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등

[스크랩] 꽃다운 인생살이 고개를 넘자~ ~ ~ <낙화유수>

청원1 2013. 3. 11. 13:47

 

 

 

 

 

       ▲ '백팔고찰순례단' 2011년 5월 28, 29일 1박2일 25차

          73번째 천년고찰순례시   수타사 저수지

 

    몇년전 사진입니다.

 

     2010년 초파일 당리동 관음사

 

     

 

     조명암(趙鳴岩) 작사,  이봉룡(李鳳龍) 작곡, 남인수(南仁樹) 노래. 1942년 5월

     '오케-(Okeh)' 신보(新譜)로 발표, 출반(出盤)된 것(음반 번호 31110).


     자연(自然)의 순환(循環) 이치(理致)에 의해 도래(到來)한 춘삼월(春三月)의

     풍정(風情)에 따라 피어오르는 청춘(靑春)의 꿈과 낭만이라는 풍부(豊富)한

     서정성(抒情性)·풍류성(風流性)을 짙게 드리우고 있는 이면(裏面)에는, 어딘지

     모르게 숨길 수 없이 엄습(掩襲)해 오는 인생(人生)과 세월(歲月)의 덧없음

     [무상감(無常感)]과 염량 세태(炎凉世態)에 대한 한(恨)이 배여 있어,

     시대상(時代相)과 결합(結合), 폭(幅) 넓은 공감(共感)을 환기(喚起)함으로써

     널리 불리는 명가요(名歌謠)가 되었음.           출처 -다음오픈지식 stmale-

 

     ▲2011년 봄 당리 반도보라 아파트 뒷산(승학산) 홍도화(紅桃花)

    ▲2011년 봄 당리 반도보라 아파트 뒷산 홍도화(紅桃花)

 

      ▲ 영춘화(迎春花)는 꽃잎이 여섯 갈래, 개나리는 네 갈래 꽃잎으로 구분된다고 하는데

         그렇담 내가 본건 전부 개나리고 영춘화는 본 기억이......

 

      '낙화유수(落花流水)'란 성어(成語)는 중국 당(唐)나라의 시인 高駢(고변)이 지은 詩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2011년 5월 28일 74번째 순례고찰인 춘천 청평사 계곡

         상사뱀과 당나라 공주 전설의 공주상

 

    ▲ 2011년 5월 29일 경기도 연천 '원심원사' 순례후

       천년고찰 75번째인 '도피안사' 순례전 '철의 삼각지' 견학중

       '평화전망대' 다음으로 들린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월정리역

   

    가슴 한쪽이 짠하게 아려오는데,

    언제쯤 철마는 민족의 염원을 담아싣고,

    압록∙두만강을 건너서, 

    삼족오(三足烏)가 창공을 질주하던,

    그 간도땅과 연해주를 달릴 수 있을까? 

<

 

 

 

출처 : 백팔고찰순례단
글쓴이 : 청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