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속에 가장 고귀한 터에 자리한 청정도량! 경북 봉화에는 이름 그대로 청량함과 고귀함을 간직한 청량사가 있다.
거대하고, 빽빽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열두 봉우리가 나그네의 눈길을 잡는다. 그 연화봉 기슭 한 가운데 연꽃처럼 둘러쳐진 꽃술 자리에 자리 잡은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송광사 16국사의 끝 스님인 법장 고봉선사(1351-1426)에 의해 중창된 천년 고찰이다.
창건당시 승당등 33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대사찰로 봉우리마다 자리잡은 암자 에서는 스님들의 독경소리가 청량산을 가득메웠다고 한다. 또한 자연경관이 수려한 청량산에는 한때는 신라의 고찰인 연대사(蓮臺寺)와 망선암 (望仙菴)등 대소 27개소의 암 자가 있어서 당시 신라 불교의 요람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불교를 억압하는 주자학자들에 의해 절은 피폐하게 되어 현재는 청량사와 부속건물인 응진전만이 남아있다.
청량사의 법당인 유리보전은 창건연대가 오래되고 짜임새 있는 건축물로 인하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청량산의 최고봉인 의상봉은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대사께서 입산수도 한곳이라 의상봉이라 불리며, 이곳을 비롯해 보살봉, 연화봉, 축융봉 등 12개의 암봉이 있고 어풍대, 밀성대, 풍혈대, 학소대, 금강대 등 12개의 대와 8개의 굴과 4개의 약수터가 있다.
청량사에는 불교의 우수한 유적 건물이 많았으나 어느 때인가 소실 등으로 인하여 거의 없어지고 현재 신라시대 대찰의 모습은 없지만 망월암 등 33개 암자가 있었던 유지가 있고,문수보살, 지장보살, 16나한등이 봉안되어 중생의 근기에 맞는 기도처로서 손색없는 도량의 모습을 띄고 있다. <출처:청량사 홈페이지>
유리보전 유리보전은 조선 후기 건물로 붉은 색을 띠고 있어 이채롭다)
유리보전에 모셔진 약사여래불과 문수, 지장보살 이곳에 모셔진 약사여래불은 특이하게도 종이를 녹여 만든 귀중한 지불이다.
<유리보전 주련> 위 주련의 출전은 于闐國(우전국) 實叉難陀(실차난타.652-710)스님이 한역한 大方廣佛華嚴經(대방광불화엄경/신역,80권본)의 권제13 光明覺品(광명각품)제9에 나오는 문수보살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여래의 실성(實性)을 찬탄한 게송입니다. 고려재조대장경 인경본 (고려대장경연구소 자료) 십력(十力) : 부처님만이 갖춘 열 가지 지력(智力)을 말하는데, 여기서 십력(十力)은 성불(成佛)한다는 의미입니다. ① 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 여실히 모든 이(理)와 비리(非理)를 아는 힘. ② 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여실히 삼세의 업과 그 보의 인과관계를 아는 힘. ③ 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 여실히 모든 선정(禪定)이나 삼매(三昧)의 순서나 심천(深淺)을 아는 힘. ④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여실히 중생의 능력이나 성질의 승열(勝劣)을 아는 힘. ⑤ 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여실히 중생의 요해단정(了解斷定)을 아는 힘. ⑥ 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여실히 중생의 소성(素性), 성질이나 그 행위 등을 아는 힘. ⑦ 변취행지력(遍趣行智力) 인천(人天) 등의 모든 세계에 태어나는 행의 인과(因果)를 아는 힘. ⑧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여실히 과거세의 여러 가지 일을 기억해 내어 다 아는 힘. ⑨ 사생지력(死生智力) 여실히 천안(天眼)을 가지고 중생의 사생(死生)의 때나 미래생의 선악의 세계 등을 아는 힘. ⑩ 누진지력(漏盡智力) 스스로 모든 번뇌가 다하여, 다음의 생존[後有]을 받지 않는 것을 알고, 또 다른 사람이 번뇌를 끊는 것을 틀림없이 아는 힘.
청량사 5층 석탑 청량사에는 잘 쌓아 올린 석축과 함께
유리보전 앞의 삼각우총과 삼각우송
삼각우총은 현재 청량사 유리보전 앞에 위치해 있는데 사찰에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원효 대사가 청량사 창건을 위해 진력을 쏟고 있을 때 하루는 사하촌(寺下村)에 내려가게 되었다. 논길을 따라 내려가다가 논에서 일을 하는 농부를 만나게 되었는데 마침 농부가 뿔이 셋이나 달린 소를 데리고 논을 갈고 있었다. 하지만 이 뿔 셋 달린 소는 도대체 농부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날뛰고 있었다. 이에 원효 대사가 농부에게 이 소를 시주하여 줄 것을 권유했더니 농부는 흔쾌히 이 뿔 셋 달린 소를 시주했다. 이에 원효 대사는 소를 데리고 돌아왔는데 신기하게도 이 소는 절에 온 후 고분고분해지더니 청량사를 짓는 데 필요한 재목이며 여러가지 물건들을 밤낮없이 운반하더니 준공을 하루 남겨 놓고 생(生)을 마쳤는데 이 소는 '지장보살'의 화신이었던 것이다. 원효 스님은 이 소를 지금의 삼각우송 자리에 묻었는데 그곳에서 가지가 셋인 소나무가 자라나 후세 사람들이 이 소나무를 '삼각우송', 이 소의 무덤을 '삼각우총'이라 불렀다.
|
'백팔고찰순례외 사찰순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옥련암 (9월 14일) 코스모스와 해바라기 (0) | 2014.10.28 |
---|---|
[스크랩] 통도사 9월 4일, 7일 (0) | 2014.10.28 |
[스크랩] 통도사 사명암, 옥련암, 서운암 천연염색축제(6월 두번째 일요일) (0) | 2013.08.14 |
[스크랩] 4월 7일 일요일 옥련암 서운암 (0) | 2013.08.14 |
[스크랩] 통도사의 홍매 2-2013. 03. 13 (0) | 201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