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조암 / 1월 24일 제9차시 추가 거조암(居祖庵)은 693년(효소왕2)에 원효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경덕왕 때 왕명으로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지눌 스님께서 고려중기 송광사에 수선사를 세워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이룩하기 이전에 각 종파의 고승들을 맞아 정혜(定慧)를 익혔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 불교문화사에 길이 빛날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2.11
은해사 / 1월 24일 제9차 (25) 은해사는 조계종 제10교구 본사로 동화사와 함께 팔공산의 대표적인사찰이다. 신라 41대 헌덕왕의 원찰(願刹)로서 809년에 창건되었다. 은해사의 옛 이름은 해안사(海眼寺)이며 운부암에서 가까운 해안평이 그 옛터이다. 해안사는 조선 인종 원년(1545년)에 일어난 대화재로 모두 타 버렸다. 인종이 태실..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2.10
제2석굴암 / 1월 24일 제9차 (24) 제2석굴암은 1927년 발견되었지만 시대양식은 경주 석굴암보다 1세기를 앞선다고 한다. 마애불-자연석굴-인공석굴의 불상의 흐름도 알려주는 귀중한 보물이다. 인공으로 조성한 제2석굴암은 오전에는 석굴가득 햇살을 품고 정오를 지나면 열반적정의 세계처럼 어둠이 자리를 편다고 한다. 석굴의 형식..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2.10
옥천사 / 12월 27일 제8차 (23) 옥천사는 신라 문무왕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의상대사는 당나라 종남산 지엄화상으로부터 8년간 화엄경을 배워 돌아온 후 해동에 화엄학을 펴기 위해 <화엄전교십찰(華嚴傳敎十刹>을 창건하였는데, 그 때 건립된 사찰의 대부분이 반 신라적 기질이 농후한 옛 고구려, 백제의..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2.29
용문사 / 12월 27일 제8차 (22) 호구산 용문사(虎丘山 龍門寺)는 원효 스님이 여기서 지척인 금산(錦山)에 보광사를 먼저 창건한 다음 호구산에 첨성각(瞻星閣)을 세우고 금산에 있었던 보광사를 이 곳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용문사가 위치한 곳은 호랑이의 등에 해당한다고 하며, 조선 현종때 백월대사가 용소마을의 용연(龍淵)위에..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2.29
보리암 / 12월 27일 제8차 (21) 우리 관음사 백팔고찰순례단은 제8차 순례의 첫번째 순례지인 보리암을 순례하기 위하여 12월 27일 06시 낙동초등학교 아래서 출발하여 보리암을 향했다. 버스안에서 불교TV의 새벽예불 DVD로 예불과 천수경을 독경한후 찹쌀주먹밥과 김으로 아침공양을 대신하였는데, 이번달에 회원으로 가입한 이재홍..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2.29
도리사 / 11월 22일 제7차 (20) 해동 최초 가람 태조산 성지 조계종 제 8교구 직지사 말사인 도리사는 우리나라 불교의 초전지(初傳地) 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즉 도리사는 묵호자(墨胡子)와 동일인으로 짐작되고 있는 아도화상에 의하여 신라 제19대 눌지왕 때(417년)에 세웠다고 전해진다. 새로 건립된 석가여래사리탑은 높이 560cm에..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24
서황사 / 11월 22일 제7차 (19) 서황사(죽장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을 하여 여러 연대를 걸처 중수해 오다가 몽고병란때 소실되어 없어지고 오층 석탑만 존재해 오다가 1952년에 조그마한 삼칸집에 부처님을 보시고 살던 계기로 지금의 서황사(죽장사)가 탄생하게 되었다. 법당에는 삼존불(석가모니불, 보현보살, 문수보살)을 모..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24
남장사 / 11월 22일 제7차 (18) 남장사는 상주 지역에서 가장 큰 사찰로 통일신라 때인 832년 진감국사(眞鑑國師)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경남 하동 쌍계사 마당에 있는 진감선사비문에 남아있다.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쌍계사 비문에는, “당(唐)나라에서 돌아온 국사가 상주 노악산 장백사(지금의 남장사)에서 선(禪)..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24
영국사 / 10월 25일 제6차 (17)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신라 제30대 문무왕(文武王) 8년에 원각국사(圓覺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제32대 효소왕(孝昭王)이 신하들을 거느리고 피난하였던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려 제23대 고종(高宗) 때 감역(監役) 안종필(安鍾弼)이 왕명으로 탑 ·부도 ·금당(金..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03
보석사 / 10월 25일 제6차 (16) 보석사(寶石寺)는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사찰이다.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의 진악산 기슭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31본산 중 하나였으나 조계종에서는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편성되어 있다. 당시에는 금산군이 전라북도에 속해 있어 전북 지역의 여러 말사..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03
관촉사 / 10월 25일 제6차 (15)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반야산(般若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968년(광종 19) 혜명(慧明)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 조성한 ‘은진미륵’에 얽힌 설화가 전한다. 미륵전에서 108배중인 고찰순례단원 주지이신 慧光스님의 법문도 들었습니다. 이 불상에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1.03
불영사 / 9월 27일 제5차 (14) 천축산 불영사는 의상스님이 창건하였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인도의 천축산에서 계실 당시의 형상과 똑같은 이 산에서 절터를 찾던 의상스님이 피로에 지쳐 연못가에서 쉬던 중 우연히 연못 위에 부처님 형상이 비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용들이 살던 연못을 메워 금당을 짓고 부처님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0.01
정암사 / 9월 27일 제5차 (13) 정암사 수마노탑(보물 제410호) / 모전석탑인 수마노탑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자장율사께서 당나라에서 불사리를 가져올 때 서해 용왕이 용궁으로 모시고 가서 주신 마노석으로 탑을 쌓은 것이라 하여 수마노탑이라 한다 그러나 자장율사께서 쌓았다는 원래의 수마노탑은 세월의 풍화 속에서 으스러져..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10.01
108천년고찰순례 예정표(매월4째주 일요일 06시, 1박2일은 토요일 출발) 회 차 년 월 순 례 지 후 보 지 비 고 1 2009. 05 송광사(순천), 선암사(승주), 대원사(보성) 전남 2 06 법흥사(영월), 구룡사(치악산), 신륵사(여주) 경기.강원 3 07 선운사(고창), 내소사(변산), 개암사(변산) 선운사에는 도솔암 포함됨 전북 4 08 보문사(강화), 전등사(강화), 용주사(화성) 1박 인천,경기 5 09 정암..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9.11
칠장사 / 8월 23일 제4차시 추가 7세기 중엽(신라 진덕여왕 648년경)에 자장율사가 창건 하였으며 10세기경에도 절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현종 5년(1014)에는 혜소국사가 왕명으로 넓혀 세웠는데 ‘칠장사’와 ‘칠현산’이라는 이름도 국사가 이곳에 머물면서 7명의 악인을 교화하여 선하게 만들었다는 설화에서 유래하였다...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8.31
용주사 / 8월 22,23일 제4차 (12)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습니다. 대웅보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인 천보루 천보..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8.31
보문사 / 8월 22일 제4차 (11) 남해 금산 보리암, 양양낙산사 홍련암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해상 관음 기도도량이다. 신라 선덕여왕 4년(635)년에 회정대사가 금강산에서 수행하다가 이 곳에 와서 절을 창건하였는데, 관세음보살이 상주한다는 산의 이름을 따서 산의 이름을 낙가산이라고 하였고, 중생을 구제하는 관세음보살의 원력..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8.30
전등사 / 8월 22일 제4차 (10)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서기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이불란사(375년 창건)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도량임을 알 수 있다. 처음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8.30
내소사 / 7월 26일 제3차 (9) 내소사는 혜구 두타스님의 원력에 의해 백제 무왕 34년(633)에 창건된 고찰로서 임진왜란때 대부분 소실된 절을 조선 인조때 청민선사가 중창하였다. 대웅전은 보물 제291호로서 1633년(인조 11)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자연석으로 쌓은 축대위에 낮은 기단과 거의 다듬지 않은 덤벙주초를 놓고 정면 3..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0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