삼국사기,
 최치원의 계원필경, 손목의 계림유사, 장우신의 전다수기, 모환문의 만보전서 등과
 중국의 이름난 차 책이 열거되어 있다. 그는 북경에서 수입되는 중국차의 등급을
 1. 보이차 2. 백호차 3. 청차 4. 황차 라고 하였다.
오체 : 체두 - 찻잎이 줄기와 붙은 볼록하게 굵은 부분
 좋은 차를 만들 때는 차색을 염려해 제거한다.
오취 : 烏嘴 - 까마귀 부리만하게 돋은 차의 싹을 따서 만든 차를 비유한 말
옥로 : 玉露 - 차양을 만들어 햇빛을 조절한 새싹으로 만든 고급녹차이다.
옥록차 : 玉綠茶 - 일본에서 만든 녹차로 증제와 부초제로 나눈다. 구부러진 구슬
 모양으로 정형된 녹차이다. 70~80년전 소련에 수출용으로 용곤차라 하였다.
 산지는 사가, 구마모토, 미야자키현 등이다.
옥수수차 : 옥수수를 살짝 볶아서 이용하는 대용차이다. 옥수수 수염은 오줌소태에
 좋다.
옥천사 : 玉泉寺 - (중)호북성의 옥천산에 있는 절. 수隋나라 개국황제 文帝(楊堅)
 12년(592)에 천태종天台宗의 지의 스님이 창건함. 宋代에 선종의 절이 됨
옥해 : 玉解 - 차를 만들다 뭉쳐진 차덩어리를 깨뜨리는 것을 말한다. 청차 제조 때는
 옥해 사분기를 사용한다.
온윤포 : 溫潤泡 - 중국 청차(오룡차류)의 엄차법(淹茶法-차기에 끓인 물을 부어 데우
 고 차를 넣어 열탕을 부어 달인다)을 말한다. 의흥산 뒷손잡이 자사호에 찻잔 4개를
 사발모양의 쟁반에 넣은 것이다.
온조탕 : 溫棗湯 - 씨를 뺀 큰대추를 물에 끓여 낸 즙과 생강즙, 꿀을 고루 섞어 자기
 항아리에 넣고 휘저어 매잔마다 한숟가락 정도를  떠서 끓는 물에 넣어 마신다.
 출전-1766년 유중림 찬 '증보산림경제'
옹기 : 甕器 - 진흙만으로 초벌구이를 한 질그릇과 여기에 잿물을 입혀 다시구워 단단
 한 오지그릇의 총칭이다. 상고시대 때부터 사용되어오다 신라에서는 와기전瓦器典
 이란 옹기를 굽는 직제가지 두었다. 조선시대 때는 서울과 지방에 100여명의 옹기장
 을 두었다.
와비 : 일본 다도의 근본이념을 나타낸 말이다. 센리큐(千利休)의 작고 소박한 차실에
 서 차를 대접하고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서 구현하고자 한 한적한 정취, 소박
 하고 차분한 멋, 한거 등의 의미를 지닌 말이다. 
완 : 碗 - (茶經) 월주(청유)의 것이 상품, 정주의 것은 다음, 무주의 것은 그 다음이다.
 악주의 것이 상등품, 수주와 홍주의 것은 다음, 형주(백유)의 것은 그 다음이다.
완전발효차 : 完全醱酵茶 - 홍차를 말하는데 효소에 의한 산화 즉 발효도가 85~95%
 발효시킨차를 이른다.
완형 흑차, 생차 : 碗形 - 그릇모양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긴압차. 구형臼形. (타차)
원기지사 : 圓機之士 - 연자를 말함
원주형 녹차 : 圓珠形 - 진주와 같은 작은 원형 차(平水珠茶, 涌溪火靑)
오행 : 五行 -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상생 : 相生 -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상극 : 相剋 -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수흔 : 水痕 - 유화가 갈라지는 현상.
오행상관 : 五行相關 -
목木 금金 화火 수水 토土
간肝 폐肺 심心 신腎 비脾
동東 서西 남南 북北 중中
춘春 추秋 하夏 동冬 사계종四季終
안眼 비鼻 설舌 이耳 구口
청靑 백白 적赤 상想흑黑, 황黃
신辛 산酸 고苦 함鹹 감甘
옥절풍 : 玉節風 - 옥제의 부절, 순의 미칭, 고상한 절조
와우 : 瓦盂 - 진흙으로 만든 그릇
외관 : 外觀 : 拜見 - 차품평 심사용어로 겉으로 보기다. 차의 형상, 빛깔 등을 눈으로
 판단하거나 가루나 줄기 등의 섞임 등으로 판정한다.
외배 : 外焙 - 북원의 어다원에서 만든 것을 정배라 하고, 그 이웃의 밖에서 정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것을 말함. 정배보다 질이 떨어짐, 북원의 인접 지역에서 딴
 찻잎으로 만든 것을 천배(淺焙)라 함
요변 : 窯變 - 도자기를 구울 때 유약이나 불꽃의 원인 등으로 예기치 않게 나타난
 변화를 말함.
요청 : 搖靑 - 청차(오룡차류)를 만들 때 실내 위조 사이에 차잎을 진동, 반전, 교반
 하는 것을 말한다.
용계화청 ; 湧溪火淸 - 중국 안휘성 경현에서 생산되는 녹차의 이름이다.
용뇌 : 龍腦 - 보르네오와 수마트라가 원산지인 상록교목인 용뇌수에서 채취한
 향료, 무색투명한 결정체로 향료의 원료, 훈향, 구강제, 방충제 등에 쓴다.
용단봉병 : 宋代 건안에서 만든 증청단차, 둥근 떡차의 표면에
 용과 봉황의 무늬를 찍은 덩어리차. 그리고 花紋의 도장을 찍고, 용문이 있는 것
 을 용단, 봉문이 있는 것을 봉단이라함. 후에 작게 만든 것을 소용단, 소봉단이라
 해 정위가 처음 만들고 뒤에 채양이 완성함.(龍鳳)
용배 : 龍焙 - 용봉차를 만들었던 북원에서 만든 차
 용봉의 거푸집을 설치한 어원에서 만든 차
용보단 : 宋代 떡차 8개의 무게가 한근으로 용뇌향과 같은 향약을 넣고 만든 향차
용수 : 湧水 : 솟아나는 물. 지하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물.
용원 : 龍園 - 연고차 용단승설. 연고차를 만들던 기관 혹은 장소. 북원을 지칭함
용정군체종 : 龍井群體種 - 중국 절강성에서 생산되는 납작한 모양의 녹차
용정차 : 龍井茶 - 중국 녹차의 대명사. 아주 어린 싹만을 따서 만들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까다롭다. 처음 덖는 과정에서 최종 제품이 될 때까지 솥 안에서 덖고 비비
 기를 하여 편평한 모양의 차가 되도록 만든다. 용정차의 등급은 차를 따는 시기 외
 에도 산지에 의해서도 구분되는데 사봉용정, 매오용정, 서호용정으로 구분된다.
우 : 芋 - 토란
우기 : 雨期 - 일년 중 강우가 많은 시기. 홍차의 경우 우기, 건기에 따라 차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스리랑카의 남서사면의 딘브라는 4~8월, 남동부 우바는 !1~3월이
 우기이다. 남인도는 4~8월, 북인도는 6~10월이 우기이다.
우다 푸셀라와 : Uda Pussellawa - 스리랑카의 홍차 산지이고, 홍차 이름
우마미 : umami : 감칠맛 - 일본의 학술용어. 4원미 즉 감미, 산미, 함미(鹹味 염미)
 고미 외의 맛의 요소를 말함. 차의 감칠맛은 아미노산류에 의한 것이다.
우바 하이랜드 : Uva highlands - 우바차를 생산하는 지역 및 농장. 해발고도 1200m
우바홍차 : Uva 紅茶 - 세계 3대 홍차산지의 하나. 스리랑카 중부 산악지대 우바에서
 생산되는 홍차. 찻물색은 오렌지 계통의 선홍색이고, 향은 꽃향기 박하향풍, 맛은
 기호도 높은 떫은 맛이 자극적으로 강하다. 마루 와타부아레 일대가 유명산지다.
우엽 : 雨葉 - 빛물에 젖은 생찻잎(선엽). 이슬맞은 차싹도 마찬가지로 젖은 찻잎은
 제품 품질이 떨어져 좋지않다.
우전감로 : 雨前甘露 - 4월 곡우 전에 처음 올라오는 새순으로 만든 녹차의 이름.
 (주 한국제다 제품명)
우전옥로 : 雨前玉露 - 이른 봄 차나무 위에 차광막을 씌워 재배해 만든 녹차 이름.
 (주 태평양 오설록 제품명)
우전차 : 雨前茶 - 찻잎 따는 시기 즉 곡우(4월 20~21일) 전에 차 잎을 따서 만든차.
우치차 : 宇治茶 : 우지차 - 일본 경도부 우치시 산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차이름.
우후차 : 雨後茶 : 곡우 이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
운간월 : 雲澗月 - 운감차와 월간차를 말한다.
운두우각 : 雲頭雨脚 - 뭉글뭉글 피어오르는 유화를 지칭
운무차 : 雲霧茶 - 높은산과 안개로 맑고 높은 향을 품은 중국 명차의 호칭이다.
 안휘성의 盧山 운무차, 黃山毛峰, 황산운무, 절강성의 華丁 운무차 등
움 : 萌芽 : 맹아 - 새싹
원상 : 園相 - 차나무의 생육상태를 말함. 기상재해, 병충해, 엽색, 엽층, 수세 등
 차원의 상태를 말한다.
원이 : 元李 - 자두
원후차 : 猿후茶 - 중국 절강성의 천태산 과 천목산에서 원숭이로 하여금 벼랑에
 있는 차를 따서 만든차.
월동아 : 越冬芽 - 겨울 월동 중의 싹을 말함.
월주요 : 越州窯 - 중국 宋代 이전 중국도예의 대표. 한대 말기에서 송대 월국을
 중심으로 넓혀진 가마로 송대 청자의 원류이다. 육우도 월주요 차완을 추천하였다.
월출선향 : 月出禪香 - 영암 월출산의 고유 재래종 차나무의 어린 싹만을 따서 만든
 오설록의 수제명차 이름이다.
위조 : 萎凋 - 차의 생엽을 시들게 하는 중국 용어. 식물의 건조로 시들고 마른다.
 홍차 또는 부분발효차 제조공정의 첫 단계로서 향기를 생성시키고 잎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생 찻잎을 시들게 한다. 실내위조(자연위조와 공정위조)와
 일광위조가 있다. 녹차 등 불발효차에는 하지 않는다.
위조향 : 萎凋香 - 차의 생엽을 시들게할 때에 생기는 특수한 향기를 말함. 홍차와
 청차의 제조 때 위조과정은 청엽 알콜류가 현저히 생성된다.
위탁판매 : 委託販賣 - 다른사람에게 일정액의 수수료를 주고 상품 판매를 의뢰하
 는 판매방법의 하나.
윈도우 머신 : window machin - 평탄한 차밭에서 겨울 동해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
 는 송풍기.(한 대당 1 ha 정도면적 사용)
유가다례 : 儒家茶禮 - 고려 말기부터 채택된 朱子家禮에 따른 冠婚喪祭의 다례를
 말한다.(儒敎茶禮) 관례는 15~20세가 된 남자에게 관을 씌우는 의례로 주부가 點茶
 하여 차병을 들고 사당(家廟)의 신위에 차를 따라 올림/ 혼례는 납채와 묘현 때 사당
 에 아뢰는 다례/ 상례는 발인 때 등 영좌에 올렸다/ 제례는 茶로 제례를 행하였다.
 기제사 때 헌다, 명절, 속절, 초하루 보름의 삭망 때 차를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유기농법 : 有機農法 - 농약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퇴비 등을 이용한 친환경
 농업형태를 말함.
유기재배차 : 有機栽培茶 - 2001년부터 국제적인 유기식품 검사 인증제도에 준거하
 여 인증받은 차를 말함. 화학비료, 농약 사용을 피하는 것을 기준으로 재배한 차.
유념 : 유捻 : 비비기 - 차의 제조공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손이나 기계로 비벼주는
 조작을 말한다. 煎茶, 玉露, 釜炒茶, 靑茶類 등을 만들 때 한다.
유당 : 酉堂 - 김노경(金魯敬 1766-1840). 추사 김정희의 부친
유산균차 : 乳酸菌茶 - 유산균 발효차를 말함. 미얀마와 타이의 먹는 차, 중국과 일
 본의 담그는 차 등이 있다. 미얀마의 먹는 차(라페, 소우)가 유산균발효차이고 젖은
 차이며, 마시는 차(라페, 초우)가 가마에 덖는 불발효차이고 마른 차이다. 3~5월 까
 지는 마시는 차를 만들고 장마철 이후에는 먹는 차를 만든다.
유수 : 유手 : 두 손으로 비빔 - 조유기, 중유기의 추축에 붙어있는 유념용 부품.
유압 : 柔壓 - 차를 만들 때 찻잎에 가하는 압력.
유액 : 乳液 - 식물의 유세포나 유관속에 있는 백색 또는 황갈색의 젖과 같은 액.
유약 : 釉藥 - 도자기의 강도와 실용성을 위해 표면에 나무 재灰나 석회 등을 사용해
 표면에 용착시킨 엷은 초자질층을 만드는 용액을 말한다. 유약의 종류는 도기유,
 석기유, 자기유 등으로 도기유는 1100도C 내외, 석기유는 1200~1300도, 자기유는
 1300도 내외에서 용해된다. 사용 원료에 따라 장석유, 알칼리유, 석회유, 식염유,
 연유, 아연유 등으로 나누어진다. 외관상태에 따라 백유, 색유, 청자유, 유리유, 흑유,
 투명유, 유탁유, 무광택유, 결정유, 균열유 등으로 나눈다. 최초의 유약은 기원전
 3300년대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의 알칼리유이다. 연유는 중국 하남성 金村의 묘
 (기원전 550~380년)에서 녹갈색 연유호鉛釉壺가 발견됨, 갈색유는 기원전 100년경 중국 前漢 중기부터 나타남, 녹색유는 서기력 전후에 등장해 後漢에서 전성기를 이룬다.
 우리나라에서 저화도 연유가 시유된 예는 충남 부여군 능산리에서 출토된 7세기경의
 녹색유 기대器臺이다. 통일신라시대의 골호骨壺, 기와瓦, 벽돌塼 등 전성기를 맞으나
 곧이은 청자의 발달로 소멸한다.
유엽 : 濡葉 - 비나 이슬로 젖은 잎. 우아雨芽, 노아露芽 라고도 한다.
유원총보 : 類苑叢寶 - 1644년 조선시대 문인 김육金堉의 저서 총 47권 23책 으로
 인본 백과전서이다. 주로 임진왜란 이후 중국의 여러 서적을 참고하여 편찬한 것으로
 차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다. 권37 茶에는 저차일경著茶一經, 진차眞茶, 권다, 수차일
 관受茶一串, 소식차消食茶, 일음백완日飮百椀, 뇌명차雷鳴茶, 선장차僊掌茶 등이 있
 다.
유자차 : 柚子茶 - 1766년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찬) 출전-생유자와 배를 채소처럼
 잘게 썰어 꿀물에 넣고 잣을 띄워 마신다. 숙취를 푸는데 좋다.
유절 : 유切 - 수유제차에서 중화中火 후의 끝마무리 비비기의 1단계 조작을 말함.
유점 : 油點 - 잎겨드랑이에 붙은 살눈.
유차 : 孺茶 - 고려 때의 土産茶. 전남 송광사에서 松都의 양반들에게 보낸차로 요
 즘의 작설차(早芽茶)를 말함.
유천 : 乳泉 - 종유석에서 나는 샘물을 말하나, 산 바위 사이에서 솟아흐르는 좋은
 샘을 모두 지칭해 쓰기도 한다. 석간수石澗水
육대분류 : 六大分類 - 중국차의 제법에서 주로 색에따른 분류법이다. 찻물의 색깔이
 녹차(불발효차), 황차(후발효차), 백차(부분, 약발효차), 청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흑차(후발효차).  7대분류- 花茶를 포함한 분류.
육로산거영 : 六老山居詠 - 1818년 茶山과 수룡袖龍 색성(1777-?), 철경鐵鯨
 응언應彦, 침교枕蛟 법훈法訓, 철선鐵船 혜즙惠楫(1791-1858) 등 5인이 원나라
 승려 석옥 청공(石屋 淸珙 1272-1352)의 山居詩 24수를 차운하여 함께묶은 시집
 36장으로 된 필사본 1책이다.
육묘 : 育苗 - 씨나 삽목에 의한 영양번식 등을 통해 묘목을 기르는 것.
육보차 : 六堡茶 - 1500년 전부터 중국 광서성 장족자치구에서 만든 흑차의 일종.
 제법은 원료가공과 증제의 두 과정으로- 신선한 잎을 볕에 바랜 후에-초청(炒靑
 솥에서 덖어서 살청)-유념-퇴적발효-홍건(紅乾 탄화를 쬐어 건조)의 공정으로
 모차(毛茶 黃茶)를 만들고, 증제는 모차를 증기로 부드럽게하여 긴압하고 자연건
 조 시킨다. 차의 맛은 국곰팡이 냄새가 있고, 오랜 것일수록 고급으로 평가된다.
육안차 : 陸安茶 - 중국 안휘성 육안현에서 생산되는 맛이 좋기로 유명한 차
육우 : 陸羽 - (733-804) 陸子羽 중국다도의 시조. 雅號는 桑苧翁. 竟陵子, 東岡子,
 동원. 자는 홍점鴻漸. 10년이 걸려 780년(建中元年) 차경茶經(上中下)을 완성함.
 茶器에 관한 논설은 唐代의 도기가마를 아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있다.
 760년경 승교연, 안진경 등과 교류 하였고, 후대에 茶神으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얼굴은 못생겼고 말은 더듬었으나 입담이 좋아 말솜씨의 재능이 있었고
 결단럭이 뛰어났다. 그러나 방랑기가 있어 마음만 먹으면 어디든지 갔으며 한번
 약속한 것은 결코 바꾸지 않는 의리의 사람이었다고 한다.
육정 : 六情 - 6가지 감정 (희, 노, 애, 락, 애, 오)
육청 : 六淸 - 6가지 음료 (물, 미음, 맑은술, 진국술, 감주, 기장술)
 제후의 진수성찬珍羞盛饌에서 향기로운 차가 으뜸으로 불림
율무차 : 율무를 재료로 한 대용차.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인 율무는 이뇨, 건위,
 거친 피부에 좋다. 쌀과 죽을쑤어 매일 한 끼씩 먹으면 주근깨가 없어진다.
위고비각 : 位高秘閣 - 잔은 항상 잔대위에 있음을 말한다. 비각은 높은 관직
위홍려 : 차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관하는 갈대로 만든 바구니.
으름덩굴차 : 으름덩굴의 열매와 줄기를 차로 이용한다. 열매는 팔월찰八月札,
 목통자木通子, 팔월과八月瓜 등으로 불린다.
은록 : 銀綠 - 짙은 녹색의 표면에 은회색의 광택이 보임(관능평가)
은행차 : 銀杏茶 - 은행의 열매와 잎을 이용한 대용차.
음윤 : 陰潤 - 축축한 음습한 날. 이런 날은 보관된 차통을 열지 않는다.
음차 : 飮茶 - 차 마시는 아취. 손님이 적은 것을 귀하게 여긴다. 많으면 시끄럽고,
 시끄러우면 곧 우아하고 아름다운 정취가 부족하게 된다.
음차유복 : 飮茶濡復 - 차를 여유있게 마음놓고 마심. 경남 하동군 쌍계사 진감국사
 의 비문에 나오는 글이다.
음식법 : 1854년 나온 책으로 찬자는 미상이다. 이 책에는 각종 대용차가 음청류에
 들어 있다. 음청류에는 구기자차, 대추차, 결명자차, 모과차, 유자차, 오미자차, 옥
 수수차, 보리차, 좁쌀차, 생강차, 배숙, 복숭아화채 등이다.
음양오행설 : 陰陽五行說 - 천지간의 모든 것은 상반되고 보완하는 이원二元의 것으
 로 음양에 따라 지배되고 있다고 한다. 오행은 만물을 지배하는 요소로서 木,火,土,
 金,水에 귀속시킨다. 예로 인체는 오장五臟(간,심,비,폐,신), 오부五腑(담,소장,위,
 대장,방광), 음식은 오미五味(산酸,고苦,감甘,신辛,함鹹), 오성五性은 (한寒,열熱,
 온溫,량凉,평平) 등과 같은 고대 중원의 세계관을 말한다.
음차 : 飮茶 - 차를 마시는 과정을 말함. 즉 色, 香, 味의 삼묘三妙를 감상하면서 여유
 있게 마시는 것이 좋다. 손님이 적은 것을 귀히 여겼다. 홀로 獨茶하면 신神-신명스
 럽고 그윽하며 속세를 잊은 경지, 둘이면 승勝-좋은 정취와 한적한 경지, 3~4명이면
 취趣-즐겁고 유쾌한 경지, 5~6명을 범泛-평범하고, 7~8명이면 시施-베푸는 음식과
 같아 博愛라 하여 옛사람들은 손님이 많을 때는 차를 내지 않고 부드러운 말로 대접
 하는 것이 상책이라 하였다.
음차기구 : 飮茶器具 - 차를 마시기 위하여 필요한 기구를 말함.
음차재료 : 가루종류, 과일류, 곡류, 약재류, 유류, 해조류 등
음화녹차 : 窨花綠茶 - 말리화차,주란화차, 계화차 등 중국의 재가공 녹차로 꽃의
  향기를 녹차에 스며들게 하여 만든 것이다.
읍례 : 揖禮 - 옛날 남자들이 절(拜禮)을 할 수 없는 상황 즉 야외나 길거리 등에서
 양손을 붙잡고 앞으로 올렸다가 내리며 예의를 표했던 것
응조차 : 鷹爪茶 - 차순이 매발톱 같이 생겨 붙인 차이름. 곡우전에 딴 차
의흥차호 : 宜興茶壺 - 중국 강소성 태호 서부지역 의흥요에서 생산된 차주전자.
 유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약 1200도C의 고온으로 구운 자사紫砂 또는 자니紫泥
 라하는 급수急須(차를 달이는데 쓰는 주전자). 색깔에 따라 홍니紅泥, 이피니梨皮泥
 白泥,  鳥泥, 黃泥, 綠泥 등으로 이름붙여 차인들이 애호하는 의흥의 특산 다기이다.
이 : 飴 - 엿
이번차 : 二番茶 : 두물차 - 일번차 적채摘採 후 45~50일쯤 딴 차로 일번차보다 못하다
이분 : 泥粉 - 60호 그물코를 통과한 미세가루를 말함. 
이아 : 爾雅 - 주공周公의 저서. 중국 고대의 유가 경전에 나오는물명物名을 해설한
  13經의 하나로 19권으로 구성된 사전류로 천문, 지리, 음악, 器材, 초목, 鳥獸 등의
  낱말을 해설했다. 주周나라에서 한漢나라까지의 여러 학자가 여러 경서의 주석들
  을 채록한 것이다.
이아주 : 爾雅注 - 동진 때 곽박(276-324)이 지은 책
이어 : 이魚 - 잉어
이원 : 異苑 - 남송 때 유경숙劉敬叔이 지은 괴담집怪談集 10권
이차가공차 : 二次加工茶 - 만든 차를 재가공한 차로 말차, 분말차, 고형차, 긴압차,
 단차, 연차, 현미차, 화차 등을 말함
이차 폴리페놀 : 차잎에 함유된 카테킨류 1차 Polyphenol 이 제조과정에서 변화되어
 생성된 카테킨 중합물을 말한다. 홍차나 청차에 함유된 Thearubidin류, Theaflavin류
 Theacynensine류 등.
이취 : 異臭 - 차 심사용어로 차 본래의 향기가 아닌 냄새. 주로 원인을 모르는 냄새를
 말하고(곰팡이 냄새, 묵은 냄새 등),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약취藥臭, 유취油臭, 연취煙
 臭 등으로 말한다.
이탕기 : 耳湯器 - 물식히는 그릇
인공건조 : 人工乾燥 - 온도, 습도, 바람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건조하는 방법.
 가압건조, 상압건조, 진공건조로 대별되고 분무건조, 포말건조, 진공동결건조 등
인공위조 : 人工萎凋 - 위조탱크 등을 이용 통풍으로 생잎을 시들게하는 방법.
 비가 오는날은 생잎층을 온풍투기透氣 만으로 한다.
인더스트리얼 티 : Industrial Tea - 여행 할 때나 휴게소 등에서 쉽게 마실 수 있도록
 만든 캔, 페트병, 유리병 등에 담아 놓은 차 음료.
인도계 잡종 : 印度系 雜種 - 차나무 종류 중에 Assam 잡종을 말함.
인돌 : Indole - 차의 생잎에 약간 존재하는 중요 향기성분으로 불쾌한 냄새를 가진
 무색 결정체이다. 콜타르, Jasmine 기름, 동물의 배설물 등에 들어있다.
인동덩굴차 : 한방에서 인동덩굴의 잎과 줄기를 말린 것을 인동忍冬 이라 한다.
 인동 꽃을 금은화라 하는데 꽃이피는 5~6월에 꽃봉오리를 따서 그늘에 말리고,
 잎과 줄기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 말려서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인두차 : 人頭茶 - 중국 운남성의 긴압차로 모양이 사람 머리와 닮았다하여 붙인 차.
인스턴트 : Instant - 물을 가하면 즉시 원래형태로 돌아가는 건조식품에 붙여진
 이차 가공품. 조제, 요리, 음용, 저장성이 좋아 간편식품, 즉석식품으로 통한다.
일강차 : 一綱茶 - 백산차를 말함. 겨울 기침을 가라앉히는데 인삼탕 만큼 효과가
 있다고 했다.
일광위조 : 日光萎凋 -  차의 생잎을 강한 햇볕아래에서 단시간에 시들게 하는 것.
 부분발효차 제조공정에서 주로한다.
일구 : 一&amp;#29964; - 차를 마시는 사발沙鉢
일명 : 一鳴 - 탕이 끓는 소리
일번차 : 一番茶 : 첫물차 - 월동 후 최초의 새싹을 적채한 초엽으로 만든 차.
일본다도 : 日本茶道 - 일본인은 차를 마시며 심신을 수련하여 인간의 도리를 추구
 하며 꾸밈없고 소박한 와비(草庵)정신을 강조한다. 차문화 정신은 천리휴가 주장한
 선종의 시규인 화경청적和敬淸寂과 리큐칠칙으로 대표된다.
 일본에 차가 전해진 것은 나라시대인 9세기 초로 조선에서 다른 문화와 함께 전래
 된 것으로 본다.
일본차 : 日本茶 - 아파번차阿波番茶, 미마시카번차美作番茶, 쿠로차黑茶, 이시쓰치
 흑차石鎚黑茶, 고이시차碁石茶, 단차磚茶, 카와이번차河合番茶, 카게호시차陰干茶,
 교번차京番茶, 키토번차木頭番茶, 고센지번차高仙寺番茶, 키자와한차木澤寒茶,
 이스케한차足助寒茶, 미야자키번차宮崎番茶, 스루가청차駿河靑茶, 카미야마번차
 上山番茶, 가가와현의 멧돌로 갈아만든 덩어리차, 증제녹차蒸製綠茶, 말차抹茶,
 배초차焙炒茶, 전차煎茶,피복차被覆茶, 옥로玉露, 옥록차玉綠茶, 현미차玄米茶 등
일본전국차생산단체연합회 : 日本全國茶生産團體連合會 - 1970년 도쿄에 설립된
 전국단체. 주요사업은 차생산 계획수립, 생산기술 개선 향상 보급, 정보수집 배포,
 유통개선과 수요확대, 연구회의 개최 등이다.
일본차업중앙회 : 日本茶業中央會 - 일본 민법에 기초하여 만든 공익법인이다. 2차
 세계대전으로 통폐합, 해산 등개조되어 1960년 정관변경 인가받아 1975년 조직개
 정- 전국차생산단체연합회, 전국차상공업협동조합연합회, 일본차수출조합, (사)신
 주쿠차업회의소, (사)교토부차업회의소, 가고시마현차업회의소 등 6개 단체를 가진
 회로 차업의 종합적 개량발전을 꾀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한다.
일본차나무 품종 : 가나야미도리(만생종), 구리다와세(극조생), 사에미도리(중생종),
 야부기다(1953년 육성된 중생종), 후슌(1991년 육성된 내한성이 강한 만생종) 등이다.
일본홍차협회 : 日本紅茶協會 - 1939년 설립~1971년 홍차수입 자유화로 재발족한
 전국단체이다. 업계창구사업, 소비촉진사업, 특별연수, 연구회를 개최한다.
일비 : 一沸 - 다경에 나오는 물의 끓는 첫단계를 말한다. 즉 생선눈과 같이 희미하게
 소리하는 것/ 二沸 - 솥 가장자리에 샘이 용솟음 치듯 거품이 일어나는 것/ 三沸 - 파도
 를 치고 부글부글 끓는 것/ 그 이상은 물이 피로하여 마셔서는 안된다. '일비 때 물을
 그 양에 맞춰 소금으로 맛을 조정한다' 로 되어있다.
일쇄차 : 日晒茶 : 日乾茶 - 햇볕에 쬐어 말린 차.
일전 : 一煎 : 초탕 - 한 잔의 전차. 제일전
일즙일채 : 一汁一菜 - 밥 한 그릇에 국 한 그릇. 즉 초암차사의 간단한 차림을 뜻함
일지암 : 一枝菴 - 초의가 중년(1830년)에 건립하여 만년까지 기거하던 공간
 일지는 唐나라 때 천태산에 살았다는 전설적 은자 寒山詩에서 따온 말이다.
 뱁새는 제몸을 깃들이는데 일지, 즉 나뭇가지 하나면 충분하다. 곧 초의의 욕심없
 는 삶의 자세를 상징하는 이름인 셈이다. 우사芋社, 九蓮寺는 일지암의 다른 명칭
 위치는 두륜산 꼭대기 바로 밑이었다. 당시 주변에는 소나무와 대나무가 무성했다.
 지금의 일지암은 1980년 (사)한국차인연합회가 전회원들의 뜻을모아 복원한 것이다.
일창일기 : 一槍一旗 : 창은 가지, 芯芽. 기는 잎을 말함. 찻잎이 처음 움터나온 여린
  첫잎. 차란 움은 일찍 돋지만 싹은 뒤늦게 튼다.(일기일창, 一芯一葉)
  조금 지나면 두번째 잎(일창이기)과 세번째 잎(일창삼기)이 펴진다.
  (중국 서호 龍井茶의 적채는 특히 중요하다)
임원십육지 : 林園十六志 - 1827년 徐有榘구 찬. 113권의 대백과전서이다. 茶에는
 총론과 뇌차, 족미차, 해아향차, 청천백석차, 누영춘, 구기차, 국화차, 강죽차, 강귤차,
 유자차, 포도차, 당귀차, 녹두차, 백엽차 등 요즘의 대용차가 수록되어 있다.
임하필기 : 林下筆記 - 李裕元(1814-1888)의 저술로 우리차와 일본차, 중국차를 기록
 이유원은 고종 10년(1873년) 영의정이됨. 총 39권으로 권 21에 竹田茶, 권 22에 茶詩
 廳에 茶時와 제좌 둘이 있는데 하루에 한번씩 모여서 차시에 차를 마셨다.
입하 : 立夏 - 24절기의 7번째로 곡우 다음 양력 5월 5~6일. 여름이 시작됨을 이르는
 말로 이 때 만든 차를 立夏茶라 한다.
잇꽃차 : 잇꽃은 어혈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인다. 여기에 복숭아씨를 섞어쓰면 더좋다.
잎눈 : 꽃눈의 대칭어로 발아 후 가지로 자라는 눈. 꽃이 피지 않는 눈.
잎자루 : 잎새를 받치고 줄기에 붙어있는 자루부분.
잎차 : 葉茶 : 엽차 - 파쇄 가루나 뭉치로 만들지 않고 찻잎상태로 유지한 차를 말한다.
잎차형 홍차 : 葉茶型 紅茶 - 티백이나 파쇄형이 아닌 잎 그대로 형태의 정통홍차
 등급-새싹(tip)이 많이 함유될수록 고급품이다. FOP(flowery orange pekoe-일창일기
 의 흰솜털이 있는 새싹이 많은 꽃향기 나는 홍차) OP(orange pekoe-솜털이 있는 일
 창이기의 어린잎으로 만든 것) P(pekeo-세번째 잎으로 만든 것) PS(pekoe souchong
-네 번째의 잎으로 만든 것) S(souchong-다섯 번째 잎으로 만든 것) 로 표시된다.
자 : 煮 - 끓이다. 삶다, 익히다. 굽다.
자 : 蔗 - 사탕수수
자 : 젓갈, 해파리
자다 : 익힌 찻잎을 기름틀 같은 곳에 넣고 묵기와 고를 짜내는 것
자/적 : 炙 - 고기굽다, 김 쏘이다.
자기 : 磁器 : 瓷器 - 가마에서 1300도 전후의 높은 온도에서 구워 흡수성이 없는 경질
 백색의 소물燒物이다. 중국 唐代에 발달 宋代 이후 明代에 좋은 제품이 생산되었다.
 景德鎭窯에서 대량생산해 유명, 茶의 심사용 茶具는 백자가 국제기준이다.
자미 : 滋味 : 감칠맛 : Umami - 차품질의 심사항목의 하나. 떫은 고삽미와 농순한 맛
  Kokumi의 유무, 입가심의 양부 등에따라 판정된다.
자비차 : 煮沸茶 -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되는 불발효차이다. 운남성의 노조청차老粗
  靑茶와, 오카야마현의 비사쿠(美作) 늦차가 있다.
자성일가 : 自成一家 - 스스로 일가를 이루다. 슷로 노력해서 어떤 경지에 이르렀다.
자소차 : 紫素茶 - 자소과의 한해살이 풀로 만든 음료. 엘러지, 편도, 감기에 효과
자소차 : 차조기차 - 1766년 유중림 찬 증본산림경제에 실린 차조기 잎으로 만든음료
자순 : 紫筍 - 모든 차의 순은 처음 날 때 약간의 자색을 띠다 녹색으로 바뀐다./
같은 종류의 차라도 지역의 특성상 자순으로 변한다. / 자순차의 종류가 따로 있다
호주에 '고저자순' 아주에 '몽산자순' 명주에 '건주자순' 등
자순차 : 육우의 다경에서 천하제일의 명차로 일컬은 차
자아 : 紫芽 - 한싹에 두잎이 난 것으로 일창양기
자양모첨 : 紫陽毛尖 - 중국 섬서성 자양현에서 생산되는 녹차이름
자연위조 : 自然萎调 - 실내에서 선반이나 그물위에 생잎을 펴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 요즘은 공간과 작업효율을 위해 인공위조한다. 홍차제조
자우산방 : 紫芋山房 - 일지암一枝庵
자제녹차 : 煮製綠茶 - 생잎을 탕으로 삶고 데치기 등을 실시하여 만든 녹차.
자차 : 煮茶 - 덩이차 달이기
자차 : 炙茶 - 덩이차 굽기
자차 : 紫茶 - 일본의 번차(番茶 질이 낮은 녹차)
자친 : 慈親 - 자기 어머니에 대한 옛스러운 경칭
자하동 : 다산초당이 있던 골짜기 이름
작설 : 雀舌 - 곡우전에 딴차. 차의 별칭
작약 : 芍藥 - 함박꽃 뿌리
잔의 명칭 : 盞 - 완우盂 구 잔盞 종鐘 배(杯 盃) 발鉢 접 명皿 등
잠수차 : 潛水茶 - 차와 고추 소금을 맑은물에 잠기게 넣는다. 신선한 찻잎을 씻어
물에 담갔다가 그대로 먹는다. 맛이 쓰고 조금 떫으며 시원한 독특한 풍미이다.
(잡효
장 : 丈 - 10척이 일장, 3미터 조금 넘는 길이
장차 : 藏茶 - 차를 보관하는 방법
재방 : 滓方 - 찌꺼기통
저수 : 貯水 - 물의 보관. 물은 항아리에
저죽 : 箸竹 - 젓가락을 만드는 대나무
적유 : 的乳 - 송대 북원공다의 증청단차로 南唐書에 나온다.
전교려 : 轉巧麗 - 매우 아름답다
전차 : 전다 : 煎茶 - 잎차 다루기. 떡차를 부셔서 물에 넣고 끓이는 것(팽다)
 잎차를 끓인물로 우려낸 차.
전차법 : 煎茶法 - 잎차를 우려내어 마시는 차법
전다수기 : 煎茶水記 - 張又神의 물 품평에 관한 비교 참고자료가 기록됨
전도조차 : 剪刀粗茶 - 줄기와 잎을 함께 잘라서 이것을 어느정도 발효시켜 마시는차
일명 기미차(羈미茶) , 이 차는 소수민족을 달래는 의미로 통제하지 않았다.
전탕법 : 煎湯法 - 탕으로 끓여 차를 달이는 법
전형 흑차, 생차, 숙차 : - 벽돌모양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긴압차(청전, 보이전차)
점차 : 점다 : 點茶 - 차를 달임. 우림 등 모두 지칭. 泡茶, 煎茶, 烹茶 등의 의미.
唐代(618-907년=통일 신라시대) 말차를 찻사발에 넣고 탕湯(끓인 물)을 조금씩
부으면서 찻솔로 휘저어 거품이 나면 마신다.(古代는 병에 탕을 부어넣는 것을
점點이라함)
점다법 : 點茶法 - 덩어리차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다완에 담고 물을 부어
차솔로 거품이 알도록 휘저어 마시는 차법. 고려시대 유행, 중국 宋代에 유행
하였으며 오늘날 일본의 말차법과 유사하다.
點抹茶食 의 뜻, 가루차를 격불하는 것- 포다泡茶, 충다沖茶를 말함
주자가례-차를 신주에게 올림
점차실진 : 點茶失眞 - 차의 세 가지 즉 참향내眞香, 참색깔眞色, 참맛眞味을 잃는것
점염실진 : 點染失眞 - 차는 오염되면 참됨을 잃는다. 차에는 본래의 참된 향기. 빛
깔, 맛이 있다. 한 번 오염되면 곧 그 참됨을 잃는다. 물에 소금기, 차에 불순물, 찻
잔에 과즙류가 묻어 있거나.. 이는 모두 차의 참됨을 잃게 하는 것이다.
정공 : 正貢 - 정한 규칙대로 정당하게 황궁에 바치는 차
정수불의차 : 井水不宜茶 - 우물물은 차에 부적절하다. 차경에 산물-강물-우물물 순
정식 : 鼎食 - 귀인의 진수성찬 五鼎食을 말한다. 제후諸侯는 오정식
(1.쇠고기牛 2. 양고기羊 3. 돼지고기豚 4. 생선 5. 사슴고기鹿), 경대부는 삼정식
정약용 : 丁若鏞 - 1762-1836 아호 茶山 등. 정조대 실학자. 강진 등 18년간 유배생활
학문에 몰두 목민심서 등 500여권 저술. 초의 등에 유학과 제다법을 가르침
차에관한 책- 아언각비雅言覺非의 차조茶條, 경세유표의 각차고, 여유당전서 보
유편의 차합시첩, 茶詩, 차신계절목, 차문답, 동차기 등
정위 : 丁謂 - (998-1063) 북송인. 건안차록建安茶錄을 씀
정차 : 丁茶, 南茶, 海南黃茶 -가마솥 덖음차가 아닌 발효차(황차)
정회 : 靜灰 - 불이 꺼져 식은 재
조 : &amp;#26531; - 대추
조 : 조 - 부뚜막
조다 : 造茶 : 조차 - 차 만드는 법, 과정. 연고 후에 잘 갈린 차를 매만져서 틀에
넣고 형태를 만드는 것
조리 : &amp;#30338;李 - 쥐엄나무
조차 : 粗茶 - 쇤 잎으로 만든 거친차
조취 : 鳥嘴 - 새의 부리와 비슷하다하여 붙인 차의 명칭
조핵형 녹차 : 棗核形 - 대추씨처럼 찻잎을 밑부분으로부터 잎의 끝방향으로 만든
차(井岡碧玉)
졸곡제 : 卒哭祭 - 삼우제 뒤 즉 죽은 날로부터 약 100일이 되어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 亥日에 지내는 제사. 그 후로 곡哭은 하지 않는다.
종 : 宗 - 가족, 일족, 일문一門, 동성, 친척
종종사 : 宗從事 - 가루를 쓸어모으는 빗자루를 말함. 종려나무로 만들었다.
주공 : 周公 - 주나라 文王의 아들. 武王 發의 동생. 이름은 단旦. 조카인 어린 成王
을 섭정하며 선정을 베풀어 존경을받아 시경, 서경과 금석문에 그의 공적기림.
왕권 이념과 덕치주의 구현을 위해 周禮를 지었다. 주나라의 제도와 예악을 정하
여 주나라 문화발전에 공을 세움
주동객서 : 主東客西 : 賓西主東 - 예제나 빈례의 전통이나 관습에서 좌석배치의
모양으로 주인은 동쪽에 손님은 서쪽에 자리한다. 이 때 동쪽이 상위이고
서쪽이 하위라는 上下나 尊卑의 개념은 아니다.
(군신간에는 임금이 북쪽에서 남면하고, 신하들 간에는 동 서로 마주보는 양식)
현대에서는 조망의 중요성을 높이사서 상위자의 좌석은 창을 바라보는 위치를
선호한다.
과거의 빈례는 공적 교류의 자리이므로 향배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좌석배치에
위계를 지켰다. 따라서 현대의 의전행사를 시행함에 있어서도 전승되어 온 관습
에 의거하고 있다.
주사 : 籌司. 비변사 : 備邊司 - 조선시대 일반 행정 전반을 관장하던 중앙관청으로
호남과 영남 각 고을의 차생산 유무 등 부역, 금전보상 등을 관장하던 주무관청
주형 흑차 : 柱形 - 대나무 거푸집에 넣어 눌러 만든 원주형圓柱形의 긴압차(千兩茶)
죽로 : 竹爐 - 화로의 겉을 대나무로 엮은 것
죽로차 : 竹露茶 - 영남 대나무 밭에서 나는 차.
엽전모양으로 110조각을 꾸러미로꽨 소형의 보림사(강진) 떡차를 이르기도함
진주목, 하동부 등 대밭에서 이슬에 늘 젖어 자라는 까닭에 이름 붙였다.
죽롱 : 竹籠 - 대바구니
죽면 : 粥面 - 다탕의 면이 유화로 가득하여 엉긴상태가 죽과같아 붙인 말
다죽 : 茶粥 - 가루차를 격불하여 유화가 엉긴 상태의 다탕
죽협 : 竹&amp;#31604; - 대젓가락, 송대에 등장하는 차선의 대용, 말차를 젓기 위한 것
준영 : 雋永 - 맛이 뛰어난 것. 차경에 차의 맛을 준영이라 함
중아 : 中芽 - 한싹에 한잎이 붙은 일창일기의 찻잎을 말한다. 간아
중정 : 中正 - 바르게 알맞다는 뜻. 우리나라 다도의 정신. 차인은 모든 것에 지나쳐
도 안되고 부족해도 안된다는 것을 말함. 이것은 자기의 본분을 지키라는 뜻이다.
다도란 정신과 예절이 함께 어우러져서 격조 높은 가치와 의식으로 생활화하는
것이다.
증차 : 蒸茶 - 연고차를 만들 때 찻잎을 시루에 넣어 찌는 것/40-50초간 쪄서 만든 차
지낭 ; 紙囊 - 종이주머니
진무제 : 晉武帝 - 서진을 세운 왕. 무제(236-290), 성은 司馬, 이름은 炎, 자는 安世
진서 : 晉書 - 진나라(266-420) 때의 正史. 당의 방현령(578-648) 등이 太宗의 명에의
해 편집한 역사책
진원제 : 晉元帝 - 동진의 처음 황제 사마예(司馬睿 317-322 재위)
진향 : 眞香 - 차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향기
차 : 다 : 茶 - 차의 이름을 가, 설, 명茗, 천 등으로도 표현
한다.
唐代는 떡차(餠茶)를 만들어 마셨고, 宋代는 가루차(抹茶)를 마셨으며, 明代에 와
서 잎차를 우려 마시게 되었다. 발효도에 따라 크게 6가지(6대 차류)로 분류한다.
녹차(綠茶 불발효), 백차(白茶 약발효), 황차(黃茶 미생물-약후발효), 청차(靑茶
효소-반 발효), 홍차(紅茶 효소-완전발효), 흑차(黑茶 미생물-후발효) / 이외 화차
(花茶 꽃향이나 꽃을 넣음) 등
차건 : 다건 : 茶巾 - 차기구를 닦는 행주
차경 : 借景 - 한옥의 창문
차경 : 茶經 : 다경 - 780년경 중국 당나라 때 육우(733-804)가 상중하 3권으로 저술한
세계최초의 차 책이다. 지금도 차에 관한 학문의 原典으로 삼고 있다.
차는 정행검덕精行儉德한 인품을 갖춘 사람이 마시기에 마땅하다 하였다.
이것이 중국의 다도정신이 되었다. 즉 차를 마시는 사람은 행실이 바르고 검박한
덕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는 잎차가 아닌 떡차(餠茶)를 말한다.
차경의 版本은 32권이나 된다.
차과 : 다과 - 연고차의 덩이
차관 : 다관 : 茶罐 - 차를 우려내는 주전자
차구 : 茶具 ; 다구 - 차 그릇. 은, 주석, 도자기 그릇, 다만 구리, 쇠는 피해야 한다.
차궤 게 : 소금그릇 숟가락
차낭 : 茶囊 - 차 보관 주머니(천장에 매달아두기도 함)
차담상 : 다담상 : 茶啖床 - 여럿이 차를 마실때 둘러앉게 놓는상
차당 : 다당 : 茶堂 - 북원에서 차 만드는 일을 관장하여 맡은 부서.
차례 : 茶禮 - 장자손의 집이나 산소에 간단한 차과포를 마련하여 예를 드리는 것
제수를 차려놓고 지내는 제사와는 엄격하게 구분된다. 옛날에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명절 때 가묘와 사당 그리고 성묘하며 차례를 지냈다.
차례에는 밥(메)과 국(갱)을 쓰지 않는다.
차로 : 다로 : 茶爐 - 차물을 끓이는 화로
차맛 : 茶味 - 차의 맛. 달고 부드러운 것을 으뜸으로 삼고, 쓰고 떫은 것은 하품이다
차반 : 다반 : 茶盤 - 차잔을 받치는 다리없는 반. 찻그릇을 담는 조그마한 예반
차변불가용 : 茶變不可用 - 변한 차는 쓰지 않는다. 차를 만들면 처음 푸른색이다.
저장함에 법도대로 하지 아니하면, 점점 녹색-황색-흑색-백색으로 변한다. 이를
마시면 곧 위가 냉해지고, 심해지면 수척한 기운이 쌓이게 된다.
차상 : 茶床 - 다리가 있는 차상
차색 : 茶色 - 차의 빛깔. 차는 푸른 것을 으뜸으로 삼고, 찻물은 남백색을 아름답게
여긴다. 노랑, 검정, 빨강, 어두운 빛깔이 도는 것은 모두 차의 품격에 들지 못한다
차선 : 茶煽 - 말차를 낼때 차 가루를 푸는 도구.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만든다.
차시 : 茶匙 - 차를 담아 붓는 숟가락
차잔 : 茶盞 - 차(물)를 담는 잔
차장 : 茶欌 - 찻그릇이나 과일 등을 넣어두는 자그마한 장
차제구 : 茶諸具 - 차에 관한 여러가지 도구
차종 : 茶種 - 차를 따라마시는 종지
차종 : 茶鍾 - 뚜껑이 있는 차담는 잔
차탁 : 茶托 - 차잔을 받치는 작은 판
차태 : 茶台 - 차잔을 놓는 다리가 긴(높은) 상
차통 : 茶筒 - 차를 넣어두는 대롱모양의 통
차포 : 茶布 : 다포 - 차잔위를 덮는 보자기
차호 : 茶壺 - 차를 넣어두는 단지모양의 통
차황 : 다황 : 茶黃 - 찻잎을 익힌 것 즉 증청한 상태의 차를 말함, 製茶 술어
차향 : 茶香 - 차의 향기. 차에는 진향眞香(곡우 전 차의 싱그러움이 고루 갖추어진
향), 난향蘭香(불김이 고루 든 것), 청향淸香(설지도 않고 너무 익지도 않은 것),
순향純香(안팎이 똑 같은 것)이 좋고, / 또한 함향含香, 누향漏香, 부향浮香, 문향
問香 등은 좋지 못한 향기이다.
창미 : 倉味 - 지프라기 등 창고 냄새
차성음 : 茶性淫 - 주위의 습기나 잡 냄새를 흡수하는 성질
차신전 : 茶神傳 : 다신전 - 1830년에 초의 장의순이 45세 때 중국의 백과사전인
만보전서에서 빼내어 쓴 책이다. 그안에 모환문이 쓴 '차경채요'가 실려 있고,
이 내용은 1595년 중국 명대 장원이 지은 '차록'을 베낀 것이다.
차 잎을 채취하는 것 부터 기초적인 모든 것을 22개 항목으로 쉽게 기록했다.
차위 : 茶衛 - 차의 위생. 차를 만들 때에는 정성스럽게 하고, 저장할 때에는 건조하
게 하며, 우릴 때는 청결하게 한다. 정성을 다하고, 건조하게 하고, 청결하게 하면
다도는 다한 것이다.(차신전)
착다수시끽다인 : &amp;#13442;茶須是喫茶人 - 차만은 모름지기 차인과 마시는 것이
좋다.
찰 : 札 - 솔
찻잔 : 茶盞 - 찻물의 빛깔을 해치지 않는 눈처럼 흰 것이 가장 좋고, 다음이 남백색
창첨 : 創添 - 새로 만들어 덧붙여 바치는 것
창포 : 菖蒲 - 창포의 뿌리
척방 : 滌方 - 개숫물통
천목산 : 天目山 - 지금의 절강성 항주의 어잠현에 있는 산
천문동 : 天門冬 - 한약재, 폐병, 천식, 가래에 좋다.
천배 : 淺焙 - 북원 정배에서 아주 가까운 곳, 일명 외배
천부 : 차에 관해쓴 최고의 시
천차 : 늦게 딴 쇤 잎차
철관음 : 鐵觀音 - 부분 발효차에 속한다. 강홍배, 외형은 구형이고찻물색은
황색 중 홍색을 띤다. 맛은 감미롭고 부드러운데甘潤, 맛과 향에 홍배(火候) 풍미
가 강하다. (산지-대북목책, 남항, 리산적교두)
철구 : 차를 마시는 찻잔. 나눔 잔
첨 : 첨 - 수레의 휘장, 행주치마. 위에덮는 보자기
청록 : 靑綠 - 녹색에 청색을 띤 것. 녹차의 엽저와 청차의 외형에서도 쓰임.
청제증전차 : 靑製蒸煎茶 - 1738년 일본 야마시로의 우지차 공장 기술자인
나가타니 소우에가 만든 일본 잎차의 원형. 찻잎을 증기로 찐 다음 불기운을
이용하여 말리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청차 : 淸茶 - 투명하고 맑은 탕색의 차
청차 : 靑茶 - 효소에 의해 반발효된 차(오룡차烏龍茶울롱차)
채다 : 採茶 - 차 따기
채단 : 綵緞, 采緞 - 신랑이 아내를 맞이하기 위하여 신부의 집에 보내는 폐백
처사 : 處士 - 학덕이 높지만 벼슬하지 않는 선비
초암 : 草庵 - 흙벽에 초가지붕을 가진 소박한 건물. 센노리큐의 차실 개혁으로
널리 보급된 일본의 차실 건축양식 중 하나(소안)
초의 : 艸衣 - 속성은 張씨, 법명은 意恂, 호가 草衣(수계시 완호 스님이 내린 이름),
자는 中孚(다산이 지어줌), 15세에 출가 훗날 煎茶博士로 불렸다.(신위 박영보의
남차시를 통해) 1786-1866
초차 : 草茶 - 작설차雀舌茶의 다른 이름
촌수 : 寸數 - 방계傍系의 친소親疎 거리를 알 수 있도록 만든 고유한 제도이다.
고려사에 촌수가 등장하는데, 중국과 일본에는 촌수 개념이 없다.
총수 : 파 뿌리
추사 : 秋史 -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아호 秋史, 阮堂, 老果 등 100 여개.
이조참판. 서화에 뛰어나 秋史體 대성. 조선 金石學의 태두. 9년간 제주도 유배생
활- 초의와 역관 이상적 등의 도움으로 차와 일생
추색 : 송대 북원공다 중에 잎이 조금 자란 것으로 만들어서 세색에
비해서 좀 거칠고 등급이 낮은차. 일명 조색. - 간아, 소룡, 소봉, 대룡, 대봉 등
추쇄 : 망치로 두드려 부수다.
추차 : 거친 차
축부수 : 竺副帥 - 대나무 솔, 가루차를 격불할 때 사용함, 일종의 다선
채장 : 綵莊 - 색깔이 고운 무늬를 단차團茶에 장식해 찍는 것
치자 : 梔子 - 치자
칙 : 則 - 차숟가락
칠종상차 : 七種常茶 - 작설차에 7가지 약초를 가미해서 각증상에 맞춰 마시도록 한
常備茶
침추 : 砧椎 - 호박 절구공이, 다듬잇돌, 쇠방망이, 침구(砧臼)
침형 녹차 : 針形 - 모양이 가늘고 바늘과 같다(安化松針, 南京雨花茶)
침형 흑차 : 枕形 - 목침 모양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목침모양의 긴압차(강전, 金尖)
탁 : 托 - 잔을 받치는 집기이다. 고사: 당나라 최녕의 딸이 차를 마실 때 잔의 열기에
 손가락을 데일까 염려하였다. 접시에 밀랍을 녹여 잔의 크기 만하게 고리를 만들어
 잔을 놓아보니 기울지 않아- 옻칠을 하여 만들게하고 托이라 하니 이윽고 세상에 유
 행하게 되었다.(1874년 이사범의 家禮) =茶盞托
탄과 : 炭&amp;#27291; - 숯가르개
탈상 : 脫喪 - 상기를 마치고 상복을 벗는 것. 해상, 결복, 결제, 종상, 종제라고도 한다
탕관 : 湯罐 - 차 낼물을 끓이는 주전자
탕병 : 湯甁 - 宋代 탕수를 끓이는 병. 지금의 주전자나 포트. 황금, 은, 쇠, 자기, 돌로
만든다. 다른 이름들- 탕제점, 상상, 명천, 다호, 다복, 다요, 다당 등
탕제점 : 湯提點 - 탕병湯甁 - 금속이나 도자 돌로 만든 물병, 일종의 탕관
퇴수기 : 退水器 - 차찌꺼기나 물버리는 그릇
투차 : 投茶 - 차를 다관에 넣음. 찻주전자에 찻잎을 넣는 방법- 차를 먼저 넣고
끓인 물을 후에 넣는 것을 下投. 끓인 물을 반 붓고 차를 넣은 뒤 다시 끓인 물을
부은 것을 中投. 끓인 물을 먼저 붓고 차를 뒤에 넣은 것을 上投라고 한다.
투차 : 투다 : 鬪茶 - 차를 우려내는 솜씨를 겨루기. 말차를 가지고 서로 겨루는 행위
투품 : 鬪品 - 차겨루기(鬪茶)에 사용하는 특품의 차.
宋代의 茗戰이 성행-격불한 차의 교잔咬&amp;#30415;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쪽이 이기
는것,
건안 지방 散茶의 경우 물, 차, 찻그릇들도 판정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차를 마셔보고 물이나 차의 산지를 맞히는 내기도 함.
파파연 : &amp;#30372;&amp;#30372;然 - 흰 것이 쌓인 모양. 머리칼이 희끗희끄한 모양
팔영 : 八詠 - 松. 竹. 菊. 蘭. 梅. 蓮. 琴. 鶴. 등 8가지를 노래한 것
(白雲洞草堂八詠-申命圭 1618-1688 가 씀)
팽차 : 팽다 : 烹茶 - 차를 달임. 煮茶, 철茶, 烹茗, 煮餠이라 하며, 고대 茶藝의
총칭으로 쓰임
편갑 : 片甲 - 이른 봄에 갓나온 노란싹을 따서 약간 발효시킨 차. 황차(황매)-생강맛
편차 : 片茶 : 단차 : 병차 : 과차 : 납차 - 찻잎을 찌고 빻아서 원형 또는 장방형 틀에
넣고 눌러 찍어낸 고형차. 편으로 헤아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편형 녹차 : 扁形 - 평평하고 납작하게 만든 차(西湖龍井茶)
편형 녹차 : 片形 - 줄기와 잎이 분리해 만든 단편單片의 차(六安瓜片)
폐백 : 幣帛 - 신부가 시부모님께 올리는 폐백으로 현구고례見舅姑禮에 해당된다.
포 : 脯 - 말린 고기, 포, 육포
포 : 鮑 - 절인 어물, 전복
포다 : 泡茶 - 明代 이래 잎차를 탕수에 우리는 것. 개수충다로 일명 調茶라고 한다.
포법 : 泡法 - 차를 우려내는 방법
포차법 : 泡茶法 - 가루가 아닌 찻잎을 차호에 넣고 따뜻한 물을 부어 차가 우러나도
록 하여 마시는 방법.
포합 : 蒲합 - 청참외의 별칭(두보 詩中)
표 : 杓 - 격불된 차를 나눌 때 사용되는 국자를 말한다.
표 : 瓢 - 표주박, 박
표표연 : 漂漂然 - 공중이나 물에 떠 있는 모양
품다요록 : 品茶要錄 - 송대 문인 황유黃儒가 10편으로 나누어 쓴 建茶에 관한 기록
품수 : 品水 - 물에 대한 품평 /주권의 다보에서는 1.청성산 노인촌의 기천수 2.종산
의 팔공덕수 3.홍애의 단담수 라고 / 산의 물- 강물- 우물물 순 등 견해가 많다.
품천 : 品泉 - 물의 등급. 차는 물의 싱그러움이고, 물은 차의 몸이니, 진수眞水와
정차精茶가 아니라면 어찌 좋은 차를 맛볼 수 있겠는가. 참된 근원의 물은 맛이
없으며, 참된 물은 향기가 없다. 성현(成俔 1439-1504)의 '용재총화'에 보면 가장
좋은 물로 충주의 달천수達川水 2.한강의 우중수牛重水 3.속리산의 삼타수三陀水
품차 : 品茶 - 차를 품평하며 시험하여 평가함
풍로 회승 : 風爐 灰承 - 풍로 재받이
하오마 : Haoma - 고대 이란의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에서 제사의식 때 쓰던 음료. 풀잎을 찧어서 짜낸 푸른색이 나는 즙이다.
학원차 : 壑源茶 - 중국의 명차. (학원차는 진한 맛-초의차는 연한 맛)
한서 : 漢書 - 전한대(BC 206-408) 12임금의 역사를 기록한 240년간의 기전체의 역
사서.- 후한 때의 반고班固가 저술, 팔표 등 미완성 부분을 여동생 반소班昭가 씀
함자 : 銜字 - 남이나 어른의 이름을 높여 부르는 말
항렬과 항렬자 : 行列, 行列字 - 각 성씨 문중에서 표준 항렬자를 정하여 자손들이
태어나면 항렬자를 넣어 이름을 짓도록 하였다. 같은 혈족이라면 항렬자만 보아도
세대와 관계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항렬자를 보면 조항祖行, 숙항叔行, 동항
同行, 질항姪行, 손항孫行을 분별할 수 있다.
항렬자를 만드는 방법은 문중마다 다른데 십간법十干法, 十二支法, 五行法, 數字法
등이 있다.
향로 : 香爐 - 향을 피우는 화로
해도인 : 海道人 - 홍현주(洪顯周 1793-1865) 호는 해거재海居齋. 정조대왕의 사위
해안 : 蟹眼 - 게눈 같은 물방울, 물고기 눈(魚目)보다 작은, 이비(二沸) 정도
향음주례 : 鄕飮酒禮 - 향교, 서원, 관아 등에서 봄과 가을에 관내의 선비들에게 어른
을 공경하고 노인을 봉양하는 의리가 있음을 밝히고, 음식을 청결하게 갖추어 감사
하며 먹고 마셔야 하는 의미를 일깨우는 의식으로 특히 술 마시는 예절을 중시하였
고, 관례冠禮를 행하면서도 가르쳤다.
향합 : 香盒 - 향을 담는 그릇
현구고례 : 見舅姑禮 - 신부가 시부모님께 폐백을 올리며 처음으로 뵙는 의식.
오늘날은 혼인례가 끝난 바로 다음에 폐백이라 하여 폐백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협 : 夾 - 집게
협잔 : 잔 데우기
혜 : 醯 - 식초, 식혜
혜해지변 : 혜는 식혜食醯로서 삭힌 쌀알이 동동 뜨는 단맛이 나는
식품으로 기일제사에 쓰지 않고 차례茶禮에서만 사용한다.
해는 식해로서 가재미나 동태 등과 좁쌀을 고춧가루와 삭혀서 반찬으로
먹는 식품 생선젓이다. 해는 차례 때 사용하지 않는다.
호사자 : 好事者 - 일 벌이기를 좋아하는 사람. 그 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
호원외 : 胡員外 - 표주박을 이름
혼례 : 昏禮 - 원래 혼인은 해질 무렵 즉 양과 음이 교차되는 시각에 거행 되었다.
민법에도 혼인婚姻이라 명기하였으므로, 結婚예식장이 아닌 昏姻예식장이 맞다.
홀기 : 笏記 - 의식의 진행을 위하여 그 순서와 절차를 기록한 식순으로 참여자들의
동작을 순서대로 적어놓은 것
홍차 : 紅茶 - 6대 차류의 하나로 효소에 의해 강 발효된 차
후탕 : 候湯 - 물이 끓는 상태를 살핀다.
화 : 華 - 거품. 말沫과 발은 차탕의 거품華 이다.(다경)
말沫은 거품이 엷고 방울이 작은 것, 발은 굵은 방울들로 두꺼운 거품, 가늘
고 가볍게 뜬 거품을 화花라 한다.
화경 : 花鏡 - 차의 보관에 대해 쓴책
화경청적 : 和敬淸寂 - 중국 송나라 때 수단선사의 제자 유원보가 제정한 화경청적을
센리큐가 받아들여 일본의 다도정신으로 삼았다. 차인은 서로 화목하고 존경하며
깨끗하고 고요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화부 : 花浮 - 꽃처럼 뜨는 유화乳華를 지칭
화타 : 華&amp;#20311; - 후한말에서 삼국시대 위나라의 명의名醫, 처음으로 마취 수술함
100세에도 원기가 왕성 했다고
화협 : 火&amp;#31604; - 부젓가락
황록 : 黃綠 - 녹색에 황색을 띠며 광택이 조금 떨어진다. 녹차의 엽저와 탕색, 황차
의 외형과 엽저의 용어로도 쓰이고 , 백차의 외형색택에 낮은 등급 용어로 쓰인다.
황산군 : 黃山君 - 한나라 때의 仙人
황차 : 黃茶 - 6대 차류의 하나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후발효차
황차 : 荒茶 - 거친 차. 갓 제조해 상품으로 포장되기 전의 차
현표 : 懸豹 - 산딸기
형주 : 荊州 - (중)당나라의 주. 지금의 호북성 강릉현
회갈 : 灰褐 - 갈색 속에 회색을 띠며 광택이 없다. 홍차의 외형 색택에도 쓰임
회록 : 灰綠 - 녹색에 어두운 회백색의 광택이 보이나 은록보다 등급이 낮은 표현이
다. 백차에서도 쓰임
회암 : 灰暗 - 색택이 어둡고 광택이 없으며 빛이 없는 회색으로 나타남. 덖음차가
습기를 먹을 경우 나타난다. (관능평가)
회황 : 灰黃 - 색택이 어둡고 짙은 회색이 보인다.(관능평가)
회혼례 : 回昏禮 - 혼인한지 60년이 되는 혼인일에 자녀들이 잔치를 베풀어 드리는 것
따로 회혼랑郞, 회혼부婦 라고 해도 적합하다.
휘자 : 諱字 - 돌아가신 어른의 생전의 이름 혹은 사후에 높은 사람에게 지어 올린이름
휘종 : 徽宗 - 北宋 말의 8대 皇帝. 이름은 趙佶(1082-1135년), 6대 神宗 욱의 11子
재위 15년간(1100-1125년) 6개의 연호사용, 대관은 4년간(1107-1110년) 사용, 이시기
에 '大觀茶論'을 썼다. 그는 書畵를 중심으로 서법, 화조, 시사에 능해 수금체&amp;#30185;金體
라는 서체창안, 도교에 몰입하는 등 정사에 소홀해 패망의 길-금이 침입 사천 성도
가 함락되자-欽宗에게 양위 했으나 결국 3천여명의 포로와 금에 잡혀가 1135년 오
국성(지금의 흑룡강 의란)에서 沒했다.
흑차 : 黑茶 - 6대차류의 하나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후발효차
매미 : 매味 - 곰팡이 맛과 냄새
매우 : 梅雨 - 매실이 노랗게 익는 늦은 봄이나 초여름에 내리는 비. 맑으면서 희다.
샘물이 없으면 빗물을 쓰는데, 가을비가 가장 좋다. 차면서 희다. 그다음이 梅雨다
모차 : 毛茶 - 2차 가공을 하기위해 1차 공정을 마친 차
살청기 : 殺靑機 - 찻잎 자체 효소 파괴를 위해 열을 가해 숨죽이기 하는 기계
소엽용수 : 小葉榕樹 - 뽕나무과의 열대산 상록 교목
악퇴 : 渥堆 - 젖은 찻잎을 쌓아두고 발효를 시키는 과정
고수차 : 古樹茶 - 옛날 사람이 심고 개량하고 선발 육종한 차나무
농약이나 비료를 살포하지 않고, 풀도 뽑지 않고, 가지치기를 하지 않은 차나무
맛은 향이 은은하며 특별한 자극 없이 조화롭다
대지차 : 臺地茶 - 꺾꽂이나 휘묻이 등 무성생식으로 번식시키고 인공적으로 키를
작게 키우며 손을 많이 써서 관리하는 현대 다원차(茶園茶)를 말한다
맛은 쓰고 떫은 맛이 강하고, 향기도 강하며, 입이나 목에서 강한 자극이 느껴진다
야생차 : 野生茶 - 하나님이 주신 자연에서 자라온 차수 품종, 야방차
전세계 47개 종류, 3개 변종이 있는데 이중 중국 운남에 35개 종류, 3개 변종이 있다
3개 중에 대엽종과 중소엽종 차도 있다.
맛은 비리고 시큼해 좋아할 수 없는 맛이다.
원주형 : 圓珠形 - 찻잎이 둥글게 말려진 형태
유념기 : 유捻機 - 찻잎 비비기 작업용 기계
육청 : 六淸 - 여섯가지 음료. 물水, 장漿, 단술醴, 양凉, 의醫, 이를 말한다.
음건 : 陰乾 - 찻잎을 실내에서 건조시킴
이조기 : 理條機 - 찻잎의 유념이나 형태를 만들어주는 기계
작설형 : 雀舌形 - 완성된 차의 외형이 참새 혓바닥과 같은 모양
장상 : 裝箱 - 차를 부스러지지 않게 잘 보존하기위해 상자에 넣는 것
대나무상자, 종이상자, 나무상자 등
조형 : 條形 - 찻잎의 형태가 나무 가지처럼 자연스럽게 휘거나 길게 뻗어진 형태
직조형 : 直條形 - 찻잎이 나무 가지처럼 곧게 뻗은 형태
찰화형 : 札花形 - 꽃송이를 말려 놓은 형태
침형 : 針形 - 찻잎이 침처럼 가늘고 곧게뻗은 형태
카테킨(친) : Catechin - 차의 화학적인 성분으로 떫은 맛을 내는 성분 중의 한 가지
탄량 : 탄방, 채엽한 찻잎을 그늘진 곳에 펼쳐서 찻잎의 수분을 말리는 과정
편차 : 片茶 - 쪄서 가루로 제조한 차. 남당의 북원에서 비롯됨
편형 : 扁形 - 찻잎 외형이 납작하면서 편평한 모양
편형 : 片形 - 찻잎이 조각마다 납작하게 말린 형태
폐 : 폐 - 시루 밑에 까는 발
홍건기 : 烘乾機 - 찻잎 건조작업 기계
홍배 : 烘培 - 건조과정을 마친 차를 다시 약한 불에서 오랜시간 동안 서서히 건조하
면서 차의 향기를 북돋아 주는 과정
차관 : 茶罐 : 다관 - 찻물을 달이는 그릇, 차를 끓여 담는 그릇
명 : 茗 - 차의 별명, 차싹 명
명차 : 茗茶 - 차싹으로 만든 차
찻감 : (찯깜) - 차를 만들 재료
찻값 : (찯깝)
차건 : 茶巾 : 다건 - 마른 행주. 예전엔 성긴 베로 만들었다. 수오(受汚)
차기 : 茶器 - 茶諸具
차나무 :
차단체 ; 茶團體 - 차인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결성한 모임, 사단법인체 등.
1970년대 효당 최범술 선생의 근거지였던 진주를 중심으로 '차인회'가 발족한 것을
시작으로 1977년 '한국다도회' 결성, 1979. 2. 1 '한국차인회' 즉 (사)한국차인연합회
가 창립 출범하여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기 시작해 2009년 현재 400여개 차단체에
차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점차 두터워져 500만명에 이르고 있다.
차도 : 茶道 : 다도 - 차를 달여 손님에게 대접하거나 마실 때의 예법
차례 : 茶禮 : 차 의례, 낮에 지내는 제사, 명절이나 조상숭배의 뜻으로 차를 올림
다례 : 茶禮 : 형식과 예를 갖추어 의식행사에 올리는 차 행위
제례차 : 祭禮茶
차마 : 茶磨 : 다마 - 분쇄한 차를 곱게 가는 도구
차연 : 茶연(맷돌연) : 다연 - 은이나 철로 만든 차를 곱게 가는 도구
차마고도 : 茶馬古道 - 1990년대 초에 생긴 길 이름
운남, 사천, 티베트의 고도를 학자들이 답사하다 이 지역에 문화의 교류와 통합을
가져오는 길이 있음을 발견 이 길을 '차마고도'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전에는 이 길을 '남방 육상 실크로드'라고 불렀다.
칠조비각 : 漆雕秘閣 - 옻칠한 잔 받침대를 의인화한 이름.
-차마시는데 필요한 16가지 기구들- (준생팔전)
상상 : 商象 - 찻물을 끓이는 옛날 돌솥
귀결 : 歸潔 - 대나무로 만든 병닦는 솔
분영 : 分盈 - 물의 양을 가늠하는 국자
체화 : 遞火 - 불씨를 옮기는 큰 구리 기구
강홍 : 降紅 - 불씨를 모으는 구리 부젓가락
집권 : 執權 - 차의 양을 다는 저울.(한 국자에 물 2근, 차 1냥을 탄다)
풍 : 團風 - 장식하지 않은 대부채. 불을 부친다.
진 : 녹塵 - 차를 씻는 세제
정비 : 靜沸 - 대나무 시렁. 다경에 나오는 지복支腹이다.
춘 : 注春 - 찻물을 붓는 도자기 병
운봉 : 運鋒 - 광리을 깎고 자르는 과도果刀
감둔 : 甘鈍 - 나무 받침대
철향 : 철香 - 차를 마시는 도자기 찻잔
요운 : 요雲 - 과일을 집는 대나무 찻숟가락
납경 : 納敬 - 잔을 담는 대나무 주머니
수오 : 受汚 - 잔을 닦는 차 수건
-다기들을 모두 수납할 때 필요한 7가지- (준생팔전)
고절군 : 苦節君 - 차를 달이는 화로. 찻물을 끓인다. 여행자가 챙긴다.
건성 : 建城 - 대나무 껍질로 만든 상자. 차를 담아 높은 곳에 보관한다.
운둔 : 雲屯 - 도자기 병. 샘물을 뜨거나 찻물을 끓일 때 쓴다.
오부 : 烏府 - 대나무 바구니. 숯을 담아두고 찻물을 끓일 때 사용한다.
수조 : 水曹 - 자기 항아리와 질동이. 샘물을 담았다가 차솥에 붓는다.
기국 : 器局 - 대나무로 네모나게 짠 상자. 다구 보관에 쓴다.
외유품사 : 外有品司 - 대나무로 짠 둥글고 길쭉한 提함. 각종 찻잎을 담아 차를 달일
 때를 대비한다.
차각 : 茶각
차갈색 : 다갈색 : 茶褐色 - 조금 검은 빛을 띤 붉고 누른 빛깔
차객 : 茶客 : 다객 - 賓客, 茶賓, 烹客- 차손님
차객 : 다객 : 茶客 - 차마시러 온 손님, 차를 마시는 사람, 차를 사고 파는 상인
차경 : 다경 : 茶經 - 당나라 때 육우가 지은 책(차의 성질, 형상, 산지, 채취, 제조)
차과 : 다과 : 茶果, 茶菓 - 차와 과일, 과자
차과 : 다과 : 茶課 - 차에 매기는 세금
차관 : 다관 : 茶罐 - 차를 우려내는 주전자, 차우림 그릇
차구 : 다구 : 茶臼 - 찻잎을 빻는 절구
차구 : 다구 : 茶具 - 차를 달여(우려) 마시는데 사용되는 기구들
차금 : 다금 : 茶禁 - 국가가 차를 전매하기 위하여 사적인 매매를 금한 명령
차기 : 다기 : 茶旗 - 차나무의 잎이 자라서 펼쳐진 모양(명기茗旗)
차기 : 다기 : 茶器 - 차를 끓여 마시는데 쓰는 그릇
차담 : 다담 : 茶啖 -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차린 다과
차담회 : 다담회 : 茶談會 - 차인들이 모여 차를 마시며 나누는 정담
차도 : 다도 : 茶道 - 차를 마시며 차문화를 일으키고 풍류를 즐기며 심신을 수련
하며 스스로 경지에 이르고자 가는 길
차로 : 다로 : 茶爐 - 차를 끓이거나 차를 달일 물을 끓이는 데 쓰는 풍로나 화로
차료 : 다료 : 茶寮 - 사찰 안의 차마시는 곳
차룡 : 다룡 : 茶龍 - 생차를 넣어두는 대바구니
차리 : 다리 : 茶里 - 차의 생산지, 재배지
차모 : 다모 ; 茶母 - 고려시대 이후 중앙의 여러 관아에 예속된 찻일을 맡은 종
차명 : 다명 : 茶茗 - 차의 범칭. 茶는 일찍 채취한 것, 茗은 늦게 채취한 것을 가리킴
차마시기 : 마시는 사람이 단번에 들이켜 다 마셔버리면 차 맛을 음미할 겨를조차
없게 되니 비속하기 짝이 없다.
찻물 : (찬물) - 차를 달인 물. 달일 물. 물은 고여 있는 것을 피한다.
물의 품등은 산 물이 상등이고, 강물이 중등이며, 우물물이 하등이다.
맛이 없는 것이 참된 물이다. 우물물은 차가운 것을 상등품으로 삼는다.
물은 강물과 우물물을 불문하고 반드시 신선한 것을 귀하게 여긴다.
물 끓이는 불 : 차는 모름지기 약한 불로 덖고 센 불로 달여야 한다.
찻물은 숯을 사용한다. 活火는 숯에 불꽃이 피는 것을 말한다.
차의 성패는 물 끓음의 청탁에 달렸으니, 물 끓음은 연기를 가장 싫어한다.
물 끓음은 물고기 눈 같은 물방울이 생기면서 가느다랗게 소리가 나는 때가 첫째
끓음이고, 솥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슬방울이 연이어 샘솟는 때가 둘째 끓음이다.
팔팔 끓는 때가 셋째 끓음이다(老湯) 더 이상 끓으면 물이 쇠어 마실 수가 없다.
'자천소품'에 오직 花만 있고 衣는 없을 때가 차를 우리는 시점이다.
물이끓을 때 가는 거품이 물 위에 떠서 대추꽃처럼 있는 상태가 花이고,
물 표면에 가득 덮힌 상태가 衣이다.
차박사 : 다박사 : 茶博士 -차를 잘 만드는 사람을 일컬음
차반 ; 다반 ; 茶飯 - 음식. 음식을 먹고 마심
차반사 ; 다반사 : 茶飯事 -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 보통의 예사로운 일
찻방 : (찯빵) 茶房
차방내시 : 茶房內侍 - 왕실에서 차를 맡은 내시
차배(기) : 다배(기) : 茶焙(機) - 차를 건조해 말림. 차를 말릴 때 쓰는 건조기
차법 : 다법 : 茶法 - 당, 송대 행해진 차에 세금을 매기거나 전매하는 등의 제도
차보 : 다보 : 茶譜 - 차의 계보. 모문석의 저서에 다보가 있다.
차사 : 다사 : 茶祀 - 차로 제사함. 차례茶禮
차사 : 다사 : 茶事 - 차를 만드는 전반적인 일. 차에 관한 사무적인 일
차사 : 茶舍 : 다사 - 차헌 (茶軒)- 茶寧
차색 : 다색 : 茶色 - 우려낸 찻물의 빛깔. 차의 품질이나 빛깔. 궁중에서 차를 달여
대접하는 소임, 그 일을 하는 사람
차선 : 다선 ; 茶선 - 가루로된 말차를 거품낼(격불) 때 쓰는 대나무 솔
차선 : 다선 : 茶禪 - 차마시며 수행함
차선일미 : 다선일미 ; 茶禪一味 - 차와 선은 한 맛이란 뜻으로 같은 경지를 말함
차순 : 다순 : 茶荀 - 차의 눈
찻 숟가락 : (찯쑫까락), 茶匙, 준말- (찯쑫깔)
차시 : 茶匙 : - 찻숟가락, 찻술, 茶선, 湯선, 匙筋
차시 : 다시 : 茶時 - 조선시대 사헌부에서 관원들이 매일 한 차례 차를 마시며
회석했던 시간
차식 : 다식 : 茶食 - 송화가루, 깨, 콩 등을 조청이나 꿀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낸 음식. 떡, 과자, 빵 따위의 간식물
차실 : 茶室 - 茶房, 客室
차아 : 茶芽 - 차나무의 싹
차애 : 茶애 - 다구의 하나
차연 : 다연 : 茶宴 - 차를 마시며 즐기는 모임.(茗宴)
차연 : 다연 : 茶烟, 茶煙 - 차를 끓이는 연기
차옹 : 茶翁 - 차경茶經의 저자 육우를 말함
차완 : 茶碗 : 다완 - 찻사발, 찻종의 한가지, 말차사발
차원 : 다원 : 茶園 - 차를 재배하는 밭
의식차 : 儀式茶 - 의례차
생활차 : 生活茶 - 일반생활차 : 대중차대접
차인회 : 茶人會 : 다인회 - 차동호인조직- 茶會, 茗人會
차회 : 茶會 : 다회 - 다화, 차담회- 茶宴
차인 : 茶人 : 다인 - 차사(茶士)- 茶侶, 茶好事家
차인 : 茶引 - 상인에게 관아에서 발급해 주던 매매 허가증. 차세 납부 영수증.
운반 허가증
차적 : 다적 : 茶積 - 차를 너무 좋아해 생기는 병
차정 : 다정 : 茶亭 - 다구를 올려놓는 탁자
차정자 : 다정자 : 茶亭子 - 다과를 올려놓는 탁자
차죽 : 다죽 : 茶粥 - 찻잎을 달인 물로 끓인 죽
차창 : 다창 : 茶槍 - 차나무의 어린 싹. 뾰족한 상태. 조금 더 자라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기旗라 함
차천 : 다천 : 茶天 - 차 만들기 좋은 날씨
차천 : 다천 : 茶천 - 차의 범칭
차탁 : 다탁 : 茶托 - 찻잔을 받치는 접시
차탕 : 다탕 : 茶湯 - 차를 달인 물, 찻물, 끓인 물
차향 : 다향 : 茶香 - 차를 달였을 때 나는 향기
차호 : 다호 : 茶戶 - 차를 재배하는 농가. 차를 사고파는 상가
차화 : 다화 : 茶花 - 차꽃. 차실에 꽂는 꽃장식. 山茶花
화 : 다화 : 茶話 - 차를 마시며 나누는 정담
차회 : 다회 : 茶會 - 차인들의 모임. 茶果會
팽주 : 烹主 - 공차자(供茶者)- 茶甬
주빈 : 主賓 - 상객, 상빈
상석 : 上席 - 主賓席, 座上, 上座
석정 : 石鼎 - 돌솥, 가마솥(釜), 石釜, 金鼎, 湯鼎, 銑甁, 銑, 당, 石조, 鼎당,
靑石鼎, 무쇠솥, 곱돌솥, 약탕관, 돌탕관, 다갈솥, 옹달솥, 茶조, 錫瓢, 茶錠, 藥鼎
석지 : 石池 - 물항아리, 물병, 물통, 고려청자 물항아리
수지 : 水指 - 물항아리, 물단지, 청수기
앵통 : 櫻筒 - 다구통
죽곶 : 竹串 - 대곶, 차꿰미, 대꼬챙이
찻그릇 : 구, 玉구, 椀완, 花甕, 花瓷, 盃, 鍾, 盞, 甕구, 瓷구, 金花鳥盞, 湯盞, 蓋茶杯
圓筒碗, 椀, 碗, 茶鍾, 瓷, 杯, 茶甫兒, 瓢, 花구, 鳥구, 銀구(중발구)
과자기 : 菓子器 - 과자그릇, 다식기
박차기 : 薄茶器 : 박다기 - 차통, 分茶盒
병 : 甁 - 漆甁, 茶甁, 鐵甁, 銀甁, 錫甁 筋甁
병표 : 柄杓 - 찻구기
차병 : 茶甁 - 차를 넣고 끓이는 병, 湯壺, 茗壺, 砂壺, 罐, 철탕관, 茶罐, 茶注, 注春
茶壺
차선 : 茶선(솥솔선) : 다선 - 찻솔
차입 : 茶入 - 가루차통, 차통
차표 : 茶杓 - 찻숟가락
건수 : 建水 - 퇴수기, 버림사발,
퇴수기 - 개수통, 建水器, 下水, 水滴, 水覆, 水盂
포차 : 泡茶 - 차를 거품내며 우리는 방법을 말함
표주박 : 표자 : 瓢 : 犧杓 - 박을 켜서 만들거나 나무를 깎아서 만들기도 한다.
희(犧)는 나무로 만든 기구이다.
풍로 : 화로 : 茶조(부뚜막조) : 石조 : 질다조 : 화덕
石池조, 塼爐, 地爐, 竹爐, 銀爐, 茶爐, 木爐, 爐, 丹조, 藥爐, 金爐, 瓦爐, 土爐
구리와 쇠로 주조하였고, 진흙으로도 만들었다.
향로 : 香爐 - 焚香器
향합 : 香盒 - 香材器, 香材盒
향 : 香 - 焚香材, 木香
차장 : (찯짱) 茶藏 - 茶器藏
차화 : 茶花 : 다화 - 茶室用花, 茗花
차담상 : 茶啖床 : 다담상 - 茶室交子床
찻상 : 茶床 : 다상 - 茶中槃
차반 : 茶槃, 盤 : 다반 - 조그마한 쟁반, 찻그릇을 담는 예반, 차종반, 과반, 다상과
차상보 : 茶床褓, 床褓
차수호 : 茶水壺, 茶水器 - 물항아리
찻물의 5가지 조건 - 맑고 淸, 살아 있고 活, 가볍고 輕, 달고 甘, 차고 깨끗한 물 열.
차는 물의 신神이고, 물은 차의 체體이다. 참된 근원의 물은 맛이 없으며, 참된
물은 향기가 없다. 차 맛의 청탁淸濁은 전적으로 수질의 고하에 달려 있다.
차포 : 茶布 : 다포 - 麻布巾
차로 : 茶爐 : 다로 - 茶火爐, 茶湯爐, 차를 달이는데 쓰는 화로
화시 : 火匙 - 불수저, 부손
화저 : 火箸 - 부젓가락
화후 : 火候 - 불 가늠
차정 : 茶鼎 : 다정 - 茶釜, 茶鎬
탕관 : 湯罐 - 茶水煎子, 茶水湯罐
차포자 : 茶匏子 : 다포자 - 차물바가지
숙수 : 熟水 - 茶湯水
숙우 : 熟盂 - 귀사발, 귀때그릇, 乳鉢. 익힌 물을 저장하는 그릇이다.
절구 : 돌절구, 石臼, 茶臼, 藥杵
차호 : 茶壺 : 다호 - 茶器
차칙 : 茶則 : 다칙 - 차측
차통 : 茶桶 - 茶入茶器
차통 : 茶筒 - 銀盒, 櫃, 茶盒, 주석
차시 : 茶匙 : 다시 - 차숟가락. 황금, 은, 쇠, 도자기, 대나무, 나무 등으로 만든다.
차관 : 茶罐 : 다관 - 차호, 烹茶具
자사호 : 紫砂壺 - 발효차용 차호
주완 : 注碗 - 注碗子, 湯水식힘그릇
탕변 : 湯辨 - 끓는 물을 분별하는 방법 1.형태 분별법 2.소리 분별법 3.기운 분별법
탕용노눈 : 湯用老嫩 - 끓인 물. 차를 만드는 탕은 부드러운 물(눈수)을 쓰고, 너무
끓인 물(노수)는 쓰지 않는다. 이에 탕은 모름지기 순숙이라야 한다.
투차 : 投茶 - 茶罐茶入, 다관에차넣기
상투 : 上投 - 湯水後茶, 여름에 차넣기, 끓인 물을 먼저 붓고 찻잎을 뒤에 넣는 것
중투 : 中投 - 半湯水後茶後湯水, 봄 가을에 차넣기, 끓인 물을 반 붓고 차를 넣은 뒤
다시 끓인 물을 가득 붓는 것
하투 : 下投 - 茶後湯水, 겨울에 차넣기, 찻잎을 먼저 넣고 끓인 물을 다음에 붓는 것
전차 : 煎茶 : 전다 - 烹茶, 차달이기, 煮茶
찻잔 : (찯짠) 茶盞 : 다잔 - 찻종, 茶杯, 盃
찻종 : (찯쫑) 茶鐘 - 찻종지, 蓋付茶盞, 뚜껑있는찻잔
찻주전자 : (찯쭈전자) 酒煎子
찻집 : (찯찝) 茶房
차발 : 茶鉢 - 獻茶用茶盞, 茶周鉢
차탁 : 茶托 - 찻잔받침, , 잔받침, 茶盞托子, 茶台, 托槃, 茶盞台, 찻잔을 받치는 쟁반
차탁 : 茶卓 - 차를 마실 때 찻그릇을 벌여놓는 탁자
헌차 : 獻茶 : 헌다 - 祭禮供茶
공차 : 供茶 : 공다 - 佛茶供養
진차 : 晋茶 : 진다 - 進茶, 年長者 進茶
차공 : 茶供 : 다공 - 茶待接
차향 : 茶香 : 다향 - 茶香氣, 茶香熏
진향 : 眞香 - 茶香 秀, 最上香, 곡우 전에 차신이 고루 갖추어진 것
난향 : 蘭香 - 茶香 優, 上香, 불김이 고루 알맞은 것
청향 : 淸香 - 茶香 良, 中香, 설지도 않고 너무 익지도 않은 것
순향 : 純香 - 茶香 可, 下香, 안팎이 똑같은 것
또한 함향含香, 누향漏香, 부향浮香, 간향間香 등은 모두 바르지 못한 향기다.
음차 : 吟茶 : 음다 - 飮味茶, 茶飮味
끽차 : 喫茶 : 끽다 - 飮茶
긴압 : 緊壓 -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차의 형태를 만드는 과정
차저 : 茶箸 : 다저 - 茶床箸, 차젓가락
차과기 : 茶果器 : 다과기 - 菓子器, 茶器
차병 : 茶餠 : 다병 - 茗餠, 차떡
차식 : 茶食 : 다식 - 油密菓, 茶食菓
차자 ; 茶子 : 다자 - 菓子, 茶菓子
차과 : 茶果 : 다과 - 果實
나연 : 羅연(맷돌연) - 방아
차방 : 茶房 : 다방 - 차류(茶類), 우유 등 주류 이외의 음료수를 판매하는 영업소,
    <역> 조선 때 궁중에서 약을 조제하여 마치던 부서 '약방'의 전 이름
다과 : 茶菓 - 차와 과자
다과회 : 茶菓會 - 차와 과자 따위를 베푸는 간단한 모임
다관 : 茶館 : 차관 - 청나라 때 지방도시에 있었던 찻집
다루 : 茶樓 : 차루 - 청나라 때 도처에 생긴 찻집
다라 : 茶羅 - 찻체
차모 : 茶母 : 다모 - <역> 지난날 관청의 식모 노릇을 하던 천비
차시 : 茶市 : 다시 - 차를 무역하는 시장
차시 : 茶時 : 다시 - 사헌부의 관원들이 날마다 한번씩 모여 차를 마시며 일을 논의
하던 것
야다시 : 夜茶時 - 고려시대부터 감찰어사 사이에서 내려오는 좋은 의미의 다시 대신
권력남용으로 변질된 일. 불법을 행한자들을 감찰들이 야다시의 준엄한 규찰행위
로 무고한 사람을 불시에 공격하는 행위로 와전된 것.
차식 : 茶食 : 다식 - 유밀과의 하나 (녹말,송화,승검초,황밤,검은깨 등의 가루를 꿀
이나 조청에 섞어 다식판에 박아 냄)
다식과 : 茶食菓 - 다식판 보다 큰 판에 박아서 기름에 지진 약과
다식판 : 茶食板 - 다식을 박아 내는 틀
다정 : 茶亭 : 차정 - 茶亭子, 간단한 다방
다정자 : 茶亭子 - 다구를 벌여 놓는 탁자, 茶亭
분다합 : 分茶盒 - 차합, 차통
차화 : 茶話 : 다화 - 茶席談話, 茶談
차재 : 茶滓 : 다재 - 차찌꺼기, 茶澱, 차앙금
자호 : 자壺 - 차찌꺼기器, 茶자器
차전 : 茶箭 : 다전 - 차솔, 差선, 말차용箭
개대자 : 蓋台子 - 뚜껑받침, 台子
차건 : 茶巾 : 다건 - 차수건, 차행주, 茶布, 행주(베, 무명, 비단, 면)
차상보 : 상보 - 紅紗巾
차통 : 茶筒 : 茶桶
독차 : 讀茶 - 茶讀, 茶占
차구 : 茶具 : 다구 - 茗具
차기 : 茶器 : 다기 - 茗器
차도 : 茶道 : 다도 - 茶事精神
차경 : 茶經 : 다경 - 陸羽茶記
동차송 : 東茶頌 : 동다송 - 張意恂茶記
차신전 : 茶神傳 : 다신전 - 茶記
동차기 : 東茶記 : 동다기 - 丁茶山茶記
차신기 : 茶信記 : 다신기 - 丁茶山後輩茶契案
차연 : 茶宴 : 다연 - 茶會, 茶話會
차시 : 茶時 : 다시 - 一定茶集會
명연 : 茗宴 - 茶宴, 茶事宴席
차의 : 茶儀 : 다의 - 茶儀式, 茶事
차명 : 茶茗 : 다명 - 茶別名
명차 : 茗茶 : 명다 - 茗別名
모차 : 毛茶 - 보이차의 원료가 되는 차로 2차 가공을 하기위해 1차 공정을 마친 차
와비 : 日 - 고요하고 쓸쓸하다는 의미, 겸손 검소하고 自得이라는 뜻이 있다.
왜관 : 조선시대 일본인의 입국 및 교역을 위하여 설치했던 장소. 처음엔 경상도
연해안을 자유롭게 이용했으나 폐해가 커 1407년(태종 7년) 장소를 제한 통제함
팽다 : 烹茶 - 茶事
자차 : 煮茶 : 자다 - 茶事, 茶供事
자명 : 煮茗 - 茶事, 茶供事
헌다례 : 獻茶禮 - 茶禮
차사 : 茶祀 : 다사 - 祭禮
명사 : 茗祀 - 茶祀
명화 : 茗話 - 茶話
차담 : 茶啖 : 다담 - 손님대접을 위해 내놓는 다과 따위
차고 : 茶鼓 : 다고
차화회 : 茶話會 : 다화회 - 茶會
차과회 : 茶菓會 : 다과회 - 茶話會
차탕회 : 茶湯會 : 다탕회 - 茶會
차신계 : 茶信契 ; 다신계 - 丁茶山茶人會
차사 : 茶士 : 다사 - 茶人, 茶侶
차백 : 茶伯 : 다백 - 先覺茶人
차선 : 茶禪 : 다선 - 高僧
다산 : 茶山 - 丁若鏞의 別號
다선 : 茶仙 - 茶神
다조 : 茶조 - 차부뚜막
다화 : 茶話 : 차화 - 차를 마시며 하는 이야기
다화회 : 茶話會 : 차화회 - 차를 마시며 하는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
차박사 : 茶博士 : 다박사 - 茶神陸羽別名
중국 宋나라 때 차가 보편화 되어 술집에서 차 시중을 드는 사람을 말한다.
차각 : 茶角 : 다각 - 茶供者 차를 끓이는 소임자
차적 : 茶積 : 다적 - 茶任者
차려 : 茶侶 : 다려 - 茶同好人
차사 : 茶師 : 다사 - 茶製造師
차신 : 茶神 : 다신 - 茶人敬稱, 中國陸羽別號
팽객 : 烹客 - 茶客
진다 : 進茶 - 茶供
음차 : 飮茶 - 喫茶, 吟茶
차사마 : 茶司馬 : 다사마 - 中宮名
명막 : 茗邈
차조 : 茶祖 : 다조 - 中육우별호
차암 : 茶菴 : 다암 - 茶菴子
차헌 : 茶軒 : 다헌 - 茶齋, 茶話會所
차재 : 茶齋 : 다재 - 茶舍, 茶會所
차정 : 茶亭 : 다정 - 茶亭子
차루 : 茶樓 : 다루 - 茶肆, 茶樓閣
차사 : 茶肆 : 다사 - 茶樓
차방 : 茶房 : 다방 - 茶室
차향 : 茶鄕 : 다향 - 茶原地
차시 : 茶市 : 다시 - 茶市場
차점 : 茶店 : 다점 - 茶商, 商店
차호 : 茶戶 : 다호 - 茶店
차료 : 茶寮 : 다료 - 喫茶店
명방 : 茗坊 - 茶肆
명사 : 茗肆 - 茶肆
차방 : 茶坊 : 다방 - 茶舍
차옥 : 茶屋 : 다옥 - 茶小屋, 茶舍
차배 : 茶焙 : 다배 - 製茶用機, 乾燥器
차선 : 茶船 : 다선 - 茶槃
차조 : 茶槽 : 다조 - 차구유
차대 : 茶대(방아대) : 다대 - 차맷돌, 맷돌
차구 : 茶臼 : 다구 - 茶槽, 차절구
차구 : 茶具 : 다구 - 茶諸具
차탁자 : 茶卓子 - 茶床
차대 : 茶台 - 茶卓
차표 : 茶杓 : 다표 - 茶抱子, 차자루
차준 : 茶준(술통준) : 다준
차선 : 茶선(솥솔선) : 다선 - 茶箭
차당 : 茶당(죄인자물쇠당) : 다당 - 茶釜, 茶昇
차마 : 茶磨 : 다마 - 茶대
차낭 : 茶囊 : 다낭 - 茶袋, 차부대
차병 : 茶甁 : 다병 - 茶桶, 차통
차부 : 茶釜 : 다부 - 茶昇
차과 : 茶鍋 : 다과 - 茶釜
차식판 : 茶食板 : 다식판 - 茶菓器
차탁자 : 茶托子 - 茶托, 托子
차정자 : 茶亭子 : 다정자
차제구 : 茶諸具 : 다제구 - 茶具全般
명구 : 茗具 - 茶具
명완 : 茗완(은바리완) - 茶盞
명완 : 茗碗 - 茶碗
명승 : 茗昇 - 茶昇
차의 : 茶衣 : 다의 - 衣裳
명기 : 茗器 - 茶器
가원 : 家元 : 이에모토 - 日 예능에서 각 유파의 시조 이래의 가장을 말함. 가원은 문
하생에게 예능을 전수하게 된다. 문하생은 제자로서의 의무를 서약해야 한다.
茶道의 가원은 각 등급의 제자에게 師範의 면허발행권과 敎授權을 수여한다.
일종의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된 茶道의 계승제도이다.
사비 - 日 오래된 것에서 느껴지는 고요와 쓸쓸함에 무상한 아름다움에 대한 애정을
의미함
와비 - 日 한적한 가운데 느끼는 정취, 소박하고 차분한 멋, 혹은 閑居하는 상태를
아름답다고 여기는 미적 감각을 지칭하는 말. 千利休가 茶道에 구체적으로 표현
하며 큰 호응 얻음. 호화 스러움과 사치를 거부하고 겸양과 검소함으로 自得하
게 된다는 日本茶道 의식의 기준이 됨. - 조선 찻사발의 소박한 비대칭적 형태와
유약이나 문양 등의 자연미가 와비사비의 미학과 철학을 고조 시켰다.
상서 : 箱書 - 보관상자. 오동나무 등으로 만들어 표면 또는 이면에 작품 명칭이나
작가명 등을 붓글씨로 쓴 것
발화 : 發花 - 온도 28도C, 습도 75-85% 에서 15일 정도 미생물의 번식을 도와 차를
숙성시키는 것
사선 : 篩選 - 기계를 이용하여 찻잎을 크기별로 구분하는 과정
살청 : 殺靑 - 찻잎에 열을 가해 효소가 활성화 하지 못하도록 하여 더 이상의 산화
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작업하는 과정
탄방 : 탄放 - 채엽한 찻잎을 그대로 방치해 차의 떫은 맛을 내는 폴리페놀 성분의
산화 작용을 유도하면서 수분을 말리는 과정. = 탄량, 양청
선별 : 選別 - 완성된 차에서 찌꺼기나 줄기를 골라내는 과정
성차 : 醒茶 - 오래된 노차를 우릴 때 처음 호에 뜨거운 물을 따르는 것
차 깨우기 - 차를 우리기 전에 자기나 자사용기에 보관해 차 맛을 살린다.
식잔포 : 拭盞布 - 茶布
차술 : 茶戌 : 다술 - 茶匙, 차숟가락
차주 : 茶舟 : 다주 - 茶船
차검 : 茶鈐 : 다검 - 차자물쇠
차승 : 茶僧 : 다승
차매 : 茶매 : 다매 - 차절구
차병표 : 茶柄杓 : 다병표 - 茶杓子
차파 : 茶婆 : 다파 - 茶供者
차모 : 茶母 : 다모 - 供茶者
차연 : 茶煙 : 다연 - 煙氣
차전 : 茶澱 : 다전 - 茶沈
차당주 : 茶當酒 : 다당주 - 酒代茶
차탕수 : 茶湯水 - 湯水
차주 : 茶柱 : 다주 - 茶占
명즙 : 茗汁 - 茶汁
명연 : 茗煙 - 茶煙
명작 : 茗酌 - 飮茶
명음 : 茗飮 - 飮茶
차거마 : 茶距摩 : 다거마 - 香
차수 : 茶水 : 다수 - 水, 찻물
명향 : 茗香 - 茶香
차선 : 茶鮮 : 다선 - 茶味, 茶新鮮味
차위 : 茶衛 : 다위 - 法度
차미 : 茶味 : 다미 - 차맛
차성 : 茶性 : 다성 - 品性, 차의 性品
묵차 : 默茶 - 茶供, 茶供者
차법 : 茶法 : 다법 - 喫茶之法
차탕 : 茶湯 : 다탕 - 投湯水, 찻물, 차, 과자, 과일 등의 간단한 음식
차강 : 茶綱 : 다강 - 茶葉
차매 : 茶매 : 다매 - 茶煙
차각 : 茶각(쪽널다리각,교) : 茶角 - 茶供者
차즙 : 茶汁 : 다즙 - 茗汁
차죽 : 茶粥 : 다죽 - 茗粥
차소 : 茶素 : 다소 - 加배精, 카페인
병차 : 餠茶 - 茶餠茶葉, 떡차
명과 : 茗果 - 果實
명죽 : 茗粥 - 茶粥
명미 : 茗미(죽미) - 茶粥
명발 : 茗발 - 茶餠
차과 : 茶菓 : 다과 - 茶菓子
차정 : 茶精 : 다정 - 茶素, 카페인
명채 : 茗菜 - 茶菜, 차나물
차약 : 茶藥 : 다약 - 茶藥本草
차청 : 茶請 : 다청 - 茶食
차경 : 茶經 : 다경 - 陸羽의 茶之經書
차과 : 茶課 : 다과 - 茶稅, 차세금
차세 : 茶稅 : 다세 - 茶課稅
차사 : 茶史 : 다사 - 茶歷史
차전 : 茶典 : 다전 - 茶典籍, 차사전
동차송 : 東茶頌 : 동다송 - 草衣 張意恂 茶書
차신전 : 茶神傳 : 다신전 - 茶書
차록 : 茶錄 : 다록 - 中 茶書
차화여 : 茶花女 : 다화여 - 中 書名
차병아 : 茶甁兒 : 다병아 - 中 詞
차해 : 茶海 : 다해 - 中 書名
차차 : 茶茶 : 다다 - 中 詩
차순 : 茶筍 : 다순 - 中 詩
명하 : 茗하 - 中 書名
차능 : 茶陵 : 다능 - 中 地名
명소 : 茗疏 - 疏
양협명천 : 兩頰鳴泉 - 어금니 아래서 침이 솟고
설저명천 : 舌底鳴泉 - 혀 아래서 침이 솟는다
차유구난 : 茶有九難 ; 다유구난 - 茶九難
동차기 : 東茶記 : 동다기 - 茶記
차신기 : 茶神記 : 다신기 - 茶記
차금 : 茶禁 : 다금 - 茶禁令
차전 : 茶顚 : 다전 - 茶錄, 茶人
차조 : 茶조 : 다조 - 中 書名
차신 : 茶信 : 다신 - 丁茶山 후배 제자차회
차산집 : 茶山集 : 다산집 - 書名
차국 : 茶菊 : 다국 - 菊名
참흑 : 慘黑 : 차의 색이 밝지 못하고 탁하여 검은 것
전차 : 錢茶 : 전다 - 茶名, 돈차, 건조와 보관 및 휴대에 편하게 엽전 같이 가운데가
뚫린 모양의 떡차
자다법 : 煮茶法 - 차를 물에 넣어 끓여 마시는 법
전차 : 煎茶 : 전다 - 자다, 점다 모두를 뜻하는 포괄적 의미로 쓴다.
점다법 : 點茶法 - 가루차에 끓인 물을 부어 휘저어 마시는 법
팽다법 : 烹茶法 - 끓인 물에 잎차를 넣어 우려내 마시는 법
단차 : 團茶 - 茶名, 둥근차
작설차 : 雀舌茶 - 참새혀같은 어린잎차, 조취鳥嘴. 쇤 잎을 명설과 가천이라 함
일창일기 : 一槍一旗 - 창은 가지이고 기는 잎이다. 한 가지에 한 잎.
창 모양의 새순과 깃발모양의 잎을 가리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갓 움튼 차 싹.
세차 : 細茶 - 茶名, 初期茶
중차 : 中茶 - 茶名, 中期茶
납차 : 臘茶 - 茶名, 末期茶
말차 : 抹茶 - 茶名, 細粉茶, 가루차
분차 : 粉茶 - 茶名
차두 : 茶頭 - 악퇴시 밑바닥에 있는 차가 고온 고습으로 들러붙어 우려도 풀어지지
않는 차 덩어리
차매 : 茶梅 : 다매 - 植物名, 中 山茶之別名
산차 : 山茶 : 산다 - 植物名, 山香子
차원 : 茶園 : 다원 - 茶圃, 茶載培地, 차나무를 재배하는 밭
명원 : 茗園 - 茶園
차창 : 茶槍 : 다창 - 茶葉
차적 : 茶摘 : 다적 - 採茶, 茶葉採取
차점 : 茶店 : 다점 - 다방
배차 : 焙茶 - 茶名, 火入茶
녹차 : 綠茶 - 茶, 차
차포 : 茶圃 : 다포 - 茶園, 차밭
죽로차 : 竹露茶 - 茶名, 竹田載培茶
홍차 : 紅茶 - 茶名
유차 : 儒茶 - 茶名
차아 : 茶芽 : 다아 - 차싹
차기 : 茶旗 : 다기 - 茶葉
명화 : 茗花 - 茶花
명아 : 茗芽 - 雀舌茶葉
명가 : 茗柯 - 茶樹枝幹
명포 : 茗圃 - 茶圃, 차밭
명초 : 茗草 - 茶
명하 : 茗荷 - 茶名
명기 : 茗旗 - 茶旗
명수 : 茗樹 - 茶樹, 차나무
채엽 ; 采葉 - 제다를 하기전 가장 기본적인 순서인 찻잎을 따는 과정
채차 : 採茶 : 채다 - 茶摘, 차따기
차전 : 茶田 : 다전 - 茶圃, 차밭
정제 : 精製 - 1차 완성된 차를 원하는 등급으로 구분하거나 한 번 더 선별하는 과정
정차 : 精茶 : 정다 - 誠意茶
정치 : 靜置 - 찻잎을 방치해 식히는 과정
조선통신사 - 조선시대 때 일본과 교류 목적으로 파견한 사절. 일본에서 조선으로
파견하는 사절은 "日本國王使'라 하였다.
주청 : 做靑 - 오룡 제다과정에서 요청과 정치과정을 통틀어 주청이라고 함
주형 : 做形 - 기계로 찻잎의 모양을 만들어 주는 과정
고차 : 苦茶 - 茶名
곡화차 : 穀花茶 - 여름에 딴 차, 벼꽃 피는 시기에 딴 차
뇌소차 : 雷笑茶 - 茶名
용향차 : 茸香茶 - 茶名
자용차 : 紫茸茶 - 茶名
자영차 : 紫英茶 - 茶名
재건 : 再乾 - 건조된 찻잎을 한 번 더 건조하는 과정
용봉단차 : 龍鳳團茶 - 茶名
길상차 : 吉祥茶 - 茶名
설화차 : 雪花茶 - 茶名
운영차 : 雲映茶 - 茶名
쌍정차 : 雙井茶 - 茶名
일주차 : 日注茶 - 茶名
신차 : 新茶 - 茶名
초건 : 初乾 - 찻잎의 수분을 건조하는 1차적인 과정. = 초홍初烘,모화毛火,모홍毛烘
번퇴 : 飜堆 - 찻잎 뒤집기, 악퇴 즉 발효 때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반드시 뒤집어
줘야 한다. 뒤집을 때는 잘 풀어헤쳐서 뭉쳐 있거나 燒心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복배 : 復焙 - 찻잎의 수분을 말린다음 시장에 유통하기 전, 숯불이나 전기를 이용해
일정 온도에서 다시 한 번 더 건조 과정을 거치는 작업
소심 : 燒心 - 지나친 발효로 탄 것처럼 검고, 탄 냄새도 나는 상태
악퇴 : 渥堆 - 1차 가공된 모차를 쌓아놓고 적당량의 물을 뿌려 발효를 시키는 과정
일반적으로 10톤 정도의 毛茶에 고르게 물을 뿌린 후에 쌓고 麻布로 덮는다.
발효는 반드시 한번에 완성해야 찻물 색과 맛이 좋다.
양청 : 凉靑 - 찻잎을 그늘진 곳에서 시들리기를 하는 과정
옥화차 : 玉花茶 - 茶名
음화 : 음花 - 찻잎 속에 꽃의 향기가 스며들게하는 작업
 소배 : 素배 - 화차의 재료가 되는 찻잎
 요청 : 搖靑 - 바구니에 담은 찻잎을 가볍게 흔들어 주면서 발효를 진행시키는 과정
 주청 : 做靑 - 민북, 광동오룡 제다과정에서 요청과 정치과정을 통틀어 주청이라 한다.
낭청 : 浪靑 - 대만의 오룡차 제다과정의 요청(搖靑)방식
 유념 : 유念 - 세포막을 파괴하여 차가 잘 우러나도록 찻잎을 비비는 과정
 조색 : 條索 - 만들어진 찻잎의 단단하고 튼실한 정도
 쇄청 : 쇄靑 - 햇빛에서 시들리기를 하는 과정(폭청曝靑)
쇄건 : 쇄乾 - 햇빛에서 건조시키는 것
 위조 : 萎凋 - 찻잎을 시들게 하는 과정. 실외(햇빛), 실내로 나누어 구분한다.
교반 : 攪拌 - 실내 위조 과정에서 찻잎을 살짝 살짝 뒤집어 주는 과정(낭청기)
포유 : 包유 - 민남, 대만오룡 제다 중 찻잎을 둥글게 말아주는 과정(단유團유)
해괴 : 解塊 - 포유를 통해 둥글게 말려진 찻잎을 다시 풀어 헤치는 과정
 청과 : 靑鍋 - 용정차 제다 과정 중 살청을 하면서 차의 기본적인 모양을 형성시키는것
 회조 : 回潮 - 용정차 제다 중 차를 솥에서 꺼내 얇게 펴서 건조시키는 과정
 휘과 : 煇鍋 - 용정차 제다 중 차의 모양을 정교하게 만들고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다반사 : 茶飯事 - 恒茶飯事의 준말
 항다반 : 恒茶飯 - 茶飯事
차인 : 茶引 : 다인 - 茶商
차색 : 茶色 : 다색 - 色名, 갈색, 차의 종류
 차유 : 茶油 : 다유 - 茶實油
차정 : 茶晶 : 다정 - 水晶名
차갈 : 茶褐 : 다갈 - 顔色名
다비 : 茶毘 - 佛 火葬
다비소 : 茶毘所 - 佛 火葬場
명정 : 茗정(정풀정) - 醉也
명하아 : 茗荷兒 - 動物名
명전 : 茗戰 - 湯聲
모차 : 毛茶 - 1차 가공 과정을 마친 차, 제조 과정에서 초벌로 완성된 차
 민황 : 悶黃 - 찻잎을 쌓아두고 방치하여 발효를 진행시키는 과정. 황차 특유의 과정
 창 倉 기술 : 보이차 보관기술을 말한다.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찻 맛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한다.
탄량 : 건조과정을 마친 차를 고르게 수분이 건조되도록 펼쳐서 식히는 과정
 퇴미 : 堆味 - 악퇴 발효된 맛과 냄새
 퇴적 : 堆積 - 1차 가공된 모차를 쌓아놓고 찻잎자체의 수분만으로 발효시키는 과정
 포유 : 包유 - 오룡차의 제다과정 중 찻잎을 둥글게 말아주는 과정. = 단유團유
 해괴 : 解塊 - 포유 또는 단유를 통해서 둥글게 말린 찻잎을 다시 풀어헤치는 과정
 홍건 : 烘乾 - 찻잎의 수분을 건조하는 과정
 홍배 : 烘焙 - 건조과정을 마친 차를 다시 약한 불에서 오랜 시간동안 서서히 건조
乾燥 시키면서 차의 향기를 북돋아 주는 과정. = 지역에 따라 탄배炭焙, 복배復焙,
후배後焙, 배화焙火, 재홍再烘, 복홍復烘, 족화足火, 족홍足烘
전통적으로 숯불을 피워두고 대나무로 만든 홍룡기에 차를 넓게 펼쳐 열기운으
 로 차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요즘은 전기 홍배기의 열풍으로 홍배를 하는데 열풍
 의 온도와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차(오룡차)의 경우 홍배에 따라 다양한
 향과 맛을 유도해 내고 있다. 홍배를 진행하면 카페인의 주성분인 쓴맛이 변하고
 폴리페놀의 주성분인 떫은맛이 변하고, 완성단계에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이 단맛
 을 낸다. 또한 내부품질에 변화가 생겨 맑으면서 깔끔한 맛, 산뜻한 단맛, 단내나
 는 맛, 볶은 쌀냄새 맛, 약한 불내음맛, 탄내나는 맛 등 다양한 풍미의 차로 변화
 시킨다.(대만 청차는 홍배에 따라 10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一分茶~十分茶)
홍엽 - 日 모미지, 내화도가 강한 소지가 부분적으로 혼합되어 중성염 내지 환원
 소성을 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을 단풍에 비유하여 부르는 차완 색.
차금류 : 茶金油 : 다금류 - 釉藥
제차 : 製茶 - 造茶
조차 : 造茶 - 製茶
변차 : 辨茶 - 茶選別
장차 : 藏茶 - 茶藏
차자 : 茶紫 : 다자 - 茶色名
차육 : 茶育 : 다육 - 茶藏庫
차항 : 茶抗 : 다항 - 中 地名
차업 : 茶業 : 다업 - 茶名, 茶事業
차질 : 茶質 : 다질 - 茶性
차백희 : 茶百戱 : 다백희 - 茶盛時代
차과은 : 茶果銀 : 다과은 - 茶運送費
차전 : 茶錢 : 다전 - 茶代
차명 : 茶皿 : 다명 - 小皿, 茶子用小器
차전 : 茶筌 : 다전 - 茶箭
명구 : 茗구(증발구) - 茗昇
차석 : 茶席 : 다석 - 茶室
차붕 : 茶棚 : 다붕 - 茶藏
차람 : 茶籃 - 茶具箱子
곡차 : 穀茶 - 玄水, 玄酒
명요 : 茗요(돌릴요) - 차를돌림
 차호 : 茶壺 : 다호 - 차를 담아두는 단지
 회감 : 回甘 : 쓴맛 뒤에 오는 달콤한 맛(老班章茶 등의 뒷맛을 말함)
중국차 : 분류
 기본 차(전통적이고 일반적인 제다법의 6대 다류)-백차, 녹차, 황차, 청차, 홍차, 흑차
 재가공 차(기본 다류를 재가공해 변화를 준 차) - 화차, 과미차, 약용보건차
 산차 : 散茶 - 잎차 형태로 완성된 차
 긴압차 : 緊壓差 - 덩어리 형태로 완성된 차, 방차, 병차, 전차 등
 초청녹차 : 炒靑綠茶-솥에서 살청 후 솥에서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된 차, 벽라춘,용정
 홍청녹차 : 烘靑綠茶 - 대엽종으로 녹차 제다방법으로 만든 차, 황산모봉, 태평후괴
 즉 높은 살청 후 숯불위나 고온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된 차
 칠자병차 : 七子餠茶 - 차 한통에 7편의 병차가 들어있는데서 유래됨
"雲南七子餠茶"라고 부르기는 1972년 부터이며, 그전에는 "圓茶"라 불렀다
 외포장(支飛, 筒飛, 포장지 지질, 내비)을 보고 원료 산지, 생산시기 등 정보를 안다
 번호 : 보이차의 출생지, 원료차의 등급 및 규격을 아는데 참고가 된다.
    (마지막 자리수 1은 쿤밍차창, 2는 멍하이차창, 3은 사관차창)
예) 7542 청병 - 멍하이 차창에서 만든 차이고 1975년 부터 규모생산을 한 것이다.
4는 원료 모차의 급수(배방, 즉 공장에서 정한 차 배합 기준 번호이다) 
 

 한국차인연합회  자흥

출처 : 단속사(Dansoksa)
글쓴이 : 자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