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世音普薩의 그림과 설명
아마제관음(阿摩提觀音)
산스크리트명은 아베트리(Abhetri)다 무외관음, 관광(寬廣)관음으로도 불리며 지옥에 들어간 중생들을 구원하는 보살이다
암호관음(巖戶觀音)
[보문품]게송에 관세음을 염하는 거룩한 힘으로 도마뱀, 뱀, 살모사 전갈의 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에서 유래하는데 독충들이 머무르는 암호에 앉아 있다
아뇩다라관음(阿耨多羅觀音)
카일라사 성산에 있는 마나사로바 호수로 추정되는 전설적인 커다란 호수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그 이름이 아나바타프타(Anavatapta)로 인도 고대의 4대강의 수원이다 바위 위에 앉아서 용을 본다
백의관음(白衣觀音)
머리에서 발끝까지 온통 백의를 걸친 다정다감한 모습으로 어린아이의 순조로운 출산과 그 어린아이의 생명을 구하고 보살피는데 유독 주의를 기울이는 보살이다
백의관음은 백의를 입었다는 그 모습에서 이름을 따온 듯한데 그 상징적 의미는 언제나 청정을 의미하는 흰 연꽃 위에 앉았으므로 백처존(白處尊)이라 했다는 그의 별명에서 찾을 수 있다
백의관음은 인도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중국풍의 수월관음 이전부터 독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당나라 시대 말기부터 수월관음도에 백의가 응용되기 시작하여 수월관음상에 백의관음상이 융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데는 수묵화의 발달과 선종의 융성으로 수묵 관음도가 나타나면서 표현상 관세음보살이 자연스럽게 백의를 걸치게 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백의를 입은 관세음보살을 모두 백의관음이라 단정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강진 무위사의 극락전의 관세음보살은 백의를 입고 있기는 하지만 손에 정병과 버드나무가지를 들고 있다는 점에서 양류관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33신 중 비구니신에 해당한다
보비관음(普悲觀音)
자비를 세계에 널리 펼친다는 의미의 관세음보살이다
33신 중의 대자재천신으로 나투며 양 손을 법의에 감추고 산 위에 서 있다
불이관음(不二觀音)
33신 중 집금강신을 나타내며, 물 위의 연꽃에 서 있다
부처님의 수호신인 집금강신도 부처님이 화현한 모습이며 양자는 둘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불이관음이라 부른다
청경관음(靑頸觀音)
산스크리트 본명은 닐라칸타(Nilakantha)로 검푸른 목이라는 의미다
아주 먼 옛날 신과 악마들이 바다 속에서 불사의 감로수 아무리타를 찾으려고 휘젓다가 거기서 맹독성의 독약이 튀어나오자 쉬바 신은 중생들이 독의 피해를 입는 것을 막기 위해 대자비를 베풀어 독을 삼킨다 그 때문에 쉬바는 목이 검푸르게 변했다
쉬바의 이러한 대자대비한 모습을 관음의 화신으로 삼은 것이 청경관음으로서 [천수경]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관음을 염하면 두려움과 재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단다
이미 5세기경 청경관음상이 인도 사르나트에서 발견되었다는데 삼면사비(三面四臂) 또는 일면이비(一面二臂)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오른손은 가슴 앞으로 내밀어 들고 있다
33관음의 경우 청두관음(靑頭觀音)이라 적혀 있으며 33신 중 불신(佛身)을 나타낸다
다라존관음(多羅尊觀音)
산스크리트 타라(Tara)의 음역으로 그 타라는 눈을 의미한다
관음의 눈에서 발하는 광명으로부터 여인의 모습을 한 다라존(多羅尊)이 등장하는데 그 화현이 다라관음이다 다라존은 자비로운 눈을 지니고 중생을 구한다
그 형상은 경전에 따라 여러 가지이지만 [대일경]의 경우 청백색으로 여인처럼 백의를 걸치고 합장하여 푸른 연꽃을 쥐고 있다고 설한다
이 관음은 힌두교의 성력(性力)숭배가 관음 신앙에 영향을 주어 생겨난 보살이라고도 한다
다라관음 신앙은 인도에서 크게 성행한 탓인지 녹야원에서는 6세기경의 다라상이 발견되었고 7세기 전반에 인도를 여행한 현장은 다라관음상은 영험이 있고 매년 초하루 성대하게 공양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덕왕관음(德王觀音)
33신 중 범왕신에 해당한다 바위 위에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앉아 계신 모습이다
일엽관음(一葉觀音)
[보문품]의 "큰 물을 만나 표류하더라도 관음을 염하면 낮은 곳을 얻으리라"한 것에 해당하는 모습이라고 한다
33신 중에 재관신에 해당한다
일여관음(一如觀音)
구름을 타고 번개를 정복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문품]에 관음을 염하면 운뢰(雲雷)도 사라진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번개도 관음의 묘지력과 일체라는 의미다
어람관음(魚籃觀音)
손에 물고기가 가득찬 어람(魚籃)을 들거나 혹은 큰 고기를 타고 있다
당나라 시대, 한 물고기 장수의 아름다운 딸이 [보문품]을 수지 독송하는 신자에게 시집을 갔는데 사실 이 미녀가 관음의 화신이었다는 설에 근거한다 중국에서는 송나라 이후 널리 신앙되었다
합장관음(合掌觀音)
합장한 채 연꽃 위에 앉아 있다 33신 중 바라문신을 나타낸다
지경관음(持經觀音)
오른 손에 경을 들고 바위 위에 앉아 있다 33신 중 성문신에 해당한다
지련관음(持蓮觀音)
33신 중 동남동녀신으로 연꽃 위에 서 있으며 관음의 심볼인 연꽃의 줄기를 들고 있다
중보관음(衆寶觀音)
[보문품]게송에 갖가지 보물을 찾다가 나찰귀국에 가 닿더라도 나찰의 난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33신 중 장자신을 보인다
마랑부관음(馬朗婦觀音)
[불조통기]에 나오는 얘기에서 근거하는 관음이다
한 미녀가 살고 있었는데 아내를 삼으려는 사람이 많이 나타나자 그녀는[법화경]을 암송하는 사내에게 시집갈 것을 약속했다
마(馬) 청년이 그 조건을 받아들여 실천하자 미녀는 그와 결혼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그날 미녀는 급사하고 만다
후에 무덤을 열자 황금뼈가 나타났으므로 사람들은 미녀가 관음으로 화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송나라 시대 이후 마랑부관음 신앙이 성행하게 되어 송화(宋畵)의 유품에도 전해질 정도이다
33관음의 경우는, 33신의 부녀신에 해당한다
낭견관음(瀧見觀音)
[보문품]게송에 "관음을 염하면 불도가니가 번하여 연못이 된다"는 설에 해당하는데 벼랑에 앉아서 용을 보는 현상이다
능정관음(能靜觀音)
정적(靜寂)한 모습으로 해변의 바위에 앉아 손을 바위에 대고 있다 해로(海路)의 수호신이다
시약관음(施藥觀音)
[보문품]게송의 "해와 같이 허공에 떠 있게 하고" "괴로운 고통과 죽음의 재앙에 등대이시고"라고 설하는 모습에 상당하는 보살로 몸과 마음의 병을 제거한다
물을 바라보며 바위 위에 앉아서 왼손을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뺨에 대고 연꽃을 보는 형상이다
쇄수관음(灑水觀音)
[보문품]의 "감로의 법비를 뿌려 번뇌의 불길을 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오른 손에 지팡이 왼 손에 쇄수기(灑水器)를 들고 있다
수월관음(水月觀音)
[화엄경] {입법계품}에는 선재동자가 인도 남쪽 바닷가에 연한 보타락가산에서 법을 설하는 관세음보살을 만나는 장면이 나오는데 바로 그 관음을 수월관음이라 부른다
수월관음이라 한 이유는 달이 높이 떠올라 휘영청 밝은 가운데 관음이 물가의 벼랑위에 앉아서 선재에게 법을 설했기 때문이다
마치 해변에 위치한 보타락가산의 물위에 달처럼 아름다운 관음이 현신하듯 말이다
기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돈황출토 수월관음상의 원광은 마치 휘영청 밝은 달을 묘사한 듯한데 달 안에서 관음보살이 그윽히 미소짓고 있다
이렇듯 달과 밤과 물 그리고 관세음보살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것을 일러 수월관음상이라 하는 것으로 중국에서 최초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단독으로 모셔진 관음도 대부분은 화엄경 계통의 수월관음도인데 특히 고려 불화의 수월관음도가 유명하다
우리만이 간직하고 있는 수월관음도의 특징을 들라면 한결같이 선재동자가 등장하여 관세음보살에게 보리의 가르침을 구한다는 점 관음 옆에 버드나무 가지가 꽂힌 정병이 놓여 있다는 점 (돈황의 수월관음상은 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있다) 파랑새가 날며 염주가 등장한다는 점 등이다 이 관음의 등 뒤에는 쌍죽이 솟아나 있다
33관음으로서는 33신 중 벽지불신에 해당한다
원광관음(圓光觀音)
[보문품]게송에 "때 없이 청정하고 밝은 광명이 태양과 같은 지혜의 빛으로 어둠을 부수고"라는 구절처럼 빛 속에 합장한 채 바위 위에 앉아 있다
양류관음(楊柳觀音)
오른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잡고 왼손 손바닥을 밖으로 보이게 한 채 왼쪽 가슴에 대고 있다
혹은 버드나무 가지를 꽂은 병을 옆에 두고 바위 위에 앉아 있는 경우도 있는데 우리나라의 양류관음상은 오른손엔 버드나무 가지 왼손엔 정병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고려불화로서 혜허(慧虛)가 그린 일본 천초사 소장 양류관음도가 유명하다 이 양류관음도에도 역시 선재가 등장하고 있어 수월관음도로 보기도 하지만 이론의 여지가 많다
선재동자가 등장한다 해서 모두 수월관음도라 단정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수월관음도에서도 관음이 버드나무 가지를 잡고 있는 형상이 있다고 해서 양류관음을 수월관음으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양류관음의 탄생배경은 유마거사의 활동무대였던 인도의 바이샬리에서 역병이 유행했을 당시 병을 제거해 달라는 사람들의 소망에 응해서 관음이 나타나 버드나무 가지와 정수(淨水)를 손에 들고 병을 없애는 주문을 가르쳤다
이 내용은 [청관음경]에 기재된 이야기로 양류관음은 이 얘기에 근거하여 병난 소제(病難消除)의 본원을 보여준다
유희관음(遊戱觀音)
관음의 유희자재(遊戱自在), 즉 어떤 경우에서도 몸을 자재롭게 나투는 것을 보여주는 보살이다
관음32응신도에서 그 화면의 중심을 점하는 보살이 유희좌로 앉아 있다
[법화경]{보문품} 게송에 "흉악한 사람에게 쫓겨가다가 금강산에 떨어져도 관세음을 염하면 거룩한 힘으로 털끝 하나 다치지 않게 하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금강산에 나타난 관음의 모습이라고도 한다
육시관음(六時觀音)
6시란 하루를 의미한다 주야로 항상 중생을 수호하는 관음이다
33신 중 거사신의 모습으로 범협(경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범협관음이라고도 불린다
용두관음(龍頭觀音)
구름 속에 있는 용의 등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33신 중 천룡, 야차신에 해당한다
엽의관음(葉衣觀音)
천녀형으로 이비(二臂) 혹은 사비상(四臂像)이 있다 화재 예방, 무병장수를 기리는 밀교 의식법의 주존으로 신앙된다
33신의 제석신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위 위에 앉아 있다
위덕관음(威德觀音)
악한 무리를 절복시키려는 위엄과 약한 자를 애호하는 덕을 갖추고 있다 33신 중 천대장군신을 나타낸다
연명관음(延命觀音)
[보문품]게송에서 나타나듯 방자하게 저주하며, 독약으로 몸을 해치려는 위기 상황으로부터 면하게 해 주는 보살이다 바위 위에 팔꿈치를 붙이고 있다
연와관음(蓮臥觀音)
연못 속의 연꽃 위에 앉아서 합장한 모습으로 33신 중 소왕신에 해당한다
유리광관음(瑜璃光觀音)
향왕관음(香王觀音)이라고도 한다
이 향왕관음은 향왕보살로도 불리는데 이 보살의 설법의 향기가 온누리에 두루 펼쳤기 때문이다
33신 중 자재천신으로 나타난다
합리관음(蛤利觀音)
1269년 중국에서 편찬된 [불조통기]에 나오는 얘기다
당나라의 문종이 대합을 먹으려 할 즈음 대합이 돌연 대사의 모습으로 변해 버렸다 너무 놀란 나머지 황제는 종남산의 유정선사를 초빙해서 그 이유를 묻고 선사의 법화(法話)에 감복하여 천하의 사원에 관음상을 안치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합리관음이 탄생하는데 그 모습은 대합을 앞에 두고 앉은 형상이다 |