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부처님 진신사리 모신 오대 적멸보궁

청원1 2006. 1. 21. 08:34
부처님 진신사리 모신 오대 적멸보궁 | 명찰 순례 2005.09.06 04:57
일지(ilji7477) http://cafe.naver.com/ilji7477/25 이 게시물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부처님 진신사리 모신 오대 적멸보궁

 

 

 

뭔가에 우선 순위를 매긴다는 건 참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순위 안에 들게 되면 가일층 관심을 받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기업의 규모를 5대니 10대로 구분하고 연말이면 10대나 20대로 그 뉴스의 사회적 비중과 관심을 판가름한다.

▲ 진신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을 받들어 기도하고 예불을 올릴 수 있도록 계단 앞쪽에 세워진 고색 창연한 전각의 전면에는 "金剛戒壇"이란 편액이 달려있고 동쪽 측면에 "大雄殿", 서쪽 측면에는 "寂滅寶宮"이라고 쓰여진 편액이 걸려 있다.
국내에 있는 절들 숫자도 어림잡아 수만개는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불교종단협회에 등록된 25개 종단에는 많은 숫자의 교구본사와 또 교구본사에 소속된 적지 않은 수의 말사(末寺)가 있다. 게다가 종단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종단이나 개별적으로 불상을 모신 절들의 숫자를 포함해 그 수를 어림하면 그 정도는 될 거라 생각된다.

기업의 규모나 뉴스의 비중을 몇 대로 구분하듯 수많은 절 중에도 통상적으로 삼보사찰, 4대 관음도량, 5대 적멸보궁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조용한 산사를 찾아 혼탁한 심신에 자정의 기회를 갖는 것도 좋지만 비중 있게 분류되는 성지를 한번에 둘러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 동안 어느 매체에서 삼보사찰이나 4대 관음도량, 5대 적멸보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였던 적이 있었나 확인을 하진 못했지만 일년 가까이 산사를 소개해 온 입장에서 끝마무리로 이들을 차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 삼면에 각각의 편액을 달고 있는 전각 뒤쪽에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된 통도사 금강계단이 있다.
우선 적멸보궁이란 석가모니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전각을 말한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들기 전 중인도에서 화엄경(華嚴經)을 설법하였던 적멸도량을 의미하는 전각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적멸보궁은 불가에 있어 성지 중의 성지다. 부처님 생전에는 별도의 법당도 경전도 필요 없었을 거다. 부처님이 머물고 설법을 하면 그곳이 곳 법당이고 경전일 테니 말이다. 불교는 "스스로 깨우침"을 지향하는 종교다. 하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러다 보니 심신과 눈을 통해 깨우침을 주고 심신의 의지처를 찾게되니 이런저런 형태의 불상과 불구가 등장하여 안내자며 수호자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다 보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야말로 최고의 신앙대상일 수밖에 없다.

▲ 적멸보궁에는 별도의 불상을 모시지 않고 방석만 준비되어 있다. 뒤쪽 어딘가에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는 것이다. 정암사 적멸보궁 내부의 모습이다.
한국에 사리신앙을 전파한 이는 자장율사다. 중국에 유학한 자장율사는 종남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세존의 의발(衣鉢)과 진신사리 100과를 얻어 귀국해 모셔 온 진신사리를 여러 곳에 나누어 봉안했다고 전하니 그곳이 바로 "5대 적멸보궁"이다.

적멸보궁은 부처님 몸체에서 나온 불사리를 모신 곳이니 석가모니 진신이 상주해 계신 것을 의미한다. 부처님 진신을 모신 것을 상징하는 곳이니 법당에는 별도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佛壇)만 있는 게 적멸보궁의 외형적 특징이다.

적멸보궁엔 불상이 별도로 모시지 않다는 걸 알지 못한 채 적멸보궁을 들렸다 방석만 덩그러니 놓여진 걸 보고 조금 황당해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는 적멸보궁 바깥쪽 어딘가에 사리탑을 세우거나 계단(戒壇)을 만들어 봉안한 경우가 대부분이니 방석이 놓여진 뒤쪽에 창이 나 있는 경우 그 창을 통하여 사리탑이나 계단을 볼 수 있을 수도 있다.

▲ 정암사엔 칠보 중 하나인 마노석으로 쌓은 수마노탑이 있고 이곳에 부처님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다.
우리 나라 많은 절들 중 적지 않은 곳에 적멸보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대 적멸보궁을 구분하여 말한다. 적멸보궁의 대표적 5대는 경남 양산에 있는 영취산 통도사, 강원도 평창에 있는 오대산 상원사의 중대 그리고 강원도 설악산에 있는 봉정암, 강원도 영월에 있는 사자산 법흥사, 강원도 정선에 있는 태백산 정암사를 말한다.

통도사는 일주문을 지나 안쪽 깊숙한 곳에 대형 금강계단에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해 삼보사찰 중 불보종찰이 됐다. 진신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을 받들어 기도하고 예불을 올릴 수 있도록 계단 앞쪽에 세워진 고색 창연한 전각의 전면에는 "金剛戒壇"이란 편액이 달려있고 동쪽 측면에 "大雄殿", 서쪽 측면에는 "寂滅寶宮"이라고 쓰여진 편액이 걸려 있다.

오대산에 있는 월정사 말사인 상원사 중대의 적멸보궁은 자장율사가 "문수보살의 주처"라는 생각에서 부처님 사리를 모신 성지다. 이곳 적멸보궁의 불사리는 어디에 봉안되었는지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다만 보궁 뒤에 1m 높이의 판석에 석탑을 모각한 마애불탑이 상징적으로 서 있을 뿐이다.

▲ 해발 1224m지점에 있는 봉정암의 야경이다. 대 여섯 시간동안 어렵게 올라온 성지니 만큼 철야기도를 하느라 경내의 불이 밤새 꺼지지 않는다.
설악산 해발 1224m의 고지대에 있는 봉정암 적멸보궁 역시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5층 석탑에 불사리를 안치했다. 여느 탑들처럼 별도의 기단석 없이 설악산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거암에 탑을 조성하고 진신사리를 모신 곳이라 한다.

영월에 있는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은 대웅전에서 10여분 거리에 있다. 보궁 뒤에는 진신사리가 안치되어 있다는 보탑이 서 있고, 그 옆에 자장율사가 도를 닦았다는 토굴도 있다.

강원도 정선의 태백산 정암사에도 5대 적멸보궁 중 한 보궁이 있다. 자장율사가 현몽한 문수보살의 지혜를 받아 태백산맥 자락에 정암사를 창건하여 보궁과 함께 칠보 중 하나인 마노석으로 쌓은 "수마노탑"이 천의봉 중턱에 있다.

▲ 별도의 기단석 없이 암반에 바로 세워진 특이한 형태의 5층 석탑에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다고 한다.
봉정암과 정암사는 이미 소개한 적이 있으며 통도사는 삼보사찰에서 소개할 예정이기에 이번에는 영월의 사자산 법흥사와 오대산 상원사만을 소개한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4교구본사 월정사 말사인 상원사(上院寺)는 한 때 진여원(眞如院)으로도 불렀다 한다. 쭉 곧은 전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월정사와 상원사 진입로는 많은 사람들이 산사 초입의 진미로 예찬한 바 있다.

한마디로 가보지 않은 사람은 알지 못한다. 아무리 그럴싸하게 주변의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으며 사진을 본다 해도 스치는 바람의 상큼함과 숲에서 우러나는 자연의 진솔한 향긋함은 느낄 수 없다. 상원사 진입로에서 느끼게 되는 오묘한 행복감은 연출할 수도 묘사할 수도 없는 자연만의 전유물이며 위대함이다. 오감에 감성을 더한 육감의 만족감과 행복감은 찾는 자에게만 주어지는 땀과 발품의 보상이 분명한 곳이다.

▲ 전나무 숲을 지나 들어간 상원사에서 가파른 산길을 한참 올라가면 그곳에도 적멸보궁있다.
전나무 잎새를 헤집고 들어온 햇살들이 시선을 짜릿하게 자극하는 그런 진입로를 걸어 들어가면 세조와 문수동자에 얽힌 설화로 유명한 상원사에 도착하게 된다. 상원사엘 가면 동종과 문수전 앞 고양이 석상을 꼭 봐야 한다. 그리고 소임을 다하기 위해 총부리 앞에서도 의연하게 대항하던 스님들의 깊은 불심도 새겨볼 일이다.

창건사와 얽힌 설화는 널리 알려지기도 했지만 6·25전쟁 중 전소의 위기에서 절을 지켜낸 스님들의 불심과 어느 장교의 슬기로운 처세가 많은 걸 생각하게 한다. 국군이 북으로 진격하며 절이 공비의 소굴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이유로 소각하려 했었다고 한다. 군인들이 절을 불에 불을 붙이려하자 한암 중원이란 스님은 법당에서 염불을 시작했다고 한다.

아무리 전시지만 사람이 들어있는 곳에 그냥 불을 지를 수는 없어 스님을 밖으로 나오라고 말하니 스님께선 "그냥 불을 질러라. 당신들이 군인의 본분에 따라 상관의 명령에 복종해야 하듯 절을 지키는 것은 승려의 본분이다. 마지막까지 승려의 본분을 저버리지 않겠다"고 말하곤 염불을 계속했다고 한다.

▲ 불사리가 어디에 봉안되었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상원사 적멸보궁 뒤에는 1m 높이의 판석에 석탑을 모각한 마애불탑이 상징적으로 서 있다. 불탑 앞에 나란한 물병들은 신도들이 기도를 하는 동안 올려놓았다 하산할 때 가져갈 물들로 불심이 가득 녹아든 만큼 부처님의 커다란 가피가 기대 된다.
스님의 말씀을 들은 장교는 뭔가를 골똘하게 생각한 후 법당 문짝만 떼어 소각한 뒤 돌아갔다고 한다. 상관 명령을 거역하지 않았다는 걸 의미하며 스님의 불심을 지켜준 장교의 슬기로운 대처가 근대 상원사를 수호한 신장인 셈이니 지혜의 현신인 문수보살의 근대적 출현인 듯 싶다.

상원사에서 적멸보궁을 참배하기 위해서는 꽤나 가파른 산길을 올라야 한다. 한두번 쉴 거라는 마음으로 가면 힘들 것도 없는 곳이다.

월정사는 5대 적멸보궁 중 상원사와 정암사 외에도 한곳의 적멸보궁이 있어 5대 적멸보궁의 절반 이상을 말사로 두고 있는데 그 중 한곳이 선문구산(禪門九山) 중 하나이기도 한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에 있는 사자산 법흥사다.

▲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을 찾은 신도들이 법당은 물론 앞마당까지 빼곡하게 메웠다. 험하지도 지루하지도 않으며 뛰어난 절경의 사자산은 산 자체가 법당이며 자연이 들려주는 이런 저런 소리가 온갖 법문이다.
자장율사께서 마지막으로 창건하여 진신사리를 봉안한 곳으로 당시에는 흥녕사라고 불렀었다 한다. 선문구산 중 사자산문(獅子山門)의 중심 도량이었던 이곳은 소각과 중건을 반복하다 1902년 비구니 대원각 스님이 중건하며 절 이름도 법흥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 대부분의 절들은 좋은 산들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법흥사 역시 풍치 좋은 사자산에 자리를 잡았다. 절을 찾아 경전에 나오는 좋은 말들을 되뇌며 심신을 어르고 순화시키는 것도 좋지만 그냥 목적 없이 찾아도 좋은 곳이 좋은 산에 있는 좋은 산사니 그런 곳 중 한 곳이 바로 사자산 법흥사다.

▲ 적멸보궁 뒤쪽에는 사리탑이 있고 멀지 않은 곳에 자장율사가 기도를 하였다는 토굴이 있다.
고단한 삶을 영위하느라 뻘처럼 끈적거리며 늘어붙은 속세의 이런저런 혼잡함을 맑은 물에 헹구는 마음으로 법흥사를 찾는 것도 좋을 듯하다. 사계절 구분 없이 자아내는 주변의 아름다움과 불신의 가피가
인생의 맛을 맛깔스레 해 줄거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