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통도사의 홍매 2-2013. 03. 13 자장매(慈藏梅)라 불리어지는 극락보전옆 홍매 봄비에 영롱한 구슬들이 맺혀 또 다른 운치를 자아낸다.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3.03.15
[스크랩] 하늘이 숨긴 수행처 통도사 백운암(白雲庵) 반은 바위로 감싸안고, 반은 허공으로 덮어 하늘이 숨긴 수행처, 흰구름 연화대위에 자리한 백운암(白雲庵). 영축산 정상 턱밑 첫 혈처에 자리하여 속인(俗人)의 순례가 쉽지는 않고, 비탈길을 오르는 것이 참회이자 수행인 통도사 산내 암자. 2013년 3월 3일 일요일 오후 1시경 생수통 몇개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3.03.11
[스크랩] 통도사의 홍매 1-2013. 03. 06 3월 6일 낮 12시경 통도사 영각 앞에 서 있는 매화로 수고 6.5m에 수폭7m의 홍매로 수령 100년이다. 극락전옆 자장매(慈藏梅)는 아직 망울을 터뜨리지 않았기에 다음에 올릴께요.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3.03.09
[스크랩] 계사년 입춘을 맞아 범어사, 청련암, 계명암(歲在癸巳當立春 金井山 梵魚寺, 靑蓮庵, 鷄鳴庵)에서 범어사(梵魚寺) 청련암(靑蓮庵) 계명암(鷄鳴庵)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3.03.09
[스크랩] 통도사 화엄산림 입재일(동짓달 초하루) 2012. 12. 13. 통도사 화엄산림대법회 입재일 도암스님(송광사 강주) 일주문 옆 - 새들의 겨울 양식 까치밥....... 장면이 바뀌어 우리집 거실에서...... 개완에 지난봄 하동 화개 상선암 우전을 우릴 준비...... 전기화로에 유리주전자로 찻물을 올리고..... 우린 녹차에 매화 세송이를 띄우고.....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2.22
선암사(부산진구 부암동)에서 백양산정상을 넘어 운수사(사상구 모라동)까지 백양산 선암사(白羊山 仙岩寺)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좌상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5호) 사진출처:문화재청 용왕단 선암사 오른쪽에서 계곡을 따라 백양산 정상을 향해 올라갑니다. 오르다 오른쪽으로 보니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이 보입니다. 해발 642m 백양산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1.25
봉정암 순례3(설악산 천불동계곡,비선대,소공원) - 2012. 10. 24 ~25 2012 봉정암 순례 3 10월 23일(화) 10:40 p.m. 부터 10월 26일(금) 03:30 a.m. 까지 육당 최남선은 설악을 두고 "금강산은 수려하되 웅장한 맛이 없고, 지리산은 웅장하되 수려하지 못한데 설악산은 수려하면서도 웅장하다"고 했다. 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돌산과 돌샘으로 이루어져 깊은 골짜기..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1.25
봉정암 순례2(봉정암,소청, 희운각대피소,천불동계곡) - 2012. 10. 24 ~25 2012 봉정암 순례 2 10월 23일(화) 10:40 p.m. 부터 10월 26일(금) 03:30 a.m. 까지 10월 25일 새벽 2시 법당에서는 철야정진중입니다. 새벽예불을 마치고 아침공양후 소청으로 올라가서 희운각대피소, 양폭대피소, 천불동 계곡, 비선대, 소공원을 거쳐 신흥사 입구까지가 오늘의 산행일정이다. 봉정암..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1.24
봉정암 순례1(설악산 오색,대청봉,소청,봉정암) - 2012. 10. 24 ~25 2012 봉정암 순례 1 10월 23일(화) 10:40 p.m. 부터 10월 26일(금) 03:30 a.m. 까지 2012년 10월 23일 밤 10시 40분 노포동 부산동부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행 28인승 심야 버스에 고찰순례단 회원 한분과 함께 타고 양양으로 향했다. 단체 순례에 동참하면 정해진 시간에 쫓겨서 설..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1.22
[스크랩] 통도사의 무지개 - 7월 두번째 일요일 오후(7월 8일) A 지난 일요일 오후 늦게 찻물 길러 옥련암에 갔다가, 통도사에 들렸습니다. 참고로 옥련암 장군수는 혜우스님의 찻물기행에도 등장합니다. 문에 걸려있는 ‘源宗第一大伽藍(원종제일대가람)’이라고 쓴 현판은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직접 쓴 것이라고 전해진다 극락보전 아미타삼존불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10.29
[스크랩] 부처님 오신날(관음사, 통도사, 극락암)-찬불가, 예불대참회문, 이산혜연선사발원문 A 2556 Buddha's Birthday 부산 관음사, 통도사, 극락암 禮佛大懺悔文(예불대참회문) 대자대비민중생 대희대사제함식 大慈大悲愍衆生 大喜大捨濟含識 대자와 대비로 중생들을 가엾이 여기시고, 대희와 대사로 함식(중생)들을 제도하시며 상호광명이자엄 중등지심귀명례 (1배) 相好光明以自嚴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06.12
[스크랩] 홍련암에서 성도재일 철야정진, 2012년 1월 1일 낙산사 일출, 휴휴암과 정동진 등명 낙가사 내 나라 내 겨레 - 김민기음악을 들으려면원본보기를 클릭해주세요. 납월 초여드레 성도재일을 맞아 홍련암에서 철야정진과 임진년 첫 일출을 맞기위해 12월 31일 저녁 6시 30분 지하철 동래역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타고 낙산사로 향했다. 1월 1일 0시 30분경 홍예문앞에 도착 홍련암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2.01.05
[스크랩] 불기 2555년 초파일 관음사, 통도사, 극락암에서....., 조계총림 방장 범일 보성 대종사 봉축 휘호 신묘년 초파일 관음사 육법공양을 올리기 전입니다. 합창단이 부처님을 찬탄하는 음성공양을 올리고 있습니다. 화동이 뿌리는 오색 종이가 축복의 만다라 꽃비[雨花瑞]되어 '부처님 오신날'을 봉축합니다. 향공양 : 해탈향을 올리며 절하옵니다. 등공양 : 반..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8.08
[스크랩] 봉암사에서 봉행된 서암대종사 8주기 추모법회 동참후 원적사, 남장사로~ 지난 3월 31일 일년에 4월 초파일 하루만 산문을 여는 조계종 특별 수도원인 문경 봉암사에서 봉행된 조계종 제8대 종정이셨던 서암대종사 추모법회에 동참하게 되었다. 일주문(一柱門) / ‘희양산 봉암사(曦陽山鳳巖寺)’라는 사찰의 이름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고, 뒷면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8.08
[스크랩] 신묘년 입춘날 통도사와 옥련암, 극락암, 반야암, 사명암, 자장암, 진해 성흥사 입춘날 우리집 베란다에서 본 좀 늦은 시각의 일출, 우리 아파트에서는 좌청룡에 해당 이하 옥련암 / 1374년(공민왕 23)에 쌍옥대사(雙玉大師)가 창건하였으며, 1857년(철종 8)에 호곡(虎谷)ㆍ청진(淸眞) 두 대사가 중건하였다. 사찰 내에 전하는 이야기로 옛날 이 옥련암 에 ‘장군수(將軍水)’라는 우물이..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8.08
경주 남산 불교 유적 답사 경주 남산은 불국토 (佛國土)를 염원한 신라 백성(百姓)들의 땅위의 부처님 나라이다. 왕족이나 귀족보다는 일반 민초(民草)들의 발원과 기원으로 이루어진 불국토 (佛國土)이다. "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 (지즉위진애 애즉위진간 간즉축지이비도축야) "알면 곧 참으로 사랑하게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5.10
[스크랩] 2011년 1월 1일 낙산사, 홍련암, 휴휴암, 월정사(2) 휴휴암 지혜관세음보살입니다. 휴휴암에 대한 설명은 [백팔고찰순례기] 82번 글 "휴휴암/ 8월 28, 29일 제16차(추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오전 9시 20분경 휴휴암에 도착했습니다. 월정사에 도착하기전 [서울식당]에서 산채비빔밥으로 점심공양을 합니다. 12시 40분경 월정사 산문에 도착했습니다. 월..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1.07
[스크랩] 2011년 1월 1일 낙산사, 홍련암, 휴휴암, 월정사(1) 몇년째 낙산사 홍련암에서 철야기도후 보타전에서 새벽예불 올리고 선열당에서 떡국으로 아침공양후 해수관음 아래서 새해 첫 일출을 보고, 건봉사로 가서 적멸보궁 참배후 건봉사에서 무청시레기 무침을 곁들인 점심공양후 부산으로 내려오면서 휴휴암에 들러 참배하곤 했는데, 올해는 건봉사 대..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1.07
[스크랩] 세밑 아쉬운 흰눈이 살짝 스친 부산 운수사 (2010년 12월 30일) 위 운수사 약수터에서 안개가 피어 올라 구름이 되는 것을 보고 운수사로 하였다고 합니다.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1.01.07
봉정암 순례(10월 30일, 31일 백담사 →영시암→오세암→봉정암→백담사② 오른쪽 바위 아래 오르면 봉정암에 다 온거나 마찬가지다. 불뇌사리보탑(佛腦舍利寶塔) 마치 바위를 뚫고 나온 듯한 석탑은 자연암반을 기단부로 삼아 5층의 몸체를 올렸습니다. 설악의 모든 봉우리들이 이 석탑을 향해 몸을 숙이고 있는 듯합니다. 살아 생전에 꼭 한번쯤은 참배해야 할 '불뇌사리보..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201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