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사 / 7월 25일 제15차(44) 도갑사를 오후 2시 40분경 출발하여 제15차 고찰순례 세번째 순례 사찰인 보림사에 도착하니 오후 3시 30분경이었는데, 산문 입구에 문화해설사님이 기다리고 있었다. 보림사(寶林寺)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8.22
도갑사 / 7월 25일 제15차(43) ◆도갑사는 산세가 빼어나고 풍광이 아름다워 옛부터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월출산, 호랑이가 앞발을 들고 포효하는 형상이라는 산자락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신라의 4대 고승 가운데 한 분이신 도선(道詵)국사께서 창건하신 대가람으로그 뒤를 이은 수미왕사와 연담선사, 허주선사, 초의선사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8.01
무위사 / 7월 25일 제15차(42)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에서 남도답사 일번지를 해남과 강진으로 꼽은 유홍준 교수는 '무위사 극락보전의 아름다움' 제하의 글에서 "남도답사 일번지의 첫 기착지로 나는 항상 무위사를 택한다. 바삐 움직이는 도회적 삶에 익숙한 사람들은 이 무위사에 당도하는 순간 세상에는 이처럼 소담하고,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7.28
보현사 / 6월 27일 제14차(41) 대관령 동쪽 사면에 깊숙히 자리한 강릉 보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서 영동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보현사의 창건 이야기로 두 가지 설이 전래된다. 하나는 신라시대에 천축(天竺)에서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이 강릉시 동남 남항진 해안에 도착해 한송사(寒松寺)를 세..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7.04
월정사 / 6월 27일 제14차(40) 상원사 순례를 마치고 월정사로.... 동대 만월산 관음암에는 일만의 관음보살이, 남대 기린산 지장암에는 일만의 지장보살이, 서대 장령산 수정암에는 일만의 대세지보살이, 북대 상왕산 미륵암에는 일만의 미륵보살이, 중대 지로산 진여원에는 일만의 문수보살이 상주하며 설법한다는 오대산. 신라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7.04
상원사(사자암 중대 적멸보궁) / 6월 27일 제14차(39) 적멸보궁은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한 곳으로 모든 바같 경계에 마음의 흔들림이 없고 번뇌가 없는 보배스런 궁전이라는 뜻이다. 욕심과 성냄, 어리석음이 없으니 괴로울 것이 없는 부처님의 경지를 나타낸다. 오대산 적멸보궁(지방 유형문화재 제28호)은 신라시대 때 자장율사가 중국 오대산에서 기..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7.04
봉은사 / 5월 23일 제13차(38)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여 수도산의 정기를 품은 한국 전통사찰 봉은사(奉恩寺)는 신라시대의 고승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원성왕 10년(794년)에 견성사(見性寺)란 이름으로 창건한 사찰로써 무려 1200여년의 역사를 지닌 고찰이다. 그뒤 조선시대 1498년(연산군 4)에 정현왕후(貞顯王后성종의 계비)..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6.10
조계사 / 5월 23일 제13차(37) 조계사의 창건은 각황사(覺皇寺)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각황사는 1910년 창건되었으며 그 전에 원흥사(元興寺)에 있던 조선불교중앙회사무소를 옮겨와 한국 근대불교의 새 불교 운동을 이어가게 했던 중심 사찰입니다. 당시 일본은 총독부가 문화정책의 미명하에 조선사찰령이라는 것을 선포하여 ..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6.10
도선사 / 5월 23일 제13차(36) 13차 고찰순례 예정인 월정사, 상원사, 보현사로의 순례를 계속 진행해야 할지를 날씨 때문에 전날(22일) 오후 4시 까지도 결정을 못하고 있다가, 비가 와도 강원도 산지보다는 순례가 용이한 도선사와 조계사, 봉은사에 일단 협조 공문을 보내고, 당일(23일) 새벽에 일기 예보를 확인후 최종 결정하여 못..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6.10
부석사 / 4월 25일 제12차(35) 제12차 백팔고찰순례 3번째 사찰인 부석사입니다. 서산 부석사는 경북 영주의 부석사와 이름이 같아 혼동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곳 부석사는 영주 부석사처럼 유명하거나 큰 규모의 사찰은 아니지만, 그 창건설화와 역사는 희한하게도 영주 부석사와 똑 같이 전해옵니다. 의상스님과 선묘낭..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30
개심사 / 4월 25일 제12차(34) 개심사(開心寺)는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1번지 상왕산(象王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 수덕사의 말사이다. 절의 창건은 654년(백제 의자왕 14) 혜감국사(慧鑑國師)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당시의 이름은 개원사(開元寺)라고 불렀다고 한다. 고려시대에서는 14세기 초반에 폐사되었는 듯 진..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30
수덕사 / 4월 25일 제12차(33) 우리 관음사 "백팔고찰순례단"이 작년 5월 24일 선재동자가 불법을 깨우치려 53선지식을 찾아가는 마음가짐으로 108천년고찰순례를 시작하여, 제1차로 선암사, 송광사, 대원사를 순례하고, 송광사에서 송광사 교무스님의 집전으로 입재식이 있은지 1년이 다되어 이번에 제12차 고찰순례를 진행하게 되었..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30
용문사 / 3월 28일 제11차(32) 용문사는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391번지 소백산의 줄기인 용문산 남단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이다. 용문사(龍門寺)는 870년(신라 경문왕 10) 두운(杜雲)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두운은 풍기 희방사(喜方寺)를 창건한 신라 말기의 스님이다. 절 이름은 고..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15
김룡사 / 3월 28일 제11차(31) 운달산 김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의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인데, 일제강점기에 31본산의 하나였다. 운달산김룡사사적서 <雲達山金龍寺事蹟序> 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 10년 (588) 운달 조사(雲達祖師)가 개산하여 사명을 운봉사(雲峰寺)라 하였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본래의 절 이름..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15
윤필암 / 3월 28일 제11차시 추가 대승사에서 점심공양을 후, 버스는 바로 윤필암 주차장으로 가게하고 우리 단원들은 대승사에서 산길로 걸어서 윤필암에 도착하였다. 윤필암은 우리나라 근세 최초의 3대 비구니 선원의 하나로, 꽃처럼 단아하고 정갈한 도량이다 수덕사 견성암, 오대산 지장암과 더불어 근세 최초의 3대 비구니 선원..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15
대승사 / 3월 28일 제11차(30) 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대승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대승사가 소재하고 있는 사불산 산마루에는 사면(四面)석불상이 있는데 이 불상은 “삼국유사” 권3 “사불산조”에 따르면 587년(신라 진평왕 9) 커다란 비단 보자기에 싸인 사..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4.15
[스크랩] 다솔사 / 2월 28일 제10차(29) 여수시내에서 차가 밀려 다솔사에 도착하니 이미 어두워져 있었다. 우리 단원들의 사찰 도장 을 받기위해 오는 도중 차안에서 종무소에 연락하여 협조를 부탁하였더니, 사무장님이 늦은 시간임에도 우리를 기다려 주었다. 보살님 감사합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511..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3.13
[스크랩] 향일암 / 2월 28일 제10차(28) 대한불교 조계종 제 19교구본사 화엄사 말사인 금오산 향일암은 관음기도 도량으로서 관세음보살은 중생들이 그 이름을 부르면 음성을 듣고(觀音)서 중생을 구제하는 구원과 희망의 모성(母性)입니다. 또한 중생들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푼다는 뜻으로 시무외자(施無畏者)라고..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3.13
[스크랩] 흥국사 / 2월 28일 제10차(27) 여수 흥국사의 명칭은 사적기에 의하며 "나라가 흥하면 절도 흥한다."는 뜻으로 나라의 번영을 비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숙종 17년(1691년)에 작성된 사적기에는 1196년 보조 지눌이 창건한 것으로 되어있고 숙종 29년(1703년)에 작성된 중수사적비명에는 1343년에 보조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되어 있다고..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3.13
갓바위(선본사) / 1월 24일 제9차 (26) 갓바위 부처님은 절에 전하는 바로는 원광법사(圓光法師)의 수제자인 의현대사(義玄大師)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638년(선덕왕 7)에 조성한 것이라 한다. 그러나 전체적 양식으로 보아 8~9세기 작품으로 보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정설이다. 현재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상의 학.. 백팔(108)천년고찰순례기 201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